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라인사에서 플라이바리스 자이로시스템인 V2.1 w/3G USB Link System 을 개발 판매 하고 있습니다 ^^
간단한 설치로 컴퓨터에서 3G자이로의 상태확인뿐만이 아니라 세밀한 셋팅과 실시간 온라인 다운로드등
그야말로 이제 성능까지도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진화 시켜가며 쓸수 있는 시대가 도래 했습니다 ^^*
너무도 행복한 일이긴 한데, 컴퓨터셋팅 소리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시고 아픈머리 얹고 다니시면서 까지 헬기 날리기
싫어서 새로운 경험 포기 하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죠????
항상 예전 처음 배우던 생각이 납니다^^ 송신기 번역본을 하루종일 읽어도 글만 한글이지 도무지 멀읽었는지 모르는
답답함이란 ㅡㅡ. 물론 잘아시는 분들에게는 이해가 쉬운 것이겠지만,
아직도 마찬가질수도 있는게 그냥 생각 없이 읽다보면, 에어론에알에프 파라미터 롤레이트 올리고 내리구 빨라지구
느려지구 오실레이션 생길지도 모르구 겁나서 함부로 건드리기도 무섭고@@#으$^ㅠㅏㅣ%&%$%ㅠ호*^$#%^ ^^;;
일단은 편하게 3G 셋팅툴 사용법과 헬기에 적용되는 반응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 조금만 알고 보면 어려운거 없고간단~?????
실제 현장 셋팅에 있어서도 에어론 엘리베이터 러더 등의 속도 에 관한 수치 변화는 확실한 변화를 보이지만
기타 감각적인 셋팅의 항목들은 수치변화에 대해 헬기상태가 무서울 정도로 크게 변화 되는것은 아니므로
편한 마음으로 수치를 바꾸어 가며 적절하게 조종자에 맞는 셋팅 수치를 적용시킬수 있겠습니다 ^^
1 : 에어론 엘리베어터 러더 등 체널별과 구조적인 셋팅항목까지 선택하는 클릭버튼 .
2 : 체널별 항목들에 들어가서 각종 수치를 조정해서 헬기의성능과 성격을 조종자의 맘에 들도록
셋팅 할수 있는 세부 셋팅 조절 ( 막대그래프 형식이어서 눈에 쏙쏙 들어 오고 수치 확인도 간단 ^^ )
3 : 친절한 얼라인씨는 사용자를 배려 하는 마음이 항상 엿보이게 합니다 . 아무리 수치를 흐트러놓아도
걱정 없도록 표준 수치를 빨간 막대기로 튼튼하게 표시 해놓았네요 . 수치 표준점입니다 ^^
4 : 아마도 어느 선수가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약간 보편화 시킨 데이터 같은데요 , 다운받거나 프로그램을
설치 하면 자동으로 권장 수치가 표시됩니다 ^^
( 12번 항목의 헬기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면 권장수치가 자동으로 변화 됨 )
5: 언어선택 항목 입니다 . 초기에 창열릴때 언어를 선택 해줘야 프로그램이 실행됨
6: 컴퓨터와 3G시스템을 연결시켜주는 버튼입니다. 연결을 꼭 시켰는지 확인하고 셋팅^^
저도 가끔 열심히 셋팅해놓고 보면 링크 다운 !!~ ㅡㅡ, 말짱 헛일이죠 ^^
7: 컴퓨터와 3G의 연결상태를 보여줍니다 연결중과 연결등 상태를 표시 해주는데요
연결중이 끝나고 연결이 완전히 된상태를 확인후 꼭 셋팅 작업을 해야겠지요?
8: 셋팅 수치가 작업 완료 되었으면 수치를 3G 시스템에 저장 시키는 버튼입니다 ^^
9: 헬기에 장착된 3G 시스템의 정보를 컴퓨터로 불러 오는 버튼
10: 내컴퓨터에 따로 저장시킨 셋팅툴이 있다면 불러 오는 버튼입니다 .
좋은 데이터를 여러개 내컴에 저장해 놓으면 원하는데로 불러서 바로 3G에 입력 ^^*
11: 만들어 놓은 셋팅툴 정보를 컴에 저장 시키는 버튼
12: 내헬기의 크기에 따라 지정해 놓는 버튼인데요 500~700급까지와 450급과 그아래 크기등 몇가기
레벨로 선택 하게 되어 있으면 매우 중요한 항목입니다 .
지정된 헬기 급수 항목에 따라 권장 수치가 저장되어 있는상태가 차이가 많습니다 ^^
따라서 셋팅을 처음 하실때는 꼬옥 자기의 헬기에 맞는 레벨을 선택.
## Aileron Parameter Setting
이제 본격적으로 세부적인 셋팅에 들어가 봅니다 .
우선 셋팅순서에 의해서 USB케이불이 제데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링크 버튼을 눌러서
컴퓨터와 3G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완료하고 셋팅에 들어 갑니다 ^^
( 연결 상태등은 별도 설치 설명서 참조 )
먼저 셋팅과 동작이야기로 들어가기 앞서 , 예전에 제가 트레블어져스트나 ATV 등을 이용한 시스템을 통한 신호들의
확장을 글로 남긴적이 있지만 이제는 그러한 기능보다 훨씬 많은 확장 기능이 셋팅툴에 있으므로
송신기상의 셋팅을 초기치로 바꾸어 줍니다 .
Aileron Parameter Setting 이란 에어론 쪽에 관계된 몇가지으 세부적인 셋팅수치 조정툴입니다
1 Aileron Control Rate
헬기의 롤 레이트는 개인별로 선호도가 틀립니다. 본 파라미터는 조종기에서 세팅하기 힘든 부족한 롤 레이트 세팅을 조절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AIL SWASH AFR이 조종기에서 최대치로 설정되어 있지만 좀 더 빠른 롤 레이트가 요구 될 때, 파라미터 값을 증가시켜 롤 레이트를 좀 더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조종기의 AIL SWASH AFR로 롤 레이트를 줄일 수 있지만, 지나치게 레이트 값을 줄이게 되면 신호의 해상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조종기에서는 50%이상 줄이지 말 것)
대신 에일러론 커맨드 보정은 파라미터 값에서 Roll Rate를 보정해 주면서도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정 후의 실제 롤 레이트는 “커맨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가 됩니다.
음... 쉽게 말씀드리자면 송신기에서의 에어론 스와시 믹싱이나 듀얼레이트 항목을 이용해 에어론 빠르고 느린 반응을
조정하듯이 에어론방향의 운동력을 증감시키는 항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때 송신기에서 스와시믹싱량은 50%이상,
듀얼레이트량은 100을 기준으로 두며 ,3G셋팅툴로 조정하게 되는데 수치를 올리면 에어론 쪽으로 빨리 뒤집어지며
수치를 내릴수록 롤축의 운동량이 둔해 집니다 .
2 Aileron Total Gain Compensate
헬기의 게인(감도)은 몇 가지 변수, 예를 들어 서보 암의 길이, 헬기의 크기(250~90급) 등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본 파라미터는 3G 컨트롤 유닛의 AIL 게인 세팅이 부족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럿은 3G 컨트롤러의 물리적인 다이얼을 12시 방향에 놓고 게인(감도)의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다이얼로도 미세한 감도의 손실없이 미세한 게인 값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에어론 토탈게인이란 자이로의 감도를 말하는것인데 러더자이로의 감도와 같은 종류라고 생각 하시면 되겠죠?
시스템 앰프에 있는 다이얼 감도스위치는 무리하게 줄일수록 해상도에 있어서 불리 한데
다이얼스위치는 중간에 놓고 셋팅툴의 수치로로 감도 조절을 하게 되면 해상도도 변화가 없고 세밀한 감도 조절이되면서도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자이로 감도 수치를 될수 있는한 최대로 올려서 사용하면 자이로 성능에도
만족 ^^* 러더와 마찬가지로 너무 감도를 줄이게 되면 에어론쪽이 흐느적거리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
3 Roll Lock Gain Adjustment
롤링 락 게인값은 헬기를 고속으로 수평/직진 비행시 자세를 유지 시켜주는 값입니다.
파라미터 값이 높으면 헬기는 직진성이 강해지고 파라미터 값이 너무 높으면 호버링 중 오실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롤링 락이란, 러더로 말하자면 헤딩락이라고 말씀 드리면 이해가 쉽겠죠? 감도 수치를 올려 줄수록 에어론 방향으로
좌우 옆방향 직진 비행시에 위아래방향으로 에어론이 밀리는 현상을 막아줍니다 ^^
락감도라는 것은 자이로에 있어서 또다른 감도로서 자이로 감도와는 종류가 다르긴 하지만 역시 같은 자이로 감도의
일종입니다 . 보통 헤딩락 자이로에 있어서 자이로 감도를 줄이면 헤딩락 성능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아쉬운점이 있는데 이기능은 락 감도를 별도로 이용할수 있어서 편리한 점이 많고 락감도와 자이로 감도를
개인 비행성향에 적절히 맞추어 주면 전혀 다른 최고성능의 자이로 감도를 느끼실수 있습니다 ^^
자이로 감도를 지나치게 올렸을때 헌팅이 일어나듯이 락감도 역시 지나친 감도는 오실레이션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오실레이션이란 자이로 헌팅의 일종으로 말그대로 호버링시에 헬기에 진동과 같은 이상증세가 발생할수 있다고
하는 설명입니다 .
4 Roll Stop Gain Adjustment
롤 브레이크 게인 조정은 고속으로 롤링 후 급정지시 사이드웨이 락킹 모션(좌우로 까딱거림이 발생하는 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본 파라미터 값이 너무 높으면 롤링 후 자세를 잡을 때 반응이 약간 늦을 수 있습니다.
롤 브레이크란 빠르게 에어론방향으로 운동하는 에어론 풀립이나 롤링 도중 순간적으로 멈추는것을 말하는데
이때 헬기의 반응 속도로를 조정하는것이 롤브레이크 게인입니다 .
넘 감한 성격이면 급격한 정지시에 롤축으로 헬기가 꺼떡이게 되는데 그것을 막아주기 위한 수치조정 기능이고
수치가 넘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반응이 어눌해 질수 있다네요......
보통 수치가 높으면 강해지는게 보편적인 인식인데....이 항목은 꺼떡이는 성격을 없애주는 기능이라서
수치를 높여줄수록 브레이크가 부드러워지는 쪽으로 조정이 된다는 말같이 보이는데요 ..잘못하면 조정인식이 꺼꾸로..
음...좀더 과감한 수치조정을 통한 테스트를.... ^^
5 Roll EXP Level Setting
롤링 익스포넨셜 세팅은 조종기 스틱 중립점에서 에일러론의 감도를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세팅 레인지는 0~5까지, 수치가 높을수록 소프트 이펙트가 커집니다. 만일 조종기에서 익스포넨셜을 주는 경우, 값은 “0”로 세팅합니다.
롤 엑스포넨셜 조절 기능입니다 .
송신기에서 조정하던 엑스포넨셜 기능을 셋팅툴에서 직접 조정할수 있게 되었는데요 말그대로
수치를 증감함에 따라 송신기 스틱의 중앙부분의 운동량이 달라져서 자신에게 맞는 편한 성격의
셋팅을 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 송신기와 셋팅툴 어느것을 사용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겠지만
송신기에서 셋팅 할것이라면 셋팅툴은 값을 0으로 맞추도록 합니다 ^^
## Elevator Parameter Setting
이제 엘리베이터 파라미터 셋팅툴입니다 ^^
보시면 아시겠지만, 직전의 에어론 파라미터 셋팅항목을 읽어 보셨으니 엘리베이터 셋팅툴은
거져 먹기네요 왜냐하면 체널만 다르지 같은 이야기니까요 .
원문해설과 함께 간단하게 요약만해서 다시 정리 합니다 ^^
1 Elevator Control Rate
헬기의 플립 레이트는 개인별로 선호도가 틀립니다. 본 파라미터는 조종기에서 세팅하기 힘든 부족한 플립 레이트 세팅을 조절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ELE SWASH AFR이 조종기에서 최대치로 설정되어 있지만 좀 더 빠른 롤 레이트가 요구될 때, 파라미터 값을 증가시켜 플립 레이트를 좀 더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조종기의 ELE SWASH AFR로 플립 레이트를 줄일 수 있지만, 지나치게 레이트 값을 줄이게 되면 신호의 해상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조종기에서는 50%이상 줄이지 말 것)
대신 엘리베이터 커맨드 보정은 파라미터 값에서 Roll Rate를 보정해 주면서도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정 후의 실제 플립 레이트는 “커맨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가 됩니다.
에어론 항목과 마찬가지로 스와시믹싱이나 듀얼레이트는 송신기상에 기본수치로 정해 놓고 셋팅툴의 수치를
증감시켜서 엘리베이터쪽의 풀립등의 운동 속도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정 할수 있습니다 ^^
2 Elevator Total Gain Compensate
헬기의 게인(감도)은 몇 가지 변수, 예를 들어 서보 암의 길이, 헬기의 크기(250~90급) 등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본 파라미터는 3G 컨트롤 유닛의 ELE 게인 세팅이 부족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에일러론 게인을 더 올릴 필요가 있을 때 예전에는 3G 컨트롤 유닛의 ELE 게인을 최대한 올려야만 했지만, 엘리베이터 토털 게인 보정을 이용하면 3G 컨트롤 유닛의 물리적인 게인 다이얼을 12시 방향(50%)에 두고도 게인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게인 다이얼로 미세조정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엘리베이터 토탈 게인은 엘리베이터쪽의 자이로 메인 감도를 말합니다 .
컴퓨텨 셋팅툴이 없던 상태에서 기계적인 다이얼 감도를 지나치게 줄일수록 해상도등 근본적인
자이로 감도등 자이로의 성능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되는데 앰프의 다이얼 게인은 50% 상태의
기본수치로 맞추어 놓고 셋팅툴의 수치로 조정하게 되면 성능을 저하 시키지 않고 세밀한 감도 셋팅이
가능해 집니다 ^^
현재의 자이로들은 감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헌팅이 되지 않는한 최대로 주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감도 설정은 엘리베이터 쪽에 있어서 헌팅 현상으로 앞뒤로 헬기가 과민 반응운동을
할수 있습니다 ^^
3 Elevator Lock Gain Adjustment
엘리베이터 락 게인 조정은 헬기를 고속으로 전/후진 비행시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값입니다.
파라미터 값이 높으면 헬기는 직진성이 강해지고 파라미터 값이 너무 높으면 호버링 중 오실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역시 에어론 항목과 마찬가지 입니다 . 엘리베이터 락 게인이란 러더 자이로에 있어서 헤딩락과 같은 기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엘리베이터 락 감도를 별도로 줄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비행해 보면 비행 특석에도 영향을 주는
감도 설정으로 좋은 특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락 감도가 너무 강할경우는 헬리베이터
방향의 비행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밀리지 않겠지만 엘리베이터 감이 딱딱함을 느끼게 되며 더 심하면
오실레이션, 즉 엘리베이터 쪽에 있어서 까딱거림이나 진동 현상이 발생 할수 있습니다 ^^
4 Elevator Stop Gain Adjustment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게인 조정은 고속으로 롤링 후 급정지시 포워드/AFT 락킹 모션(앞뒤로 까딱거림이 발생하는 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본 파라미터 값이 너무 높으면 플립 후 자세를 잡을 때 반응이 약간 늦을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게인 조정이란 엘리베이터 플립시 급정지 할때의 성격을 조정할수 있는 셋팅툴입니다.
V2.1로 업그레이드 되지않았던 초기의 3G 모델에서는 플립중 급정지 할때 엘리베이터의 꺼떡 거림이
좀 발생 했는데 2.1로 업그레이드만 시켜 줘도 꺼떡 거림은 사라졌습니다 ^^
만약 그런 증상이 발생 하면 수치를 변화 시켜주면 되는데 신경 써야할것은 다른 항목과 달리
수치를 올려 주면 브리이크 기능이 부드러워 집니다
5 Elevator EXP Level Setting
엘리베이터 익스포넨셜 세팅은 조종기 스틱 중립점에서 엘리베이터의 감도를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세팅 레인지는 0~5까지, 수치가 높을수록 소프트 이펙트가 커집니다. 만일 조종기에서 익스포넨셜을 주는 경우, 값은 “0”로 세팅합니다.
송신기의 엑스포넨셜과 같은 기능으로서 수치를 조정함으로써 스틱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조종감을 부드럽게
조정해 줄수 있습니다
송신기의 엑스포넨셜을 사용할경우 셋팅툴에서는 0% 로 셋팅
## Rudder Parameter Setting
러더 파라미터 셋팅입니다 .
러더쪽의 각종 수치를 조정 함으로써 자신의 비행감각에 맞는, 최상의 셋팅이 되도록 세분화 되어 있습니다.
자이로 셋팅폭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거의 소비자의 선택적 셋팅이 적용되지 못했는데
이제 같은 자이로 하나로 세분화되고 세밀한 셋팅을 즐길수 있는 시대가 되었군요 ^^
1 Rudder Control Rate
본 세팅에서는 파일럿의 취향에 따라 3G 시스템의 필루엣 레이트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값이 크면 빠른 필루엣 레이트를, 값이 낮으면 필루엣 레이트가 느리게 됩니다.
에어론 엘리베이터 항목들과 사실 같은 이야기 입니다 .처음 보면 복잡한듯한 셋팅툴 이지만 한가지만 보고나면
나머지는 같은 항목 같은 원리 라고 보시면 됩니다 ^^
러더 컨트롤 레이트란 말그대로 송신기에서 듀얼이나 트레블어져스트 항목은 초기치로 맞춰 놓고
셋팅툴에서 수치를 가감함으로써 필루엣 속도를 조절 하는 기능입니다 .당연히 수치가 올라가면 러더가 빨리 돌고 수치가 내려가면 늦게 돕니다 ^^
2 Rudder Total Gain Compensate
헬기 자이로의 게인(감도)은 몇 가지 변수, 예를 들어 서보 암의 길이, 헬기의 크기(250~90급) 등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본 파라미터에서는 3G 컨트롤 유닛의 러더 게인 세팅을 보정합니다. 러더의 토털 게인이 높으면 조종기의 러더 게인을 낮춰야 합니다. 사용자는 러더 토털 게인을 조정하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조종기에서 자이로 게인 값이 60% 전후로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종기에서 미세조정을 할 여유가 생깁니다.
다른 체널항목과 마찬가지로 러더토탈게인이란 러더 쪽의 자이로 감도를 증감하는 셋팅툴입니다^^
셋팅툴이 나오기 이전의 자이로 셋팅은 송신기에서의 자이로 감도 조정으로 셋팅 할수 밖에는 없었습니다.
이때 생길수도 있는 문제점은 헬기 기종이나 러더서보혼의 길이에 따라 송신기측의 감도 수치가
표준치 보다 많이 내려가서 셋팅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자이로 감도를 줄일수록 헤딩락 감도도 나빠질뿐
아니라 자이로의 성능자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어려운점이 있었는데,
셋팅툴을 이용하면 송신기측의 자이로 감도는 적정치(60% 전후)로 설정해 놓고 셋팅툴의 수치를 변화시켜서
이상적인 자이로 감도를 셋팅할수 있습니다 ^^
하지만 현재의 거의 모든 자이로 방식은 어떤 이유 어떤 셋팅툴이던 감도를 낮추면 성능이 같이 낮아지며,
최상의 성능을 위해선 헌팅 직전까지 올려 주는것이 좋습니다 .
3 Rudder Lock Gain Adjustment
러더 락 게인 조정은 전진, 후진 비행시 러더 락 게인 값을 조정하는 항목입니다. 게인 값을 올리면 직진성은 좋아지지만, 호버링 시 오실레이션이 발생합니다.
러더락게인 이란 러더 자이로에 있어서 흔히 말하는 헤딩락 기능의 게인을 말합니다 .
러더락 게인값이 높으면 후진 비행이나 측면 비행시에도 밀리지 않고 강하게 잡아주게 되지만
너무 수치가 높게되면 러더자이로의 특성이 너무 하드하게 느껴져서 무엇인가 딱딱한 자이로의 성격을
느끼게 됩니다 . 개인적으로는 러더 락 게인값을 적절히 조절해서 후진이나 측면 비행시에 밀리지 않을 정도로
셋팅을 하게 된다면 개인적인 취향에 맞는 자이로의 느낌을 함께 할수 있습니다 ^^
해설판에 있어서는 각체널에 있어서 락게인은 수치는 너무 높을때 오실레이션을 경고하지만
실제로 비행을 해보면 메인감도와는 좀 다른 개념이어서 수치가 높다고 해서 진동이나 헌팅같은 현상은
잘 안나타 나는것 같습니다 ^^
4 Rudder Stop Gain Adjustment
러더 브레이크 게인 조정은 고속으로 필루엣 플립 중 갑자기 멈췄을 때 오실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분입니다. 게인 값이 너무 높으면 필루엣 플립 기동 중 정위상으로 복귀시 조종면의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러더스톱 게인은 자이로 메뉴에 있어서 딜레이 기능과 거의 같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빠른 필루엣시에 순간정지 동작에 있어서 얼마나 정직하게 딱딱 서줄수 있는지를 보시고 수치를 조정해 주시면
됩니다 .
해설판 설명에서 게인값이 너무 높으면 필루엣 플립연기에 있어서 위상 회복시 딜레이가 발생할수 있다고
표기되어 있는데 러더쪽의 모든 항목 셋팅툴이란 역시 일종의 감도 설정과 같은 것이어서 꼭 지나친 수치 사용에 관해서만 조종면에 이상증세를 보인다기 보다는 감도가 지나치게 많거나 적거나 어느쪽이든
필루엣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에어론 엘리베이터 기동에도 당연히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개인의 비행스타일에 맞게 적정치를 조절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
3 Pirouette Compensate
본 파라미터는 필루엣 플립 기동 중 싸이클릭 불안정성을 보정합니다. 값이 너무 높으면 싸이클릭 게인이 과도하게 되고, 오실레이션이 빠르게 발생합니다.
기능은 필루엣플립 기동시에 사이클릭피치 , 즉 에어론 엘리베이터 측의 운동력에 관계되는 에어론 엘리베이터
게인값을 조절해줌으로서 필루엣플립 연기가 편안하게 이루워 지도록 하는 셋팅툴입니다.
2.1버전 이전의 플라이바 헬기를 접하신 분들은 필루엣플립 연기나 필루엣 연기가 힘들다고 하신 분들이 많았죠? 그것은 표준치로 셋팅된 3G시스템에 있어서 필루엣 기동시에 에어론이나 엘리베이터 쪽의 게인수치가
다른 연기에서는 문제 없지만, 필루엣과 복합적으로 연결이 되는 필루엣플립과 같은 연기에 있어서는
에어론 엘리베이터쪽의 게인값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이 되어서 에어론 엘리베이터가 버티기 하는 성격이 나오면서 나타나는 특성때문입니다 .
따라서 이항목으 셋팅툴을 사용하시면 필루엣과 연동된 연기시에 에어론 엘리베이터쪽의 감도 수치가 조정될수
있어서 편안한 필루엣 연기등이 이루워 집니다 .
이쯤 되면 아시는 분들은 대충 세부적인 셋팅툴의 원리가 이해 되시겠죠?
각 항목들은 세개의 자이로 센서 정보들을 믹싱해서 비행 연기종류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하게
세개의 센서 정보들이 믹싱된 상태로 수정할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
## Miscellaneous Setting
음.. 기타 항목으로 분류되긴 했지만 헬기의 전체적인
성격에 대한 셋팅툴이란 저의 눈에는 가장 눈에 띄는 항목인데 ...어쨋든 기타 셋팅입니다 ^^*
1 Hiller Rate
RC 헬기의 싸이클릭 피치 컨트롤은 벨/힐러 믹싱으로 결정됩니다. 힐러 레이트는 헬기의 스테빌라이저 패들의 유효 비율과 동일합니다. 3G 시스템은 힐러 시스템의 효과를 시뮬레이션 하지만 좀 더 정밀하게 제어하면서도 패들의 공력 저항이 없습니다.
힐러 레이트가 높으면 헬기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F3C등과 같은 정적인 기동에 유리합니다. 3G System에서는 벨과 힐러 믹싱 비율이 100% 보다 낮아서는 않되며 150%를 초과해서도 않됩니다. 힐러레이트가 낮으면 보다 싸이크릭 반응속도가 빨라지면서 다이렉트 컨트롤이 가능해 집니다.
일반적으로 70%의 안정성과 하드한 3D 플라잉을 위해 40% 비율로 세팅을 권장합니다. 30% 이하인 경우 헬기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참 매력적이고 구미가 당기는 항목인데 말이죠 ^^*힐러나 벨의 비율을 적절히 적용시키면 칠백이가 젊잔은 중년 부인이 될수도 있고 거칠은 늑대 같은 녀석이 될수 있다는...이야긴데...^^
3G시스템에 있어서 벨비와 힐러비 셋팅이 나오는것은 마치 패들이 없는 플라이바 헬기에서 패들을 조정 하는것과
마찬가지므로 아마도 3G자이로의 특성중에서 특별한 성능의 수치를 변화 시키면서 패들변화와 같은 기체성격을
얻는것이겠지요? 그렇게 보면 참 세상 좋아졌습니다 ^^*
해설판에서 이야기 했듯이 힐러비를 낮추면 3D에 적합한 플라이바리스의 운동력 특징이 살아나고
힐러비수치를 올리면 편안하고 안정적인 비행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셋팅 수치는 표기된데로 해주면 되는데요 힐러와 벨의 수치가 합쳐졌을때 권장되는 수치로 조정을 하게됩니다
친절한 얼라인은 권장수치 범위를벗어나면 위험경고 표시까지 보여주네요 ^^
이셋팅을 테스트 할때 수치를 변경하면 헬기가 갑자기 확확 뒤집어 지지 않나 하는 불안감이 있었는데
실제 수치 조정해본 소감은 그냥 어느정도 경고 위치만 아니면 확확 수치를 변경해도 걱정없음... ㅎ
2 Bell Rate
스테빌라이징 시스템의 관점에서 벨 믹싱 레이트는 서보와 직접 연결된 싸이클릭 피치를 의미합니다. 레이트가 높을수록 보다 빠르게 반응합니다. 3G 시스템에서는 벨과 힐러 비율의 합이 100% 이하가 되면 않되며 15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과격한 3D의 경우 70% 정도를, 초급자를 위해서는 30% 정도를 권장합니다.
힐러수치를 낮춰 주어도 3D에 좋고 벨수치를 올려 줘도 3D에 좋다니까 잘못하면 벨과 힐러라는 항목의
원리가 모호 해질수도 있는데요 힐러비의 수치를 낮춰서 3D에 적용시키는 것은 패들효과의 안정성을
낮추므로 해서 3D비행에 적합한 특성을 내고자 하는것이고, 벨의 수치를 올려서 3D비행에 적용 시키는 것은
스워시의 기울임에대한 패들의 작동에 적절한 감소비율을 거친 패들헬기와 달리 스와시 운동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벨비에 대한 수치를 올려서 말그대로 직접적인 운동력을 증가 시켜서 3D 비행에 적합한 성격을
얻고자 하는것입니다 .
안정성을 죽여서 운동력을 증가 시키는것과 기본적인 운동력을 증가 시켜서 더빠른 운동력을 얻는것은
차이가 있겟죠?
따라서 벨레이트와 힐러레이트 설정은 어느 한가지만을 조정할게 아니라 벨과 힐러 두가지의 수치를 적절히
조합해서 조정해 주는것이 헬기의 성격에 좋은 결과를 가져 오게 됩니다.
근데...사실 실제로 비행을 해보면 수치를 약간 변화 시킨다고 해서 큰변화가 있는것은 아니고
확변화 시켰다고 그냥 확 디집어지는것은 아니었으니까 걱정하지 마시고 권장수치 안에서 적절히 조합해서 자신에게 맞는 성격을 찾아보면 좋겠네요 ^^
중요한것은 벨과 힐러 너무 운동력이 강해 지는 쪽으로 지나치게 설정해 놓으면 안정성이 많이 안좋아 질수도 있으므로 주의 ^^
3 Collective Compensate
빠른 전진 비행시 컬렉티브 피치가 변경되면 헬기의 피치가 업 또는 다운이 되며, 이 값을 증가 시키면 헬기의 피치 불안정성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이 값이 너무 높으면 정적인 싸이크릭 운동시(호버링 등) 서보의 동작이 부드럽지 않고 스테핑 현상이 발생합니다.
빠른 전진 비행시 컬렉티브 피치가 변경되면 헬기의 피치가 업 또는 다운이 되며, 이 값을 증가 시키면 헬기의 피치 불안정성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이 값이 너무 높으면 정적인 싸이크릭 운동시(호버링 등) 서보의 동작이 부드럽지 않고 스테핑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정도 되면 그야 말로 환상적인 셋팅툴인데요 말그대로 직진 비행시에 공력적으로 발생되는 기체의 상승작욕이나 하강 작용까지 헤어 해줄수 있는 셋팅 툴입니다 ^^
직진시의 불안정한 기체 들림이나 기수 하강 성격은 링케지등의 많은 유격상태에 따라서도 많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기능은 그야 말로 기대가 되네요 ^^
얼라인에서 V5.0 되는 3G 가 나온다면 아마 그때는 인공지능 3G 도 탄생을?????
4 Swashplate Retum Speed
본 파라미터는 3G 시스템이 헬기가 이륙 직후 얼마나 빨리 수평을 유지하게끔 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레이트가 빠르면 이륙 직후 헬기를 컨트롤 하기가 편하지만 빠른 전진 기동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빠른 전진 기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선 헬기 자체의 진동이 적어야 하며, 본 파라미터 값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것을 권장합니다.
Retum???? Return이 아닌가??? 암튼 이 셋팅툴은 스워시의 운동후 서보의 빠른 복귀 특성을 조정하는
셋팅툴입니다 .
3G 초기 셋팅때 DIR 모드에서는 서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DIR 모드가 해제되었을때는 서보의 반응이 어눌하게 되는것은 바로 자이로 센서의 영향과 지배를 받기 때문입니다 ^^스워시 서보동작후 복귀 속도를 조절할수 있는데요
셋팅툴을 적절히 이용하면 호버링시에도 만족스런 비행 성능을 유지 시켜 줄수 있을거 같습니다 ^^
5 Cyclic Pitch Compensate
본 파라미터는 빠른 전진 중 롤링 기동 시 헬기의 기수부분이 들리는(피치업) 버릇을 보정하는데 유용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조정시 빠른 전/후진 기동시 헤드의 오실레이션(끄덕거림)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3G 시스템 셋팅에 있어서 또다른 발전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헬기에 따라서는 직진 비행시 하트롤 즉,
배면 상태로의 진입시에 머리듬 현상이 많이 나타 날수도 있는습니다 .
본 셋팅툴은 그러한 특성을 보정 시켜 주는 셋팅툴입니다.이항목역시 엘리베이터 락게인 항목과
비슷한 방식의 조정 특징이 약간 변형되어서 셋팅이 되는거 같은데요 과도한 수치의 조정은 헌팅 증상과 비슷한 꺼떡 거림이 발생합니다 .
6 Pirouette Optimum Adjustment
본 파라미터는 필루엣 기동 중 드리프트 현상을 조정해 주는 기능입니다.
세팅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필루엣 플립 중 헬기의 안정성을 유지해 주며 필루엣 전진 기동 중 직진성을 보정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파라미터 값이 과도한 경우, 3G 시스템이 과도한 보정으로 인해 플립이나 롤링시 원치않는 동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본셋팅은 필루엣 플립등 필루엣 연기시에 에어론과 엘리베이터 쪽의 동작 성격을 부드럽게 혹은 강하게 해주는
셋팅툴입니다 . 적절히 셋팅을 할경우 필루엣 계열의 연기시에 조종자의 마음에 드는 헬기 성격을 만들어 줄수가 있는데요 항목별로 체크를 하다가 보면 몇몇 항목은 서로 중복되어 있는듯도 보입니다 .
이번 셋팅툴은 러더 항목의 셋팅툴과 중복이 되는듯도 보이지만 아마도 사용자가 좀더 편리 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셋팅툴항목을 비행 연기별로 셋팅툴을 만들어 줘서 좀더 셋팅에 있어서 편리성을 배려 해준듯한 느낌도
받습니다 . 이번 셋팅 항목은 온 오프 스위치도 설치 되어서 기능을 온오프 할수 있습니다 .
7 Cyclic Pitch Motion Delay
본 세팅은 일반적인 플라이바 시스템과 유사한 운동성을 가지도록 싸이클릭 동작을 부드럽게 해주는 항목입니다. 고급 3D 파일럿의 경우, 이 값을 낮춰주고, 부드러운 비행을 선호하는 경우, 본 값을 증가시키면 됩니다.
이번 셋팅은 스워시의 반응속도를 부드럽게 해줌으로 인해서 마치 패들방식의 헬기와 같은 비행특성을
가질수 있도록 해주는 셋팅툴입니다 .
수치를 적절하게 조정해 줌으로서 조종자의 기호에 맞게 비행특성을 조정할수 있습니다.
## Command Display
컴퓨터와 3G가 연결되도록 하려면 송신기와 수신기도 ON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이때 Command Display 항목에서는 송신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게 됩니다 .
실제적으로 송신기의 스틱을 움직여 보면 동작이 되는 범위가 표시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 3G Setting Display
본 페이지에서는 3G-FL760 시스템에 설정된 값을 표시하며,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파라미터 변경은 3G 컨트롤 유닛의 버튼으로 설정합니다.(3G 매뉴얼 참조)
컴퓨터와 3G가 연결되었을때 현재 3G-FL760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보여지게 됩니다 .
각 항목별로 현재의 상태로 표시 됩니다 .
3G-FL760 시스템 V2.1 셋팅툴에 대해서 각 항목등에 관한 이야기를 남겨 보았습니다.
많은 셋팅은 못해 봤지만 항목별로 수치를 적용시켜가며 셋팅을 해보니 새로운 차원의 자이로
셋팅툴은 이전의 자이로 셋팅에서는 생각도 못할 셋팅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 주었다는것을
새삼 느끼게 됬습니다 ^^
어찌보면 플라이바리스에 적용되는 3G자이로의 도입은 헬기의 스워시 특성까지 전자적으로
교정해서 마음에 특성을 골라서 셋팅 할수 있는 신개념의 셋팅을 이루게 해주었는데요
헬기의 장치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경험햇던 저로서는 사실 이십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할수 없는
원칙은 항상 기본적으로 자리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전자 장치가 아무리 우수하고 설사 인공 지능을 가진 장치까지 개발이 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기계적 셋팅상태가 우선적으로 만족이 되어야 첨단적인 전자장치도 제데로 그위력을
발휘 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견해가 실려 있는 이야기가 될수 있어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
3G 셋팅툴이 조금이라도 쉽게 이해가 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첫댓글 전 뭐 초짜라 별나라 야기같아요..@_@;; (어차피 3년은 묵언수행 하는 기분으로 하루 5~10팩씩은 연습할 생각이니 언젠간 알아 보겠죠;;)질문 한가지만 해도 되려나 몰겠네요.
250 에 FLS달아서 세팅 해놓긴 했는데(싸부가 수고 하셨죠. 저는 뭐 옆에서 음료수 조달정도;;) 조종기는 9x 쓰고 있는데 제 조종기에선 스와시 믹싱항목에 들어가면 엘리베이터 러더 에일러론의 항목이 따로 있고. 스와시 믹싱량이라는건 따로 수치 조절 하는게 없더라구요. 여기서 스와시 믹싱략 50% 이상이라는건 엘리베이터 러더 에일러론의 3 항목을 전부 50% 이상으로 놓으라는 말일까요?+_+;;
9X조종기메뉴에서 스워시 믹싱에 에어론 엘릴베이터 피치 항목이 곹 체널별 믹싱량입니다 ^^ 스와시믹싱에서는 러더항목은 없고 에어론 엘리베이터 피치 세항목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50% 정도로 맞춰놓고 피치는 별도로 다시 각도를 재어서 수치를 조정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메뉴 이야기가 생소하기만 하지만 한가지씩 원리를 보시다 보면 아마 금방 셋팅 도사가 되시겠죠?? 항상 신나는 비행 가득하세요 ^^*
맞다 러더가 아니고 피치죠 ㅎㅎㅎ 감사합니다!
음 질문 하나 더 해도 될까요?+_+ 제가 지금 앰프에서 에일러론쪽 감도는 40 정도 쓰고 있고 엘리베이터쪽 감도는 50 가까이 쓰고 있는데요. 에일러론쪽 트림은 변화가 없는데 엘리베이터쪽 트림은 비행하는 도중에 계속 쪼금씩 변하더라구요.
이유를 잘 모르겠어서요;;;
알기쉽게 해설한 메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