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요
용접부는 용접후 내부적으로 응력의 발생과 금속조직의 변화를 외부적으로는 모재의 변형을 가져온다
열처리란 용접전,중,후 용접부 및 그 주위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서 급냉에 의해 발생한 내부응력의 제거와 금속조직의 균일화를 하기 위
한 것이다
C=0.3%이하인 탄소강은 예열할 필요없다
ANSI,ASME CODE에 의하면 두께가 19mm이하일때는 응력제거가 필요없는 것으로 규정한다
인장강도 4900kg/cm2(70000PSI)이상인 탄소강은 용접전 120~230도로 예열한다
2.예열
1)예열의 목적
가)용접열에 의한 수축응력 감소
나)냉각속도 완화로서 과도한 경화 및 연성 저하방지
다)200도 부근에서의 냉각속도를 완화하여 수소를 충분히 배출,비드밑터짐을 감소시킨다
라)용접부의 용입부족을 방지한다
마)습기제거와 가연물의 제거
2)예열온도
모재의 성분,두께,외지조건,용접법 및 구속의 여부에 따라 적정히 선택되어야 한다
예열온도는 보통 75~400도 범위
모재온도가 0도 미만인경우는 20도 이상으로 모재를 가열
SS400,SWS400
용접조건(작업장의 온도5도이하/구속이 큰 경우/판두께38mm이상의 경우-예열온도60+-10)
SWS490
용접보건(작업장의 온도5도이하/구속이 큰 경우/판두께38mm이상의 경우-예열온도90+-10)
3)예열방법 및 온도측정
양쪽 모재의 최대온도차가 38도 넘지않게 용접부 양쪽으로 최소로50mm(2")범위에 가스버너 또는 전기저항가열기 사용
온도측정-온도측정크레용/접착고온계
3.후열
1)원리
금속은 고온에서 크리프에 의해서 소성변형이 생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잔류응력이 있는 용접물에 적당한 고온으로 유지하면 크리프에 의한 소성변형으로 인해 잔류응력 소실된다
2)목적
가)용접부의 경화방지 및 열영향부의 경화조직을 소둔
나)인성증가
다)금속의 결정조직 재배열
라)금속내부의 잔류응력 제거
마)용착금속중의 수소가스 확산을 촉진
바)균열예방 또는 층상터짐 최소화
3)후열처리의 종류
가)응력제거-국부가열
나)불림(공냉)
다)풀림(노냉)
4)후열처리방법
가)로를 이용한방법
나)국부 가열방법
다)저온응력완화법
5)후열처리효과
가)잔류응력제거
나)용착금속중의 수소 제거에 의한 연성 증대
다)노치 인성의 증가(충격값의 증가)
마)치수의 안정화
바)열영향부의 tempering
사)강도의 증가
카페 게시글
건설기계기술사(일일학습)
(12)용접부의 예열 및 후열처리의 목적(★)
背水陣
추천 0
조회 956
03.09.20 22:24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