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당 일체의 상을 떠나 보리심을 내라 <금강경제14분,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인욕바라밀도 여래께서 설하되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인욕바라밀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여! 내가 옛날 가리왕에게 몸이 베이고 잘리게 되었으되
나는 그 때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왜냐하면 내가 옛날 사지가 마디마디 잘릴 때에, 만약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었다면, 마땅히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을 것이니라.”
“수보리여! 또 생각하니 과거 오백세 동안에 인욕선인이 되었던 그 세상에서도
아상이 없었고, 인상도 없었고, 중생상도 없었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여! 보살은 응당 일체의 상을 떠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어야 한다.
응당 형색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응당 소리. 냄새. 맛. 감촉. 법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지니,
응당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생무소주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生無所住心
만약 마음에 머무르는 바가 있으면 이것은 곧 머무르지 않음이 되느니라.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설하시길
‘보살은 응당 마음을 형색에 머물지 말고 보시를 해야한다.’고 설하셨느니라.”
“수보리여! 보살은 일체 중생을 이익되게 하기 위하여
마땅히 이와 같이 보시해야 하느니라.
여래는 일체의 모든 상은 곧 상이 아니다고 설하는 것이며,
또한 모든 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다고 설하는 것이니라.”
<금강경제14분,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출처] 응당 일체의 상을 떠나 보리심을 내라 <금강경>|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