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철문 두께만큼이나 높은 벽이 생긴 이웃들이다. 현대에선 좀체 무너지지 않는 이 벽은 사람 마음조차 철저히 차단한 상태다. 이 벽은 이웃의 안녕 따윈 무관심하게 만들기도 한다. 간간이 아파트촌에서 들려오는 독거사 뉴스가 이를 방증하잖은가. 회색빛 콘크리트 숲에 갇혀 사노라니 더욱 이런 현상을 실감한다. 하지만 내가 사는 아파트엔 이웃의 따순 정이 넘친다. 사람은 사소한 것에 정들고 벗어진다는 사실을 이곳에 살며 새삼 깨닫곤 한다. 여름철만 돌아오면 현관 앞엔 수시로 상추며, 파, 아욱 등이 비닐봉지에 가득 담겨 놓인다. 버섯 농장을 하는 이웃은 갓 따온 싱싱한 버섯들을 종종 문 앞에 놓아둔다. 식당을 운영하는 어느 이웃은 구수한 누룽지를 한 보따리씩 놓고 가기도 한다. 이웃의 이런 살가운 정을 대하노라면 절로 가슴이 훈훈하다. 그래 나 역시 이웃의 오는 정에 가는 정을 듬뿍 얹어 보태곤 한다. 아파트 베란다에 있는 30년 된 된장을 퍼 주기 예사다. 이웃이란 뜻의 본디 한자를 살펴보면 이웃 ‘린(隣)’ 자는 ‘읍(⻏) 변’에 ‘도깨비불 린(燐)’자를 덧붙인 글자 아니던가. 도깨비불 린(燐)자는 ‘쌀 미(米)’ 아래에 어기질 ‘천(舛)’자를 받친 글자다. 이 글자의 본래 뜻을 살펴보면 이렇다. 마을 사람들이 서로 쌀을 주고받으며 왕래하는 사이를 뜻하는 글자다. 지난날 궁핍한 삶이었지만 한 줌의 쌀일지언정 서로 나눠먹는 사이, 내 것 아까운 줄 모르고 덥석 타인과 나누는 게 예전 우리 모습이었다. 이러한 이웃 온기가 점차 식어간 것은 산업사회 후기부터다. 특히 요즘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우리네 생활상이다. 이 때문에 곧잘 이웃과의 분쟁도 발생하곤 한다. 아파트 층간 소음이 그것이다. 걸핏하면 이 문제로 칼부림까지 일으키잖은가. 예전엔 상상조차 못할 현상이다. 하긴 온갖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 아닌가. 그러므로 가장 편안한 쉼터는 역시 가정이다. 밖에서 힘들게 일하고 휴식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가 집 아니던가. 이때 아래, 위층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크나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웃에 대한 이야기를 하노라니 수년 전 코로나 19가 창궐했을 때 일이 갑자기 떠오른다.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이웃과 마주치면 경계하기 일쑤였다. 혹여 전염력 강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될까 봐 온몸을 움츠리기 예사였다. 심지어 어떤 이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일회용 고무장갑을 끼고 아파트 층수 버튼을 누르는 것도 목격했다. 반면 이때만큼 이웃에 대한 관심이 깊었던 적도 없었지 싶다. 바로 옆집이라든가, 아니면 같은 아파트 통로에 사는 이웃이 제발 코로나19에 전염되지 않기를 얼마나 마음속으로 간구했던가. 평소 그때만큼 이웃의 평안을 진심으로 빌어본 적 있던가. 이유야 어찌 됐든 이웃이 건강하고 행복해야 나 자신도 안전하다. 이웃이야말로 얼마나 소중한가는 『한비자』에 나오는 얘기만 하여도 그렇잖은가.
공자의 고향인 노나라는 동쪽으로 이웃하고 있는 강국 제나라의 위협 때문에 항상 존망의 위기에 시달려야 했다. 이 때문에 목공(穆公)은 제나라에 맞설 수 있는 또 다른 강국인 진(晋)나라와 초(楚)나라의 도움을 받을 목적으로 자신의 아들들을 보내 그 나라에서 벼슬하며 왕에게 충성을 바치도록 했다.
목공은 그렇게 하면 제나라가 침략할 경우 진나라와 초나라가 원군을 보내 노나라를 구해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런데 이서(犂鉏)라는 신하가 나서서 목공의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가를 지적하면서 이렇게 간언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아들이 물에 빠지자 멀리 떨어져 있는 월(越)나라 사람을 불러다가 구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월나라 사람이 아무리 헤엄을 잘 친다고 해도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 오는 동안 그 아들은 물에 빠져 죽고 말 것입니다.
또한 만약 집에 불이 났을 때 멀리 떨어져 있는 발해(渤海)의 바닷물을 끌어다가 불을 끄려고 한다면 아무리 많은 바닷물이라고 해도 그것을 끌어오는 동안 집은 다 불타고 말 것입니다. 이렇듯 ‘멀리 떨어져 있는 물은 가까운 곳의 불을 끄지 못하는 법입니다(遠水不救近火).’ 진나라와 초나라가 아무리 강하다고 해도 우리 노나라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 있는 위협인 제나라의 공격을 어떻게 하지 못합니다. 비록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해도 아무 소용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나라와 초나라는 우리 노나라의 근심을 해결해주지 못할 것입니다.” 라고 말이다. 즉 이 말은 ‘먼 데 사는 사촌보다 이웃이 낫다’라는 우리 옛말과 일맥상통하잖은가. 아무리 우애 깊은 형제일지라도 천리만리 떨어져 살면 날마다 마주치다시피 하는 이웃만 하랴.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가 없다. 너와 내가 있기에 우리가 존재하잖은가. 이는 단연코 꼭 이웃만의 일은 아닐 것이다. 인간은 아무리 지체가 높고 재산이 많아도 혼자서는 살 수 없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란 말이 그래서 생겨났다. 그러므로 이웃을 언제나 같은 깊이로 사랑하는 일이 곧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김혜식 수필가/前 청주드림 작은도서관장
|
첫댓글
德不孤 必有隣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고
이웃이 꼭 있다.
공자께서 하신 말씀이지요.
아직은 오고 가는 정이 있는
이웃이 있어서 그런대로
살아갈 수 있는 것 같군요.
먼데 있는 것은 아무리 좋고
필요해도
가까운 곳에 있어서 즉시 도움이 되는 것만
못한게 현실입니다.
오늘도 고견주신
소산 님 !
고맙습니다 ~
늘 건강하세요
~^^
멋진글과 말이 이 아침을
풍요롭게 하는군요~
반갑습니다
고수보다고수 님 !
다녀가신 고운
멘트 감사합니다~
오늘도
보람으로 미소짓는
좋은 하루보내세요
~^^
좋은글 감사 합니다
좋은 공감 멘트로
공유하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동트는아침 님 !
안녕 하세요....망실봉님
불볕더위를 실감 하는 요즘 입니다
건강 조심 하시고
시원한 하루 하루 보내세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
좋은 공감 멘트로
공유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핑크하트 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