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까지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경쟁력을
세계 10위권까지 끌어올리고, 세계시장의 5%를 점유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이 추진된다.
* ’11년 국내 건설기업 설계경쟁력 19위 (건설기술연구원 글로벌경쟁력지표)
’11년 건설엔지니어링 수주 1.9% (해외건설협회 수주통계)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이러한 목표로
향후 5년간(’13~’17) 건설기술 정책 로드맵인 「제5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라 건설기술 정책·제도의 선진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기술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
근래 국내 건설업체는 국내 건설시장 침체와 건설물량 부족으로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미국 등 선진국 뿐 만 아니라 중국?인도 등 신흥국과의 경쟁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며,
특히 엔지니어링 분야는 기술력 부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영역인 계획?설계 등 소프트 기술과
기초.원천 기술이 선진국 대비 70~80% 수준으로 글로벌 수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데 따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미국(=100) 대비 기술수준 : 원천기술 72.8%, 기본설계 73.4%,
상세설계 85%, 기자재 81.5%, 시공관리 82.6% (엔지니어링플랜트기술센터, ’11년)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설계?감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 全단계에 걸쳐
기술력을 끌어올리고 관련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건설기술 경쟁력 기반 구축, △건설 단계별 ‘소프트’ 역량 강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역량 결집 등 3대 주요전략과 7개 분야 52개 추진과제를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그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설기술의 경쟁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건설기술인력 수급예측시스템 구축,
국가 간 전문 인력 교류 확대 등 글로벌 환경에 맞는 인력관리를 추진하고,
건설 전 분야 BIM 도입, 실험 인프라 확충 등 정보화?R&D도 확대 시행한다.
또한, 건설단계별 소프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술력 중심의 발주체계를 구축하고,
설계·시공기준을 총체적으로 정비하는 한편, 공공 공사 현장에 대한 품질관리
인증제 도입 등 시공·시설물 관리체계도 개선한다.
이를 통한 강화된 업계 경쟁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주요 국가별 진출전략 수립, 정부 간 협력회의 운영 등 全 방위적 건설 엔지니어링
해외진출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국토해양부는 “건설기술의 전통적인 로우테크(Low-tech) 이미지를 벗고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과 융합이 필수적”이라고 평가하면서,
“건설기술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해외건설 1,000억불 시대를 앞당기고 나아가
경제발전의 견인차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