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위에 직접 올려 물을 끓이는 것이 아니며, 끓인 물과 잎차를 넣어 차를 우려 내는 부리병을 다관 또는 차관이라고 한다.
다관은 다른 다구에 비해 미적 측면이 강조되는 그릇으로 손잡이 형태에 따라 다병(茶甁), 다호(茶壺), 다관(茶罐)으로 구분한다. 재료는 은제와 철제, 청자와 백자 등의 도자기가 있다.
철제는 녹이 슬기 쉽고 은제는 사치스러워서 피하는 것이 좋으며 도자기로 된 것이 가장 차의 격조에 알맞다.
다관은 모양과 손잡이가 달린 위치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다관의 손잡이는 윗손잡이(상파), 귀손잡이(후파), 자루손잡이(횡파)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횡파형의 다관을 많이 쓰고 있다. 좋은 다관의 요건은 빛깔, 몸통, 뚜껑, 주둥이, 거르는 거물, 손잡이가 잘된 것이라야 한다.
오늘날은 자루손잡이를 많이 쓰며 손에 쥐어 보아 다루기 편해야 한다. 손잡이를 잡았을 때 편안한 것과 주둥이가 잘 만들어져 차를 따를 때 찻물이 잘 멈추어지고 줄줄 흘러내리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다관의 뚜껑이 안정된 것이라야 다관을 기울였을 때, 뚜껑이 벗겨지지가 않으며, 다관 내부의 거르는 그물이 가늘고 섬세하게 구멍이 고르게 만들어져 차 찌꺼기가 새어 나오지 않아야 좋은 다관이라 할 수 있다.
다관은 손님 수와 차의 양에 알맞은 크기를 선택하여 탕수를 많이 식히는 것이 좋다. 탕수에 비해 다관이 크면 빨리 식고 향기가 쉬 달아난다. 부리 끝의 생김새에 따라 찻물이 잘 끊어지지 않고 몸통으로 흘러 내리는 것이 있으므로 유의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 상파형(일본) - 후파형(중국) - 정파형 또는 횡파형(한국) - 보병형(손잡이가 없는 것)
:찻잔
차를 마실 때 쓰는 그릇을 찻잔이라고 한다.
찻잔의 모양에는 잔(盞, 杯, 盃) 주발, 구, 술잔형 등이 있다.
잔의 입이 넓고 아래는 좁으며 몸통이 낮은 것을 盞이라 하며, 잔의 입이 넓고 아래는 좁으면서 굽이 높게 받쳐져 있는 것을 杯,盃라 하고, 잔의 입과 아래의 넓이가 비슷하고 몸통이 높으며 수직으로 생긴 것과 술잔 형태의 (種)으로 구별해서 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찻잔들은 대체로 투박하지만 뜨거운 열이 겉으로 베어 나오지 않는 것이 좋은 찻잔이다.
소형의 찻잔은 최상품의 喫茶用, 중형의 찻잔은 중 등품 이상의 飮茶用, 대형의 찻잔은 하등품의 茶用에 적합하다
형태에 따라 찻잔(茶盞), 다완 (茶碗), 다구(茶구), 다종(茶鍾) 등이 있고, 재료로는 금, 은, 옥, 도자기 등을 사용하는데 주로 도자기를 많이 쓴다.
찻잔의 모양은 입구 쪽이 바닥보다 약간 넓은 것이 마시기에 편하며 흰색 찻잔은 차의 색깔을 감상할 수 있어 좋다.
찻잔의 입술은 오무라들지 않은 것이 마시기에 편안하며 날렵한 것은 혀끝으로 차의 맛을 음미하기에 좋다.
초보자에게는 잘 우려진 차의 빛깔인 연녹색을 감상할 수 있는 산뜻한 백자잔이 알맞다.
※ 우리조상들은 예로부터 찻잔이 아래가 좁고 위가 넓은 것을 사용해 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차를 마실 때 목을 뒤로 젖히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한다.
:차탁(찻잔받침)
찻잔 받침은 차탁(茶托)이라고도 한다. 재료는 도자기, 대나무, 등나무, 향나무 등으로 만들며 나무로 만든 것이 찻잔과 부딪칠 때 충격을 방지하며 소리도 나지 않고 깨지거나 녹슬지 않아서 좋다.
형태는 배모양과 꽃잎모양,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이 있으며 크기나 모양은 전체적으로 찻잔에 어울려야 하며 찻잔의 지름에 비해서 찻잔받침의 지름이 좀 넉넉한 것이 안정감이 있어 좋다.
차를 끓여 찻병에 담아오거나 재탕을 차귀뎅이나 찻병에 담아 따로 낼 때는 찻병을 받히는 예반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찻병 받침으로 대접모양의 승반을 쓰면 덜 식고 예스럽다.
:찻사발
잎을 곱게 분말로 만든 말차를 내는 그릇. 다완, 차완이라고 한다.
말차용 찻사발로는 솔로 휘저으므로 너무 바라지지 않고 잔바닥이 조금 둥그스럼한 것이 좋다.
보통 사발정도(입지름 3cm적당)의 큰그릇 모양의 찻사발을 사용한다. 큰 찻사발은 두 사람 이상의 순배용으로 사용하며 작은 찻사발은 각자 잔으로 쓰인다.
청자 혹은 흑 유류의 찻사발이나 회백, 회청색의 분청다완이 말차용 찻사발로서 품위 있으며 적당하다.
: 탕관
찻물을 끓이는 용기로 형태에 따라 다리가 달린 다정(茶鼎), 다리가 없는 다부(茶釜), 주전자형의 철병(鐵甁) 등이 있다.
재료에 따라 금제, 은제, 동제, 철제, 옹기, 석기 유리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무쇠나 구리로 만든 것은 녹슬기 쉽고 금이나 은으로 만든 것은 지나치게 사치스러워, 열의 전도는 느리지만 물이 쉽게 식지 않고 물맛이 좋은 돌탕관을 제일로 친다.
찻물을 끓이는 솥으로 무쇠솥, 곱돌솥, 약탕관 등이 사용되나 곱돌솥이 제일 좋다. 무쇠솥은 녹이나고 냄새가 나기 쉬우나 돌솥은 돌속에 천지의 수기가 엉겨 있다가 탕을 끓일 때 녹아 나와 차와 함께 어울려 맛을 싱그럽게 한다. 그 다음이 약탕관의 순서이다. 차솥 대신에 보온병을 쓸 경우도 있다.
:숙우(물식힘사발)
차의 제 맛을 내기 위해 끓인 찻물을 식히는 그릇을 숙우라 하며 잎차를 마실 때만 쓴다. 재료는 주로 도자기를 많이 쓴다. 크기는 다관의 크기에 어울리는 것이 좋고 형태는 한쪽에 귀가 달려 물을 따르기에 편한 것이 좋다.
탕관의 끓인 물을 식히는 그릇으로 잎차에는 필요하지만 말차에서는 필요치 않으며 도자기로 만든 것이 좋다.
탕수를 다관에 부을 때 바깥으로 흐르지 않도록 입부분이 잘 만들어져야 하며 크기는 다관의 크기에 어울리는 알맞은 것이면 된다.
재탕이나 삼탕의 차를 낼때나 손님이 많을 때 차를 내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물식힘사발 또는 귓대사발이라고도 한다.
:퇴수기(물 버림 사발)
퇴수기는 흔히 버리개라고 하며 다관과 잔을 데운 물을 버리거나 다관을 엎어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으로 입구가 넓어야 한다.
칠을 한 나무그릇이나 금속, 프라스틱이 가볍고 씻기가 좋고 도자기도 쓴다.
:차호
차를 낼 때 찻통의 차를 우릴 만큼만 넣어두는 작은 항아리. 뚜껑 모양에 따라 차호와 차합으로 구분된다.
차를 담는 그릇은 꼭 닫혀야 하며, 도자기로 된 것과 주석, 알미늄, 나무로 된 것들이 있다. 말차는 작고 둥근 차합에 담는다.
:뚜껑받침
다관 뚜껑이나 차호의 뚜껑을 받쳐 놓는 다구.
:차거름망
차를 다관에서 따를 때 작은 찻잎 찌꺼기를 걸러주는 다구. 표주박에 망을 씌워 체로 만든 것과 대나무,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있다.
:차칙(찻숟가락)
차를 다관에 넣을 때 사용하는 찻숟가락 용도의 다구. 대나무의 절반을 쪼개어 만들거나 대나무 뿌리로 만든 것이 있다.
찻숫가락은 차통에 들어 있는 차를 다관이나 찻잔에 옮기는 다구로 차칙(茶則)이라고도 한다. 잎차용과 말차용이 서로 달라 차선(茶선)은 찻사발에 찻가루를 넣고 탕수를 부은 다은 이를 휘젓는 데 사용하는 말차용 다구이다.
잎차용은 은, 동, 철, 나무 등으로 만드는데, 동이나 철은 녹슬기 쉽고 금속 특유의 냄새가 나서 차의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 따라서 나무로 만들어 옻칠을 한 것이나 대나무로 만든 것이 좋다. 대나무는 냄새가 나지 않아 차향을 해치지 않고 습기에도 강하며 적당히 문양을 새겨 넣으면 모양도 좋다.
:차선
찻가루와 끓인 물을 저어서 거품을 내어 차와 물이 잘 섞이도록 사용하는 다구. 대나무 껍질을 아주 가늘게 일으켜서 만든 것으로 찻사발에 가루차와 끓인 물을 붓고 휘저어서 융합 시키는 기구이다.
차선은 대개 대나무의 쪼개짐에 따라 80본, 100본, 120본의 세 종류가 있으며 차의 양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보통 차선(80본)으로 100회 정도 젓는다.
차선의 손잡이 부분을 수절이라 하고 젓는 부분을 수선이라 한다. 차선의 중앙부분(모여진 부분)은 차 덩어리를 부수는 역할을 하고 통발형의 수선은 거품을 일구는 역할을 한다.
북송의 휘종황제가 쓴 '대관다론'에는 찻잔의 말차를 거품내기 위해 늙은 대나무로 만든 차솔이 등장한다.
:차선꽂이
차선을 꽂아 놓는 다구로 사용 후 차선의 모양을 잡아주며 물기가 손잡이 쪽으로 흐르게 하여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차선 모양에 잘 맞는 차선꽂이를 선택해야 하천의 형태를 변함 없이 잘 보관할 수 있다.
:차시
찻통의 차를 떠서 다관에 옮기는 다구. 대나무와 일반 나무를 수저처럼 깎아서 사용하거나 주칠을 한 수저가 사용되기도 한다.찻숟가락이라고도 한다.
말차를 낼 때의 차시는 주칠을 한 차시를 쓰는데 대나무 겉애가 안쪽으로 맡아져 가루가 차시에 묻어나지 않도록 되어있다.
:차긁개
다관에 우려낸 차 찌꺼기를 꺼내기 편리하도록 만든 다구
:차수건, 덮개보
차수건은 물기를 닦는 행주이다. 외올베(가제)나 타올을 주로 쓰며 삼베를 쓰기도 한다. 물기가 잘 스며들고 잘 마르는 마포를 쓰는 것이 좋다.
차상이나 차판을 덮는 덮개보는 홍색이나 자주색 보를 많이 쓴다.
찻상보는 예로부터 빨강색과 남색으로 안팎을 삼아서 만들어 썼다 한다. 굳이 붉은 찻상보로 하는 것은 송나라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에 붉은 보자기가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빛깔이 너무 요란스럽지 않게 겨울에는 무명,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를 만들어 쓰면 좋고 차상과 차반을 덮을 정도의 크기면 적당하다
붉은 계통의 보를 쓴 것은 나쁜 것을 물리친다는 민간신앙적 의미가 있다.
:차반
찻잔을 담아 나르기 위한 반으로 굽이 없는 쟁반형이 있다.
:차상
차상은 다구들을 올려 놓고 행다를 하는 다기용 상이다. 재료는 은, 동, 나무 등을 사용하는데, 보통 옻칠을 하거나 자개를 박은 나무상을 많이 쓴다.
형태는 다리가 달린 것과 달리지 않은 것이 있고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서랍형 등이 있다. 크기는 다구를 배열해 놓고 볼 때 너무 크거나 작지 않아야 한다.
차상은 둥글거나 네모진 것이 대부분인데 너무 커도 불편하고 너무 작아도 볼 품이 없다. 차상의 다리가 통반으로 되어 있고, 찻상 둘레에 외고가 있는 것이 차상으로 제격이다.
다구를 제대로 갖춰놓고자 할 때는 보통 두 개를 쓰지만, 차 끓이는 사람의 용도에 따라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차상으로는 차를 우려내고 도구들을 올려놓는 차반과 손님과 다과를 올려놓고 차를 마시는 다과상이 있다.
차상은 낮은 것이 특징이며, 손님과 대화하는 가운데 오랫동안 놓여지므로 보기에 편안해야 된다. 시야에 걸리지 않고 팔을 편히 뻗을 수 있도록 낮아야 한다. 높이는 7-16cm인 것이 많으며 외상과 겸차상이 있다.
손님과 주인이 가까이 앉아 다과상에서 차를 우릴 경우 작은 곁판에 차통, 수건등을 놓아둔다.
:차포
차포는 찻상 위에 까는 삼베, 무명등의 천으로 떨어진 물기를 흡수하여 정갈해 보이며 상의 윗면을 보호한다. 면으로 된 것은 차포라고 하며 대나무나 등나무 껍질로 만든 것은 차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