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패스를통해 평가이론 전과정종합반을듣고있는
학생입니다.
5/24-4에 감정평가의 원칙과 절차 강의 마지막강의 부분에 회계상가치에대해
저희교재로는 p.166쪽 상위부분에
재무제표를 작성할때 보편적으로 채택하고있는 측정기준은 역사적원가라고 나오는데요..
제가 회계사를 공부하다와서 이 문단이 ifrs에서 발췌한부분이라면 ifrs는 현행 역사적원가보다 공정가치를 치중해서 기업의 현실상황에 맞게 자산과 부채를 보고하는것을 과거 회계기준에비해 강조하고 지금도 보험사나 ifrs17에 맞추어 자산과 부채를 변동시키고있는데요.
그냥 역사적원가라는 서적내용대로 이해하는것이 나을지
..제가배웠던것과는 다른부분이있어 의문이듭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문제가 회계상 가치, 시장가치, 공정가치를 비교하라는 것이기 때문에, 문맥상 회계상 가치를 공정가치로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K-IFRS가 도입되기 전 K-GAPP의 측정기준은 역사적 원가였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그렇게이해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