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럿이 한마음이면 쇠도 자를 수 있고,
한마음으로 한 말은 난초향이 우러난다(二人同心其利斷金同心之言其臭如蘭)’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두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단결하면 못할 일이 없다는 공자님 말씀이랄 수 있는데
실제로 중국의 4대경전인 사서(四書)중의 하나인
역경(易經=周易)의 계사(繫辭) 상전(上傳)에 나오는 말로서
공자가 한 말일 가능성이 높다.
역이란 말은 변역(變易), 즉 '바뀐다' '변한다'는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이다.
주역(周易)이란 글자 그대로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뜻이며
하(夏)나라 때의 연산역(連山易), 은(殷)나라의 귀장역(歸藏易)이라는 역서가 있었다고 한다.
주역의 작가에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공자(孔子)가 주역의 일부인 십익(十翼)을 썼으며
그 안에 계사(繫辭) 상전(上傳)이 들어 있으므로
공자님의 말씀이라 해도 큰 잘못이 없다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한 같은 마음은 단결한 마음이며 현실적인 삶 속에서는 모여 있는 것이 삶이요,
모여 있던 것이 흩어지는 것을 죽음이라 하는 것이니
난초도 살아있어야 향을 내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이 말은 특히 춘추전국 시대의 생존의 방식으로
손색이 없다 할 것이다.
원효(元曉)스님이 의상(義湘)스님과 함께
당나라로 불교공부를 하러 가다가
밤중에 목이 말라 맛있게 마신 물이 아침에 깨서 보니
해골에 들어있던 더러운 물이었다는 것을 알고 나니
구역질이 나서 토하였는데
이 때 문득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든다(一切唯心造)’는 깨달음을 얻어
유학의 길을 돌이켜 신라로 돌아왔다는 삼국유사의 이야기는 유명하다.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든다는 말은 대승경전인
화엄경(華嚴經)의 보살설게품(菩薩說偈品)에 나오는 말씀이다.
"삼세의 모든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若人欲了知三世一切佛),
마땅히 법계의 본성을 관하라(應觀法界性),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내는 것이다(一切唯心造)."가 본래의 내용이다.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낸다는 말에서 한마음 즉 일심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이 한 마음 제대로 아는 것이
진리를 깨닫는 비롯이요, 맺음이라는 생각에서
도량에서 새벽예불 올리기 전 종을 울리면서 하는 게송(偈頌)에서 늘 암송한다.
실제로 한 마음 깨달으면 부처요, 어두워 헛갈리면 중생인 것이다.
“동짓달 기나긴 밤 한 허리를 베어내서
춘풍이불아래 깊이깊이 넣었다가
사랑하는 님 오신 날 밤에 굽이굽이 펴리라”고 한
황 진이의 시조에서처럼,
또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라는 말처럼
기다리는 마음은 이상하게 더디 온다.
차를 운전하여 가다가도 보면 내가 가는 길은 차들이 몰리는데
다른 차선은 차들이 잘 가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알고 보면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
그런 느낌일 따름이라는 것이 교통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천태(天台)에서는 이런 비슷한 이야기를
‘한마음에 삼천대천세계를 품는다(一念三千)’는 이론으로 정립하였다.
시간과 공간을 초원하여 마음의 작용이 무한함을 나타내는 말이라 할 것이다.
한마음이라는 말로 표현되지는 않지만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후 맨 처음 다섯 수행자들에게 설하였다는
중도(中道) 곧 바른 길(正道)의 가르침인 사성제(四聖諦:苦,集,滅,道)의 끝이요 결론인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진리인 팔정도(八正道)의 일곱 번째 지분인
정념(正念)의 념(念) 또한 같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다른 일곱 지분과 같이 들어가는 정(正)자를 빼면 념(念)자가 되는 데
이 념자는 빨리어로 sati라는 말을 중국어 한자로 번역한 것이다.
그런데 이 sati를 우리말로 바꾸는데 여러 가지 다른 견해가 있다.
한자어를 바로 번역해서 ‘기억’이라 하거나,
‘늘 깨어있음’이라 하거나,
‘마음챙김’이라 하는 등의
교학적 관심을 어디다 두느냐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름으로 인해서 약간의 혼란이 있다.
하지만 그것은 바른 뜻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바람직한 과정상의 혼란이다.
첫댓글 2007년 2월호 불교와 문화에 실을 예정입니다.
증일아함경 관련하여 한번더 강의를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수행을 통해sati를 경험해 본다면 ‘늘 깨어있음,마음챙김’이 말하는 붓다의 말씀이 전해 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