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애욕에 빠진 사람은 횃불을 들고 바람을 거슬러
달리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손을 데는 화를 입게 된다."
[42장경]
우리는 많은 것을 보고 듣는다.
그러나 그것이 자신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생각까지는 잘 하지 않는다.
세상에 나와 상관없는 일이 하나라도 있던가?
모두가 나의 잠재적인 모습이다.
부처님과 보살들이 중생에게 연민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은
일체를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최근 뉴스에 우리나라 여성의 사망 원인 중
세 번 째가 자살이라고 했다.
슬프다. 도대체 얼마나 희망을 못 느꼈으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단 말인가.
사회의 지도층, 종교인들은 깊은 참회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욕망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그들은 세상을 쉽게 봤을 것이다.
무엇이든 마음만 먹으면 다 얻을 수 있으리란 생각을 했을 것이다.
그들은 "하루를 살아도 행복할 수 있다면
그 길을 따르리라"는 호기를 부렸을지도 모른다.
안 된다. 이런 자세는 결코 삶에 도움 되지 않는다.
반짝이는 하루보다는 덜 반짝이는 열흘, 지루한 한 달,
밋밋한 일 년을 살겠다는 진지한 자세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횃불만 보고 달려 나간다.
욕망이라는 횃불이 얼마나 위험한가.
왜 인간은 그토록 매번 뜨거운 맛을 보고 나서야
황폐해진 심신을 거두는 것일까.
우리는 모두 보고 알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손에 타고 있는 불을 보면서 말한다.
"당신은 몰랐단 말인가.
그토록 위험한 욕망이라는 괴물을!"
하지만 자신도 탐욕이라는 횃불을 쥐고 있음을 안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하시드 신비주의자이며 하시디즘의 시조인
바알 셈(1690-1760)에게
그의 제자가 유혹을 피할 수 있는 법에 대해 물었다.
그는 유혹을 피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지금 당장은 유혹받을 일도 없으며
그만한 자격도 없다는 말을 했다.
제자는 이 말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가 말했다. "유혹이라는 악마는 너를 쫓아오지 않는다.
오히려 네가 쫓아가고 있다.
당장은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 일이 일어날 때에는 내가 너를 돌봐 줄 것이다."
유혹은 마지막 절정에 온다.
인간사 장애는 뭔가 결정해야 할 때 모습을 드러낸다.
이 절정을 잘 넘어서면 안락을 얻을 수 있다.
중국에서 위진남북조 이래로 300 년간은
불학과 불교의 분위기가 충만했던 때다.
수 왕조를 개국한 수문제 양견에 이어 황제에 올랐던
수양제 양광은 부친과 형을 시해하고 황제에 올랐는데,
당시 그는 득의양양하여 이런 말을 했다.
"나는 본래 부귀를 추구하는 마음이 없었거늘,
부귀가 사람을 다그치며 올 줄을 누가 알았으랴."
세상이 자신을 유혹했다는 뜻이니,
참으로 대담무쌍한 말이다.
훗날 나라가 망하고 목숨을 부지하기 어렵게 되었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도리에 어긋나게 들어오면 도리에 어긋나게 나간다."
이것은 증자가 말한
"말[言]이 도리에 어긋나게 나간
것은 어긋나게 들어오고, 재물이 어긋나게 들어온 것은
또한 어긋나게 나간다"는 말과 흡사하다.
사물의 적절한 이치를 이해한다면
우주를 더 크게 유용할 인연이 다가온다.
그는 이미 경이롭고 큰사람이다.
-보경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