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영어단어 찾기
freedom(후리덤, 자유)
오늘 우연히 어떤 차량의 뒷면에 “liberty"가 쓰여 있네요. “자유”를 가지고 인터넷을 검색합니다.
1. liberty (리버티, 자유): 내버렸지.
* 라틴어 liberare (내버려): 무게를 덜다
* 라틴어 deliberare (떼내버려): 무게에서 벗어나다
2. freedom (프리덤, 자유, 해방, 독립, 면제):
풀어둠. 풀어두다가 어원.
3. latitude (래티튜드, 자유, 위도): 냅뒀다, 냅두다가 어원.
4. leeway (리웨이, 여유, 여지, 자유): 내빼, 내빼다가 어원.
* 독일어는 w가 b발음이 남.
예) BMW가 비엠베로 소리남.
역시 “자유”가 “내버렸지”, “풀어둠”, “냅두다”, “내빼다”등으로 나옵니다. 어찌 영어가 한글이 아니라 할 수 있을까요?
plea bargaining(플리바게닝, 불어 봐줄게)
드라마를 보다가 “플리 바게닝”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봤어요. 궁금하면 못 참는 성격이라 바로 인터넷을 검색해 봤어요. 뭐 “유죄를 인정하면 형량을 경감시켜주는 제도”라고 합니다. 과연 무슨 뜻일까? 시작을 하면서 과연 내가 이 것을 풀어낼 수 있을까? 사실 좀 자신이 없었어요. 그래도 어떡해요. 그냥 풀어봤어요.
plea는 “불어”, bargaining는 “봐주다”라는 뜻이네요. 한마디로 하면 “불어! 봐 줄테니까”네요. “불어! 봐주느 것이어잉” (전라도 사투리), 영어의 현재진행형은 망구에 제 생각이지만 전라도 사투리에서 나온 것 같아요. “했지어잉", 등 전라도 사투리가 현재진행형이라는 생각은 저만의 생각일까요?
1. plea (플리, 탄원, 호소, 답변, 진술): 불어, (죄등을) 불다가 어원.
2. bargaining (바게닝, 흥정하다, 헐값, 매매계약, 싼 물건):
1. 빼지는, 빼주다가 어원.
2. 봐주는 것, 봐 주다가 어원.
* 라틴어 barca (빼까, 뺄까): barge 값을 깎다.
3. deal (딜, 계약, 거래, 다루다, 대처하다): 1. 다룰, 다루다가 어원.
2. 자른다, 자르다가 어원.
* ㄷ ⇌ ㅈ으로 변환됨. 예) 해줘 ⇌ 해둬.
* 고대영어 dael (자를, 자르다): 나누다.
* 고대영어 daelan (자른다): 나누다.
“흥정하다”가 “봐주다”, 봐줄께“ 또는 “빼주다”, “다루다”등으로 나타나네요. 역시 영어는 우리의 고대 한글을 통해서 연결된다는 확신이 서네요.
fresh(후레쉬, 휑궜어)
오늘 동네에 있는 “GS25시”의 간판에 있는 “friendly, fresh, fun"을 보면서 풀지 못한 것에 대한 두려움에 힘들어했는데 오늘 다시 재도전을 해 봅니다.
1. fresh (후레쉬, 신선한, 새로운, 깨끗한):
헹궜어 ⇌ 씻었어 ⇌ 개운했어
* 고대영어 fersc (헹궜어): unsalted 염분이 없는
* ㄱ ⇌ ㅍ ⇌ ㅎ ⇌ ㅅ ⇌ㅈ으로 변환됨.
예) 힘빼다 ⇌ 심빼다 ⇌ 진빼다 ⇌ 김빼다
가득 ⇌ 한거석
뭐라카노? ⇌ 뭐라하노?
했다 ⇌ 캤다,
깁다 ⇌ 집다 (찝다)
깊다 ⇌ 짚다
김치 ⇌ 짐치
하자 ⇌ 자자
낄이다 ⇌ 끓이다 ⇌ 조리다
하모 ⇌ 기다
~하고 ⇌ ~쿳고(경상도 사투리)
휘다 ⇌ 굽다
낑구다 ⇌ 찡구다(끼우다)
길다 ⇌ 걀쭉하다 ⇌ 잘쫌하다
가분다리 ⇌ 진드기
가씬했어요 ⇌ 하마터면
구부리다 ⇌ 휘어지다
널쿠다 ⇌ 넗히다
꾸무리하다 ⇌ (날씨가)흐리다
(배가) 고프다 ⇌ 꿀찜하다
개주머니(개줌치) ⇌ 호주머니
거시 ⇌ 회충, 지렁이
예) 문화(文化): 분가 (일본어)
희망(希望): 기보 (일본어)
무한(無限): 무겐 (일본어)
만회(挽回): 만까이 (일본어)
호(好): 고 (일본어)
실현(實現): 시쯔겡 (일본어)
2. wash (워쉬, 씻다, 세탁하다, 밀려오다, 닦다):
* 고대영어 wascan (헹궜을까): 물로 씻다.
헹궜어 ⇌ 씻어 ⇌ 개운했어
3. clean (크린, 깨끗한, 청소하다, 맑은, 치우다):
* 고대영어 claene (깨끗해):
pure (풀래) 깨끗한
1. 쓸은, 쓸다가 어원.
2. 씻은, 씻다가 어원.
3. 깨끗한, 깨끗하다가 어원.
4. cleanse (크린즈, 깨끗이되다, 세척하다):
깨른치 ⇒ 깨끗이가 어원.
5. bathe (베이쓰, 목욕하다, 감싸다): 씻었어,
“벗었어”가 아닌 것으로 생각됨.
* ㅂ ⇌ ㅅ ⇌ ㅎ으로 변환됨.
예) 성난다 ⇌ 보골난다 ⇌ 화난다
성님 ⇌ 형님
심줄 ⇌ 힘줄
혀대다 ⇌ 쎄대다(경상도 사투리)
허깨비 ⇌ 헛거시
함부로 ⇌ 벌로
빼다지 ⇌ 서랍
부추 ⇌ 소풀
“씻다”가 “헹궜어”, “씻었어”, “개운하다”, “깨끗이”등으로 풀어지네요. 오늘은 그 동안 경상도 사투리랑, 일본어랑, 모아놓은 것을 이해를 돕기위해 다 써 봤어요.
beverage(베버리지, 마셔버리지)
오늘은 술집 앞에 써 있는 “beverage"에 눈이 갔어요. 쉽게 “비워버리지”로 알기 쉽지만 과연 그럴까? 고민을 합니다. “마셔버리지”, “마셔버리게”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마시다”를 가지고 인터넷을 뒤적거립니다.
1. beverage (베버리지, 음료수, 마실 것):
1. 비워버리지, 비워버리다가 어원.
2. 마셔버리지, 마셔버리게가 어원
* ㅁ ⇌ ㅂ으로 변환 됨.
예) 면목(面目): 맨보구 (일본어)
문화(文化): 분가 (일본어)
망년회(忘年會):보넨까이(일본어)
미국(米國): 베이고꾸
남미(南米): 낭베이
비밀(秘密): 중국어) 미미
베트남어) bí mật 비 멑
일본어) 히미쯔
고대한국어) 피-->비
돌베이 ⇌ 돌맹이
말하다 ⇌ 불다
* 라틴어 bibere (비워버려, 마셔버려): drink
2. breathe (브리쓰, 숨 쉬다, 호흡하다, 들이 쉬다):
불었어, 불었다가 어원.
* 고대영어 braeth(불었어) : odor 발산, 호흡
3. breast (브레스트, 가슴): 불었었다. 불었다가 어원.
4. drink (드링크, 마시다, 음료): 들이키다. 들어간다
* 고대영어 drincan (들이킨): 들이키다
“마시다”가 “비워버리다”, “마셔버리다”, “불다”, “들이키다”,“들어간다” 등으로 표현되네요. 과연 한글은 표현력에 있어서는 세계 1등입니다.
owe(오우, 업어)
우연히 라디오에서 “l owe you"라는 노래가 흘러나오네요. 난 과연 “owe"가 무엇일까? 생각해 봤어요. 왜냐하면 이 단어 역시 자신이 없었거든요. 그런데 w를 ㅂ발음으로 바꾸니 “업어”가 되네요. 그러니 “난 당신의 것입니다”라는 뜻이 성립되는 것 같아요. 진정한 사람은 “그 사람의 모든 짐을 진다”는 것이지요. 사랑하는 아내, 자식을 “사랑하는 짐”이라고 하잖아요. 그래서 “빚지다”를 가지고 또 머리 아프게 인터넷을 뒤집니다.
1. owe (오, 빚지다, 신세지다, 가지다, 의무가 있다):
"나를 사랑하면 나를 업어가라"는 말이 있죠
1. 업어, 업다가 어원.
2. 져삐, (짐을)지다가 어원.
2. debt (뎉, 부채, 부족, 빚): 져삤다, (짐을) 지다가 어원.
* ㄷ ⇌ ㅈ으로 변화함.
예) 때린다 ⇌ 친다
속닥하다 ⇌ 적다(작다)
더럽다 ⇌ 쑥쑥다, 지저분하다
땡큐 ⇒ 쌩큐
* 라틴어 debere (져버려, 지다): 빚지다.
3. duty (듀티, 의무, 관세, 임무, 직무):
졌지, (짐을)지다가 어원.
4. oblige (어프라이즈, ~에게 강요하다):
1. 업어야지, 업다가 어원.
2. 저버렸지, 지다가 어원
* ㅇ ⇌ ㅅ으로 변화함.
예) Jesus(지저스) ⇌ 예수로 발음 남.
예) general (제너럴) ⇌ 헤너럴
예) 유도(柔道): 주도 (일본어)
응대다(경상도 사투리) ⇌ 지우다
* 이탈리아어 legare (내걸어): tie 결속하다
* 라틴어 ligare (내걸어): tie 결속하다
5. mandatory (맨더토리, 명령의, 강제의, 수임자):
만졌더라, 만지다가 어원.
* mand: 만지다.
6. responsibility (리스폰서빌러티, 책임감):
내줘삔다, 내주다가 어원.
* ㅇ ⇌ ㅅ ⇌ ㅈ으로 변화 함.
예) 아리다 ⇌ 시리다 ⇌ 저리다
주워오다 ⇌ 주서오다
해요 ⇌ 하소 (경상도 사투리)
실없쟁이 ⇌ 씨사이 (경상도 사투리)
오두다 ⇌ 싸고돌다
가실 ⇌ 가을
내미 ⇌ 냄새
애나 ⇌ 정말, 진짜, 참말로
부엌 ⇌ 부석
* 라틴어 spondere (줘삔다):
보증하다(pledge), 후원하다(promise)
7. sponsor (스폰서, 후원자, 후원하다):
줘삔 사람, 주어버린 사람이 어원.
8. dwarf (도프, 난장이): 도프(경상도 말).
왜소(矮小). 작아삐, 작다가 어원.
모두가 전혀 다른 단어같지만 “업다”, “(짐을) 지다”, “만지다”등으로 거의 같은 뜻으로 풀어지네요. 오늘 기분 좋네요. 사실 “sponsor"와 ”responsibility"는 정말로 오랜 숙제였구요. 아마도 몇 천번은 생각해 봤을 거예요. 그런데 엉뚱한데서 알게되어 정말 기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