[43~ 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바람은 자도 마음은 자지 않는다
철들어 사랑이며 추억이 무엇인지 알기 전에
싸움은 동산 위의 뜨거운 해처럼 우리들의 속살을 태우고
[마음의 배고픔]이 출렁이는 강기슭에 앉아
종이배를 띄우며 우리들은 절망의 노래를 불렀다
정이 들어 이제는 한 발짝도 떠날 수 없는 이 땅에서
㉠우리들은 우리들의 머리 위를 짓밟고 간
많고 많은 이방의 발짝 소리를 들었다
㉡아무도 이웃에게 눈인사를 하지 않았고
누구도 이웃을 위하여 마음을 불태우지 않았다
어둠이 내린 거리에서 두려움에 떠는
눈짓으로 술집을 떠나는 사내들과
두부 몇 모를 사고 몇 번씩 뒤돌아보며
골목을 들어서는 계집들의 모습이
㉢이제는 우리들의 낯선 슬픔이 되지 않았다
사랑은 가고 누구도 거슬러 오르지 않는
㉣절망의 강기슭에 배를 띄우며
우리들은 이 땅의 어둠 위에 닻을 내린
㉤많고 많은 풀포기와 별빛이고자 했다.
- 곽재구, 「절망을 위하여」-
43.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계절적 배경을 제시하여 시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② 음성 상징어를 구사하여 시적 생동감을 부여한다.
③ 의문형 진술의 사용을 통해 시적 정서를 강화한다.
④ 부정적 서술어의 반복적 사용을 통해 시적 상황을 강조한다.
⑤ 처음과 끝을 유사한 구조로 상응하여 시적 안정감을 부여한다.
44. 마음의 배고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이 땅’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 인식을 강화한다.
ㄴ. 화자가 ‘절망의 노래’를 부르게 되는 계기로 작용한다.
ㄷ. ‘이방의 발짝 소리’의 주체에 대한 화자의 연민을 나타낸다.
ㄹ. ‘사랑’과 ‘추억’이 결핍된 상태에 대한 화자의 심리를 비유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45. <보기>를 참고하여 ㉠~㉤에 대해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이 작품은 암울했던 당대의 사회 현실과 관련이 깊다. 시인은 자유가 억압된 삭막한 현실과 민중들의 불안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희망을 노래하는 화자를 등장시켜 현실 극복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① ㉠은 당시의 암울한 사회 분위기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드러낸 것이겠군.
② ㉡은 주변에 대해 관심조차 줄 수 없는 민중들의 모습을 통해 삭막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겠군.
③ ㉢은 민중들이 불안과 공포가 일상화된 현실을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겠군.
④ ㉣은 억압적인 현실을 애써 외면하려는 민중들의 행위를 표현한 것이군.
⑤ ㉤은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품으려는 화자의 소망을 드러내는군.
도움 자료
43 ④ 44 ④ 45 ④
[43~45] <출전> 곽재구, 「절망을 위하여」
43. [출제의도] 표현상의 특징 파악하기
‘않았고’, ‘않는다’ 등의 부정적 의미를 지닌 서술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이웃에게 관심을 둘 수도 없고 삭막한 현실이 일상화된 시적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
① 이 시에 계절적 배경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②이 시에서는 음성 상징어는 나타나 있지 않다. ③ 이 시에서는 의문형 진술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⑤ 처음과 끝이 대응되는 수미상관의 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다.
44. [출제의도] 외적 준거를 참고하여 작품 감상하기
ㄱ. ‘마음의 배고픔’ 때문에 화자는 이 땅을 절망적인 공간으로 인식한다. ㄹ. 배고픔은 무언가가 결핍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시에서 마음의 배고픔은 화자가 추구하는 사랑, 추억과 같은 긍정적인 것이 결핍된 상태로 화자의 현재 심리를 비유한다. ㄴ. 이 때문에 화자는 자신이 처해 있는 절망적인 상황에 대해 노래하게 된 것이다. ㄷ. ‘이방의 발짝 소리’는 현재의 부정적 상황을 초래한 것이며, 화자는 그 주체에 대해 연민의 감정을 느끼지는 않는다.
45. [출제의도] 내재적인 관점으로 작품 감상하기
‘배’는 희망을 상징하여 이를 띄우는 것은 희망을 바라는 행위이다. <보기>를 참고할 때 이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하는 것이므로, 억압적인 현실을 외면하려는 행위를 표현한 것이라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① 머리 위를 짓밟고 갔다는 것에서 화자가 현재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보기>를 참고할 때 이는 화자가 당시의 사회 분위기를 암울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눈인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관심을 주지 않는 모습을 의미한다. <보기>를 참고할 때 이는 당시의 삭막한 현실에 있는 민중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낯선 슬픔이 되지 않았다는 것은 익숙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기>를 참고할 때 이는 자유가 억압된 당시에 민중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가 일상이 된 현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⑤ ‘풀포기’는 끈질긴 생명력을 지는 민중을 상징하며 ‘별빛’은 하늘에서 빛나는 존재로 희망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보기>를 참고할 때 이는 부정적인 현실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희망을 가지려는 화자의 소망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첫댓글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