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비녀가 생각나는 날
숲길을 걷다보면
산모롱이 넘어
비탈진 언덕 풀밭에
옥색 두른 하늘 꽃이 내려 앉는다.
내게도
고운 꽃 이름이 안겨와
그리움으로 남지만,
그 옥색빛 물든 삶이기에
나는 늘 떠나면서 살아 왔어
서로 비비고 살고 싶었지
강빛이 좋아 강물을 따라 흘러 갔어
어딘가 강 기슭에도
버선발처럼 고운
산옥잠화의 꿈이 피어 있을 테니까
그렇게 사는게
정의(情誼)였나봐
그리움이 가슴에 남아있는 한
오래 전에
*망각' 된 엄마의 *사랑'이
되살아나
언젠가는
울 엄니의 비녀 닮은
산옥잠화의 청초함을 알아볼 수 있겠지.
詩/盛鉉(2015.6.19)
♧산옥잠화의 特徵 및 效能
가.特徵
ㅡ꽃말 : 사랑의 망각
ㅡ다른 이름 : 일월비비추
ㅡ유래 : 학명인 Hosts lancifolia이'
피침형의 잎'이라는 뜻으로 옥잠화의 잎이 피침형으로 생긴데서 유래되었다.
ㅡ특성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냇가
의 바위틈에서 자란다.잎은 모두 뿌리에
서 나오고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으로 윤이나는 녹색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
자리가 밋밋하거나 우굴쭈굴하다. 4~5쌍의 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총상꽃
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은 깔때기처럼 생기고 뒤로 젖혀진
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긴 타원형이
고 비스듬히 서며 3개로 갈라진다. 봄에 연한 잎을 나물로 먹는다.
나.效能
1.생약명 : 자옥잠화(紫玉蠶花)
ㅡ성분 : 사포닌,철분,비타민C등이 함유
ㅡ성질 : 맛이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
간 따뜻하다.
2.채취및조제 : 필요시 수시로 잎을따서 즙으로 이용하거나, 꽃이 진다음 잎을 채취하여 기름을 내어 쓴다.
ㅡ사용부위 : 잎과 뿌리
3.효능 : 이기(理氣), 보허, 화혈(和血),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ㅡ적용질환 : 인후종통, 치통, 의통, 혈붕, 대하,옹저,나력을 치료한다.
4.용법 용량 : 잎은 즢을 짜서 젖앓이를 하거나 중이염은 앓을 때 쓰고, 잎에서 추출한 기름은 만성 피부궤양, 뿌리즙은 임파선 결핵 등에 바른다고 한다.
<식용법> 맛이 담백하고 씹히는 느낌이 좋으며 약간 미끈거려 산채 중에서는 고급품에 속한다. 데쳐서 나물로 하는데 마요네즈나 케첩에 무쳐 먹어도 좋다.
국거리나 쌈으로 이용.
※출처 : Naver&Daum의 블로그나 지식
백과에서 발췌
by무등야초(2019. 6.6)
촬영장소 : 광주광역시 북구청사 정원뜰
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