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초등학교 때 우리 집은 제기동에 있는 작은 한옥이었다. 골목 안에는 고만고만한 한옥 네 채가 서로 마주보고 있었다.
그때만 해도 한 집에 아이가 네댓은 되었으므로, 그 골목길만 초등학교 아이들이 줄잡아 열 명이 넘었다. 학교가 파할
때쯤 되면 골목 안은 시끌벅적한,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어머니는 내가 집에서 책만 읽은 것을 싫어하셨다. 그래서 방과 후 골목길에 아이들이 모일 때쯤이면 어머니는 대문 앞
계단에 작은 방석을 깔고 나를 거기 앉혀주셨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구경이라도 하라는 것이었다.
딱히 놀이 기구가 없던 그때, 친구들은 대부분 술래잡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고무줄넘기 등을 하고 놀았지만, 다리가
불편한 나는 공기놀이 외에는 어떤 놀이에도 참여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골목 안 친구들은 나를 위해 꼭 무언가 역할을
만들어주었다.
고무줄넘기나 달리기를 할 때면 내게 심판을 시키거나, 신발주머니와 책가방을 맡겼다. 그뿐인가? 술래잡기를 할 때는
한 곳에 앉아 있는 내가 답답할까 봐 미리 내게 어디에 숨을지를 말해주고 숨는 친구도 있었다.
우리 집은 골목 안에서 중앙이 아니라 구석 쪽이었지만, 내가 앉아 있는 계단 앞이 친구들의 놀이 무대였다. 놀이에 참여
하지 못해도 나는 전혀 소외감이나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아니, 지금 생각하면, 내가 소외감을 느낄까 봐 친구들이
배려해준 것이었다.
그 골목길에서 있었던 일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하루는 우리 반이 좀 일찍 끝나서 혼자 집 앞에 앉아 있었다.
그 아저씨는 가위만 쩔렁이며 내 앞을 지나더니, 다시 돌아와 내게 깨엿 두 개를 내밀었다. 순간, 그 아저씨와 내 눈이 마주
쳤다. 아저씨는 아주 잠깐 미소를 지어 보이며 말했다.
"괜찮아."
무엇이 괜찮다는 것인지는 몰랐다. 돈 없이 깨엿을 공짜로 받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아니면 목발을 짚고 살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내가 그날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그런대로 살 만한 곳이고, 좋은 사람
들이 있고, 선의와 사랑이 있는 곳이라고 믿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참으로 신기하게도, 힘들어 주저앉고 싶을 때마다 난 내 마음속에서 작은 속삭임을 듣는다. 오래 전, 따뜻한 추억 속의 골목
길 안에서 들은 말.
"괜찮아!"
아 그래서 그 후로 나에게 '괜찮아'는 이제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의 말이 되었다.
첫댓글 좋은글 감사 합니다
안녕 하세요.....아목동아님
좋은 글 고맙습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