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소산성-40번국도(구봉교차로)-주암교차로-주암교(구룡천)건너 좌회전-미암사 도착

부여에서 대천방향 40번 국도를 따라 가다 우연히 보게된 미암사 안내판에
쌀바위 전설과 적멸보궁, 세계 최대 와불이란 글씨가 눈에 들어와 미암사로 향했다
미암사 입구 세계최대 지장불 중창불사 중에 있고
좌측 오르막길을 들어서면 서쪽을 향한 석가모니불(입상)이 마중한다

석가모니 입상불군을 지나면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적멸보궁탑이 정면에 보인다
1998년에 잔산서라 1과를 모셨는데 2004년 자연적으로 3과로 자리를 옮겨
증과한 기이한 이적이 일어나 33층 석탑을 조성 봉안하고
기단부에 구멍을 뚫어 불자들이 직접 사리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한다

탑을 지나 해당화가 핀 우측 돌담장 언덕길을 올라서면 석가모니 와불이 보인다

2005. 4. 17 점안식을 봉행한 석가모니부처님 열반상은
머리를 북쪽으로 하고 서쪽을 바라보며 오른쪽 옆구리를 땅에 대고
두발을 가지런히 하고 열반에 들었던 석가모니불 형상과 같다고 한다

돌 계단을 올라 와불 뒷쪽으로 가면 와불내 법당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와불내 법당에는 석가모니 부처를 주불로 모시고
2만여 소불이 법당을 밝히고 있다

와불 우측 석굴에 용왕전 신천약수

향피우고 촛불을 밝혀놓고 바가지에 약수를 담아 용왕신에게 참배를 하였구나

신천약수는 60여가지 수질검사를 하였는데
위장과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고 한다

계향산에서 흘러내리는지 작은 연못에 물을 끄러올려 인공 폭포를 만들었는지
용왕당 우측편 바위 절벽에 떨어지는 물소리에 마음은 작은 연못에 가라 앉는다

산사의 금붕어는 사람이 그리운지 나의 그림자 따라 몰려들고
어린 동자승은 무릎을 꿀고 복단지를 안고 빙그래 웃고 있구나

길들어진 금붕어는 먹이를 달라 와글거리고
고인 물이라 그 빛이 탁해보여 아쉽구나



미암사 쌀바위 전설
옛날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해 미암사에 찾아와 지성으로 불공을 드렸더니
꿈에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호리병에서 쌀 세톨을 꺼내어 바위에 심고
끼니때마다 여기서 쌀을 가져다 밥을 지으라고 하였고 노파가 꿈에서 깨어나보니
바위에 쌀이 나오고 바라던 손자도 얻게 되어 행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그 후 욕심이 생긴 노파는 더많은 쌀을 얻기 위해
부지깽이로 구멍을 후벼 파고 말았으며
그 후로 더이상 쌀이 나오지 않고 주변에 핏물이 흘렸다고 한다

후대인 들은 욕심이 지나치면 결국 화를 부른다는 교훈을 준 전설로
음경석, 촛대바위, 부처바위 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至極精誠으로 百八拜로 參拜하고
바위를 끌어안고 심호흡을 하면서 손바닥으로 문지르면
건강에도 좋고 악업이 소멸되며 신비한 영험으로
所願成就할 수 있다 한다

쌀바위 앞 마당에 산신각이 있어
가람의 배치가 특이하다

산신각에 참배하며 쌀을 불사하였다

미암사는 일주문 등 일체의 문이 없고
와불법당, 용왕전, 산신전, 사리탑 그리고
요사채 한동만 있어 특이하다

석축이 예사롭지가 않게 어마어마 하다

적멸보궁탑 구멍속에 부처님진신사리에 참배하고 길을 나선다

대천으로 가던 길목에 보령군 개화예술공원

보령은 오석으로 유명하여 5만5천평의 큰 규모에 조각공원을 조성

오석 문화의 발상지답게 잘 꾸며져 있는 조각공원이다


공원 입구만 들러보고 대천으로 가는길에
보령오석 벼루 등 석물 제작하는곳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