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등산(159.4m)·옥녀봉(232.2m)·화전산(164.6m)·용등산(260.0m) 산행기
▪일시: '25년 2월 14일
▪날씨: 맑음, -2~9℃
▪출발: 오전 7시 20분경 거제시 하청면 대곡리 ‘편백숲펜션’ 정류소
오늘은 칠천도의 산들과 용등산을 올라보기로 하고, 고현터미널에서 06:45發 칠천行 버스에 올라 ‘편백숲펜션’ 정류소에는 7시 20분경 도착하였다.
(07:20) ‘칠천로’를 따라 동쪽으로 나아가 고갯마루(‘덕만치’)에 이르니 ‘칠천량해전길’ 안내도와 ‘→굿등산 정상 1.39km, ↑물안해수욕장 0.39km, ↓송포마을 1.36km’ 이정목과 함께 너른 산길이 보였다. 그 쪽으로 오르니 2분여 뒤 ‘칠천량숲길 446’ 119 표시목이 보이는데, 이후에도 약 2분 간격으로 표시목이 계속 보인다. 조금 뒤 두 개의 벤치에 이르니 ‘→칠천량편백숲’ 팻말과 함께 오른쪽에 흐릿한 갈림길이 보이는데, 이용객은 별로 없는 듯하다.
(07:51) 전망대가 있는 정상에 이르니 ‘마산439, 1995재설’ 삼각점과 ‘굿등산(고도161m), ↑옥녀봉 입구 0.63km, ↓물안(옆개)해수욕장 2.07km’ 이정목이 보인다. ‘↓등산로 입구 1.97km’ 이정목에 이어 도로(‘칠천중앙로’)에 이르니 ‘↑옥녀봉 1.72km, ←물안마을 1.23km, ↓굿등산 0.6km, →대곡마을 0.65km’ 이정목이 보인다.
(08:01) 오른쪽으로 몇 걸음 가니 ‘↑옥녀봉 정상 1.69km, ↓굿등산 입구 0.05km’ 이정목과 함께 다시 산길이 이어졌고, 5분여 뒤 안부 삼거리에 이르니 ‘←이온요트장 1.17km, →옥녀봉 1.56km, ↓굿등산 입구 0.24km’ 이정목이 보인다. 오른쪽으로 올라 능선에 닿았고, 12분여 뒤 쓰러진 ‘↑옥녀봉 0.67km, →대곡마을 1.67km, ↓굿등산 입구 1.07km’ 이정목에 이르니 오른쪽에 흐릿한 갈림길이 보인다.
(08:40) ‘옥녀봉 232.7m, ←옥계마을 0.7km, ↓대곡고개 1.7km’ 이정목에 이어 옥녀봉 전망대에 서니 나뭇가지 사이로 시야가 트인다. 5분여 뒤 안부에 이르니 ‘→옥계마을 0.4km, ↓옥녀봉 정상 0.3km’ 이정목이 있는데, 직진하는 길도 뚜렷하나 오른쪽으로 내려섰다. 길은 오른쪽(북서쪽) 사면으로 이어지다 왼쪽으로 휘어 골짜기로 이어졌고, 육각정을 지나 포장길(‘연구1길’)에 이르니 안내도와 ‘↑옥계마을 입구 0.5km, ↓옥녀봉 정상 0.7km’ 이정목이 설치되어 있다. 왼쪽(남쪽)으로 내려서다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서 도로(‘칠천로’)에 이르니 ‘옥계마을’ 정류소가 자리하고 있다.
(09:04) 도로를 따라 오른쪽으로 나아가다 오른편 舊도로(‘연구2길’)에 들어 하청농협에 이르렀으나 간식을 사 먹으려고 기대했던 하나로마트는 보이지 않는다. 다시 도로에 닿았고, 칠천초등학교 앞을 지나 고갯마루를 지나니 왼쪽에 보이는 포장길(‘연구5길’)이 보인다.
(09:19) 그 쪽으로 나아가다 2분여 뒤 오른편에 보이는 능선길로 오르니 2분여 뒤 텃밭에 닿아 길이 끝난다. 오른편 덤불 능선을 치고 나아가니 망사에 닿고, 이를 넘어가니 개가 짖어대는 염소 농장이 나오는데, 담장에 막히길래 되돌아섰다. 이번에는 망사 오른편 사면을 치고 나아가 빼곡한 대나무숲을 통과하니 왼편에서 농장에서 올라온 양호한 산길을 만난다. 방치된 귤밭을 지나니 길은 오른쪽(서쪽)으로 휘어 흐릿해지는데, 능선에 이르니 흐릿한 족적이 보였고, 12분여 나아가 정상에 도착하였다.
(09:59) 조망이 없는 ‘화전산’ 정상에는 바닥에 두 개의 표지기가 떨어져 있다. 더 이상 길 흔적이 보이지 않아 되돌아섰고, 15분여 뒤 다시 농장에 닿아 너른 길을 내려서니 ‘연구5길’에 닿는다.
(10:29) 다시 ‘칠천로’에 닿아 왔던 길을 따라 ‘옥계마을’ 정류소에 이르렀고, 남서쪽 진입로를 따르다가 왼편 데크계단길로 올라섰다.
(10:52~11:01) 정상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고, ‘칠천량해전공원’ 벤치에서 간식을 먹을 겸 휴식.
(11:01) 되돌아서 다시 ‘옥계마을’ 정류소에 이르렀고, ‘칠천로’를 따라 동쪽으로 나아가니 오른편에 씨름섬을 칠천도와 연결하는 현수교가 바라보인다. ‘장안마을교차로’에서 오른쪽으로 칠천교를 건너니 소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조금 뒤 왼편에 ‘쌈지공원’으로 오르니 정상에서 도로와 연결되지 않기에 되돌아섰다. 다시 도로를 따라 ‘실전삼거리’에 이르니 맞은편에 ‘해안길슈퍼’가 있어 콜라를 사 마신 후, 왼편으로 나아가 ‘거제북로’에 이르렀다.
(11:53) ‘실전’ 정류소에 이르니 ‘맹종죽순체험길’ 안내도가 보였고, 마을길(‘실전2길’)에 들어 ‘실전경로당’에 이르니 ‘↑전망데크 1.7km·임도사거리 0.8km, ↓실전마을 입구 0.1km’ 이정목이 보였다. 갈림길에 이르니 ‘↗임도사거리 0.7km, ↓실전마을 입구 0.2km’ 이정목이 보였고, 다음 갈림길에 이르니 ‘↖실전소류지 80m, ↗임도사거리 0.5km, ↓실전마을 입구 0.4km’ 이정목이 보였다. 오른편으로 올라 ‘옥천사’를 지나니 ‘←맹종죽순체험길, ↓장목파출소 3.8km’ 이정목이 보인다.
(12:10) 임도 사거리에 이르니 ‘←편백나무쉼터 0.5km, ↑사환마을 입구 0.8km, →전망데크 0.9km, ↓실전마을 0.7km’ 이정목이 있는데, 고갯마루(‘모리고개’)에서 능선으로는 산길이 보이지 않는다. 북동쪽으로 몇 걸음 가니 산길이 보여 그 쪽으로 오르니 능선으로 흐릿하지만 양호한 산길이 이어졌다.
(12:32) 용등산 정상은 몇 개의 표지기가 걸린 갈림길인데, 왼편에 묵은 ‘↑임도 0.9km, ↓탐실길 0.9km, ←사환고갯길 1.1km’ 이정목이 보인다. 여기서 사환고갯길은 모리고개를 지나는 포장길이 아닌가 싶고, 탐실은 어딘지 알 길이 없다. 몇 걸음 되돌아 남서쪽으로 내려서니 덤불 사이 흐릿한 산길이 이어지는데, 5분여 뒤 왼편에 묵은 무덤이 보이면서 길 흔적은 더욱 흐려졌다. 조금 뒤 덤불 사이 산판 자취가 이어졌고, 대나무 숲을 지나 묘지에 닿는다. 대략 남서쪽으로 내려서서 오른쪽에 갈림길이 보인 데 이어 건물 오른편으로 나아가 마을길(‘하청3길’)에 닿았다. 도로에 닿아 오른쪽으로 나아가니 이내 이른 갈림길에는 ‘↑성동마을 입구 0.3km, ↓임도사거리 4.1km·편백나무쉼터 3.6km’ 이정목이 보이는데, 아마도 임도가 모리고개(편백나무쉼터) 방면으로 이어지는 듯하다. 남서쪽으로 나아가 ‘거제북로’에 이르니 ‘하청주공’ 정류소가 자리하고 있다.
(12:57) 1시 1분경 도착한 31번 버스를 타니 고현터미널에는 1시 26분경 도착한다. 황급히 13:30發 버스표를 구입하여 버스에 오르니 통영터미널을 경유하여 막힘없이 달려 대전에는 4시 25분경 도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