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시간표
서울 강남고속버스터미널 |
06:00~23:30 (15분 간격배차) |
서울 남부버스터미널 |
06:20~22:50 (15분 간력 배차) |
동서울 버스터미널 |
07:00~20:50 (60분 간격 배차) |
수원~안성 |
06:30~21:40 (20분 간격 배차) |
천안~안성 |
07:00~20:40 (30분 간격 배차) |
평택~안성 |
05:30~23:45 (5~10분 간격 배차) |
용인~안성 |
06:00~22:00 (30분 간격 배차) |
인천~안성 |
06:40~20:30 (60분 간격 배차) |
인천공항~안성 |
06:00~21:30 (60분 간격 배차) | 지하철 이용방법
평택역 하차 → 평택역 앞에서 도시형 버스 승차 |
(50번,70번 / 5~10분 간격 배차) → 안성 터미널 | 시내버스 시간표
안성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터미널 |
축제행사장 정문까지 순환 전용버스 08:00~23:00 → 3~5분 간격 배차 운행 |
안성 시외버스 터미널 |
축제행사장 입구 (내려서 5분 거리) 버스터미널에서 장호원, 일죽, 삼성, 죽산, 삼죽, 백암 방면 승차 | 고속도로 이용방법
경부고속도로 안성IC → 안성 |
서울~안성간 1시간 소요 |
경부고속도로 안성분기점 → 서안성IC→ 양성→ 안성 |
서울~안성간 1시간 소요 |
중부고속도로 일죽IC → 안성 |
서울~안성간 1시간 소요 |
서해안 고속도로 →평택~청주간 고속도로→ 서안성IC 또는 경부고속도로 안성IC |
서울~안성간 1시간 소요 | |
 |
안성 술 박물관
|
소재지 : 금광면 개산리, ☎671-3903 -관련 기사 (안성=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술장사를 하며 주류에 대한 사회의 좋지 않은 시각이 안타까웠어요. 술의 긍정적인 면을 알리고 싶어 자그마한 박물관을 열었습니다"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개산리 금광산 자락 1천500여평 부지의 아담한 2층짜리 '금광산 술' 박물관.지난 14일 개관한 금광산 술 박물관에는 애주가인 박영국(50)관장과 동생 박영덕(44)형제가 주류도매상을 하며 13년동안 모은 술과 술에 관련된 희귀한 자료 3천여점이 전시돼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 울산군청이 발급한 양조장 면허증과 밀조주 금지 전단지, 1926년 제작된 조선주조사(일제시대 지역별 주류와 양조장에 관한 책자), 1955년작 크라운맥주 홍보 달력, 50∼60년대 판매됐던 200여종의 소주 상표 등 희귀본이 눈에 띈다. 소주고리(소주를 증류하는 도구)와 누륵틀 등 전통주 제조 도구와 술병으로 썼던 청자와 백자 등 자기류, 나무 막걸리통도 발길을 멎게 한다. 물론 전국의 전통주와 소주, 맥주, 와인, 위스키 등 각종 술도 연대별로 전시돼있다. 박씨 형제는 주류도매상 운영을 시작한 지난 1991년부터 전국의 고서점과 골동품가게, 개인 수집가 등을 찾아다니며 술과 관련된 자료를 모았다. 동생 박영덕씨는 "과거 주류업계 종사자들이 탈세 등 처벌을 면할 목적으로 관련 자료를 많이 없애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박물관 개관을 계기로 뜻있는 분들의 기증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박씨 형제는 박물관이 증축되는 대로 공간이 부족해 전시하지 못한 나머지 4천여점의 자료도 공개할 계획이다. | |
안성맞춤유기공방
|
소재지 : 안성시 안성1동, ☎675-2590 안성맞춤기는 "안성맞춤"의 대명사로 통한다. 놋쇠 또는 통쇠라고 하며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에 이렇게 불렀다고 전해진다. 안성유기는 한동안 그대로 잘 유지되어 오던 것이 일제침략으로 인하여 1941년부터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전국에 있는 유기를 거두어들임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되어 일시에 안성유기가 없어지는 큰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뜻있는 유기공들은 산으로 숨어들어 계속 유기를 만들었다. 전쟁중에는 안성 유기가 별로 성행을 보지 못하여 5~6곳이 있을 정도였으며 대부분 일제의 눈을 피하여 산속 등지에서 숨어 제작하였다. 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안성 유기는 갑자기 성행하여 안성시내 곳곳에서 유기업이 번성하였다. 이때는 식기류인 반상기를 중심으로 하여 수저,젓가락, 담뱃대 등을 비롯하여 해방의 감격으로 급격히 성행한 농악기구까지 만들게 되었다. 본래 농악기구는 방자(놋쇠를 달군 후 두들겨 만드는 방법)식으로 제품을 만드는데 안성 유기의 특징은 주물제작법이었으므로 이때부터 안성유기에도 방자 제작법이 성행하여 안성유기의 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안성유기도 거대한 생활 변화로 밀려오는 시련은 어쩔수 없었다. 그것은 광복 후 반짝하고 빛나던 성황이 사라진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 생활에 있어서 연료의 변화가 온 것이다. 본래 우리나라의 일반적 연료는 장작을 위주로 한 나무였다. 그러나 6.25가 지나고 대도시의 연료가 연탄으로 바뀌게 되었다. 주로 부엌에서 사용되는 놋식기는 연탄가스와 상극적인 관계가 있어 시뻘겋게 녹이 슬거나 누렇게 변해버려 곧 식기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유기 대신에 알루미늄 그릇이나 스텐레스 그릇으로 바꾸어 사용하게 되고 아울러 유기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6.25를 전후로해서 안성의 유기는 절정을 이루는 듯하여 그 공장의 수만도 37개나 되었으나 지금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계보를 잇고 있다. 안성유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제기 용품, 생활 용품, 반상기 용품, 혼수 용품, 절에서 사용하는 용품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기용품에는 제사 지낼 때 제물을 담는 그릇으로 대접, 제줏잔과 제잔대, 접시, 적틀, 퇴줏그릇, 촛대, 향로 등이 있다. 또한 생활 용품으로는 수저를 비롯하여 주발, 보시기, 종지, 주걱, 담뱃대, 놋대야, 화로 등이 있다. 오늘날 유기로 만든 학, 사슴, 황소, 재떨이 , 마패, 범종 등이 안성 유기로 만들어져 장식품이나 관광용품으로 팔리고 있다. 제짝이 아니었던 것을 갖다 맞출 때 매우 잘 맞음을 비유하면서 안성맞춤이란 말을 쓴다. 그 만큼 어떤 물건이나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릴 때 이런 말을 쓰는데 안성은 유기제품을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정성껏 만들어 품질이나 모양등 기교면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만족시켰기에 "안성맞춤"의 대명사가 되었다. 특히 안성 유기가 다른 지방의 것보다 유명한 것은 서울 양반가들의 그릇을 도맡아 만들었기때문이다. 안성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유기를 만들어 판매하였는데 하나는 서민들이 사용하는 그릇으로 이것을 "장내기"라고 하였고, 다른 하나는 관청이나 양반가의 주문을 받아 특별히 품질과 모양을 좋게 만들어는데 이를 모춤(마춤)이라하여 "안성맞춤"이란 말이 생겨났다. |
 |
서일농원
 |
주소: 일죽면 화봉리379-1 전화번호 : 031-673-3171 영업시간 : 11:00 ~ 20:30 주요메뉴 : 된장찌개 7,000원, 청국장찌개 7,000원, 손두부 (大) 8,000원, (小) 5000원, 녹두전 (大) 8,000원, (小) 5,000원 좌석 : 270석 주차 : 150대 업소자랑 : 된장 만드는 농원에서 직접 음식을 만든다. 3만평이라 하지만 콩과 고추를 심는 밭,배과수원,매실원 등 30분 정도 산책을 즐길 만큼 아담하게 가꿔져 있다. 주인의 야무짐과 솜씨가 베어있는 조경은 잔디와 배나무, 매실나무, 소나무가 어우려져 운치가 좋다. 볕 잘 드는 곳에 삐뚤어짐 없이 늘어서 있는 2,000여개의 장독대는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풍경이다. 산책로를 거닐다 잠시 쉴 수 있도록 정자도 마련하는 배려도 잊지 않았다. 된장 농원으로 유명한 이곳을 견학이나 관람을 목적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얼추 하루 300~400명 정도. 식품을 배우는 학생, 발효식품에 관심이 많은 사람, 가정주부, 나들이 가족들이 많다. 나들이로 나선 가족들은 제대로 된 장맛도 보고 아이들에게는 우리 음식도 알려주고 싶어 찾아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교통정보 [대중교통] - 남부터미널,동서울터미널에서 죽산이나 일죽행 하차 → 택시 이용 [자 가 용] - 경부고속도로 (하행) 신갈 IC → 영동고속도로 → 호법 JC에서 중부고속도로 대전방향 → 일죽 IC (서울기점62Km) - 중부고속도로 (하행) → 일죽 IC (동서울기점 57Km)
|
고려회관
 |
주소 : 금광면 288-1 전화번호 : 031-673-3737 영업시간 : 11:00 ~ 21:00 주요메뉴 : 메기매운탕 大3만3천원 中 2만2천원, 장어구이 1킬로 3만8천원 좌석 : 200석 주차 : 50~60대 업소자랑 : 다량의 DHA를 함유한 메기는 특효음식으로 알려져 있고 업소만의 독특한 요리법과 좋은 재료로 한분 한분에게 정성을 다하고 있습니다, 교통안내 [대중교통] - 안성 I.C → 안성 시외버스 터미널 하차 → 조흥은행앞 (시청방면 도보 5분) → 금광면사무소방면 버스승차 → 금광저수지 하차 [자가용] - 안성 I.C → 안성 시외버스 터미널 → 금광초등학교 방면 → 금광저수지 요금정보
|
서울식당
 |
주소 : 안성1동 대천동 133 전화번호 : 031-675-3446 영업시간 : 10:00 - 21:30 좌석 : 500석 주차 : 5대 업소자랑 : 25년의 전통을 자랑하며 그간 스포츠서울, 독서신문등에 게제되었다. 삼계탕은 이 업소만의 비법으로 만들어 외국손님들도 자주 찾는다. 교통안내 [대중교통] - 안성 I.C → 안성시외버스터미널하차 → 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자가용] - 안성 I.C → 안성시외버스터미널 → 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