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회선 방식은 모두 패킷교환 접근방식에 포함된
다.
[데이터그램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에서는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취급된다. 모든 패킷에는 목적
지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노드 고장시 다른 경로를 경유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순서도 틀리게 도달할수 있다.
[가상회선 방식]
가상회선 방식에서는하나의 메세지나 세션에 관련된 모든 패킷간의 관계가 유
지된다. 세션의 시작에서,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단일경로(오직 하나의 경로)
가 선택된다. 전송상의 모든 패킷은 그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가상회선 방식에는 교환가상회선(SVC)과 영구가상회선(PVC)의 두가지 형식으
로 구현된다.
먼저 교환가상회선은 개념적으로 다이얼 호출 회선 교환에 비교되며, 이 방법
에서 가상회선은 필요할때마다 생성되고 특정 교환기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국 A가 지국 X에 4개의 패킷을 보내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먼
저 A는 X에 연결설정을 요청하고, 일단 연결이 설정되면 패킷은 차례차례 순
서대로 전송된다. 마지막 패킷이 수신되고 확인응답을 받고나면 연결은 해제
되고 그 가상회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A와 X가 통신하기를 원할 때마다 새로운 경로가 설정된다.경로는 매번 같거
나 네트워크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이런 이유때문에 SVC는
데이터그램 수준의 유연성을 가지면서 가상회선의 확실성도 갖는다.
영구가상회선은 같은 가상회선이 두 사용자 사이에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사
용자간의 연결 요청이 있어도 항상 같은 경로를 얻는다.
=====================================
『세상을 변화시키는 인터넷①』
(≫≪) 미군 희생 여중생들의 죽음을 애도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