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시장진출의 첫걸음은 벤더 등록부터 | ||||||||||||||||||||||||||||||||||||||||||||||||||||||||||||||||||||||||||||||||||||||||||||||||||||||||||||||||||||||||||||||||||||||||||||||||||||||||||||||||||||||||||||||||||||
---|---|---|---|---|---|---|---|---|---|---|---|---|---|---|---|---|---|---|---|---|---|---|---|---|---|---|---|---|---|---|---|---|---|---|---|---|---|---|---|---|---|---|---|---|---|---|---|---|---|---|---|---|---|---|---|---|---|---|---|---|---|---|---|---|---|---|---|---|---|---|---|---|---|---|---|---|---|---|---|---|---|---|---|---|---|---|---|---|---|---|---|---|---|---|---|---|---|---|---|---|---|---|---|---|---|---|---|---|---|---|---|---|---|---|---|---|---|---|---|---|---|---|---|---|---|---|---|---|---|---|---|---|---|---|---|---|---|---|---|---|---|---|---|---|---|---|---|---|---|---|---|---|---|---|---|---|---|---|---|---|---|---|---|---|---|---|---|---|---|---|---|---|---|---|---|---|---|---|---|---|---|
게시일 | 2016-04-15 | 국가 | 카타르 | 작성자 | 김민교(도하무역관) | ||||||||||||||||||||||||||||||||||||||||||||||||||||||||||||||||||||||||||||||||||||||||||||||||||||||||||||||||||||||||||||||||||||||||||||||||||||||||||||||||||||||||||||||||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시장진출의 첫걸음은 벤더 등록부터 - 약 50억 달러에 달하는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시장 - - 벤더 등록은 시장진출을 위한 첫걸음 - -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보다 유지 및 보수에 대한 높은 수요가 존재하는 시장 -
□ 플랜트 기자재 시장 개요
○ 카타르의 플랜트 기자재 수입 규모는 2015년 약 50억350만 달러로 전년대비 4.96% 증가함. - 카타르의 플랜트 기자재 수입규모는 2012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연평균 8.53%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2014년부터 시작된 유가하락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 - 전기 분야는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전체 수입규모의 67.38%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회전기계류(12.6%), 배관 및 밸브류(7.33%), 고정장치류(5.37%) 등의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플랜트 기자재별 수입통계 (단위: 천 달러)
자료원: 카타르 통계청
자료원: 카타르 통계청
○ 한국산 제품의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5년 약 5.0% - 한국산 제품의 카타르 플랜트 기자재 진출 규모는 약 2억9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34% 감소한 금액 - 한국산 제품은 2014년에 비해 계장분야를 제외한 전 분야에 걸쳐 수출금액이 감소함, 특히 고정장치류와 회전기계류는 해당 제품이 주로 사용되는 오일과 가스 관련 분야의 신규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수요만 존재함에 따라 해당 시장의 경쟁력이 더욱 치열해져 전년대비 큰 폭으로 하락
○ 대형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보다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발주에 집중할 예정 - 카타르는 오일과 가스 분야에 있어 필요한 설비 및 장비를 갖추고 있어, 향후 5년간 오일과 가스 관련 대형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를 발주하지 않을 전망 - 2022년 월드컵 개최를 위한 프로젝트 및 카타르 비전 2030을 중심으로 프로젝트의 우선순위가 재정비됨에 따라, 당분간 대규모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발주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일 전망 - 상하수도(Mega Water Reservoir), 담수프로젝트(Facility D), 전력망(Phase 13)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물, 전기 등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공급망 확충 프로젝트를 추진 중
□ 각 기자재별 동향
○ 고정장치류 - 카타르 고정장치류의 수입규모는 2015년 약 2억7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9.83% 성장했음. - 고정장치류의 수입규모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열교환기의 전년대비 -4.32%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2014년 45만 달러 규모였던 정화장비가 전년대비 45%의 성장을 보여 전체 고정장치류의 성장세를 유도함. - 한국산 고정장치류의 카타르 내 시장점유율은 약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산 등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낮다는 평가임.
○ 회전기계류 -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된 유가하락으로 인해 카타르의 회전기계류 수입규모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2014년 -18.48%, 2015년 -1.85%의 감소세를 보임. - 전체 수입규모는 약 6억3000만 달러이며, 이중 한국산 제품은 300만 달러 수준으로 전년대비 약 66% 이상 감소함. - 모터(HS Code 8501류) 시장은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어 독일, 이탈리아, 미국, 영국 등 유럽과 미국의 선진국 제품이 전체 47%를 점유하고 있음.
○ 배관 및 밸브류 - 카타르의 배관 및 밸브류 시장 규모는 2012년 3억2000만 달러에서 2015년 3억30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향후에도 루세일(Lusail) 등 신도시 건설, 저수시설 건설, 담수 플랜트 건설로 인한 기자재 수요가 증가할 전망 - 카타르의 HS Code 7307류 파이프, 튜브 시장의 규모는 2015년 전체 2억 달러로 전년대비 60% 증가했으나, 우리나라 제품의 수입은 오히려 56% 감소. 41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2%를 차지함.
○ 전기 분야 - 카타르 내 플랜트 기자재 제품의 약 67.38%(금액 기준)를 차지하고 있는 전기분야는 2015년 약 34억 달러를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시장이 커지고 있음. - 한국산 전기장비 및 부품의 수입은 2014년 전년대비 약 2배 이상의 성장을 보였으나, 2015년 전년대비 28.61% 감소한 약 1억6000만 달러로, 전체 전기장비 시장의 약 4.7%를 차지함. - 고품질의 유럽과 미국산 제품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양극화된 시장임.
○ 계장 분야 - 2012년부터 연평균 23.12%로 꾸준히 증가해 2015년 1억4000만 달러를 달성한 계장분야는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꾸준한 수요와, 상하수분야 신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전체 시장규모의 증가를 견인할 전망 - 꾸준한 계장분야 시장과 더불어 한국산 계장분야 제품의 수입규모도 2015년 약 1억45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3.33%의 증가율을 보임.
□ 시사점 및 진출전략
○ 관련 프로젝트 계획으로 성장하는 제품군과 성장세가 감소한 제품의 구분이 뚜렷한 시장 - 유가하락으로 인해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는 줄어 관련 시장규모는 감소하고 있으나, 보유한 플랜트의 기자재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함. - 카타르 내 인프라 구축 계획으로 전력망, 저수 및 상수시설 건설 프로젝트와 같은 물, 전기 관련 프로젝트는 지속될 예정으로 관련 제품의 수요가 있음. - 따라서 전기, 배관 및 벨브류 관련 기업들은 대형 프로젝트 참여 기회가 다수 존재하며,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벤더 등록이 필수
○ 벤더 등록을 통한 납품실적 확대 - 현지 발주처에 벤더 등록된 제품 위주로 사용하는 현지 특성상, 발주처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춰 벤더 등록을 진행하는 것이 현지 진출의 첫걸음 - 벤더 등록을 위해서는 발주처의 요구에 맞는 인증서 보유, 공장감사 등의 프로세스를 거쳐야 함. - 벤더 등록 이후, 현지 패키지 기업 및 주요 EPC 기업으로 납품 실적을 기대할 수 있음. 이를 통해 대형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점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가격경쟁력보다는 제품의 품질을 높여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 - 최근 KOTRA 도하 무역관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상담회에 참가한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 의하면, 저가제품보다 가격경쟁력은 떨어지더라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밝혀져 제품의 경쟁력을 갖춰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함. - 특히 현지에서 요구하는 제품 인증서의 확보 및 타 지역의 수출 경험과 같은 객관적 증거를 토대로 진출할 경우, 시장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익숙한 제품을 선호하는 시장 트렌드 - 모터시장(HS Code 8501) 유럽산과 미국산 제품의 선호도가 전체 시장의 약 50%에 가까이 점유하고 있으며, 제품 선호도가 높아 진출에 어려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현지 발주처 특성상 문제가 발생하거나 납품단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경우, 기존에 사용한 익숙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 따라서 벤더등록을 통해 현지기업으로 하여금 제품의 품질은 인정받은 후,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시장진출을 모색해야 함.
자료원: 카타르 통계청, MEED, KITA 및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