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드보이> |
영화가 모든 사람에게 팝콘과 콜라를 먹으며 즐기는 것이 될 수는 없다. 영화를 보는 눈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관객에게 <올드보이>는 되지도 않는 이야기일 뿐이다. <올드보이>를 둘러싼 견해는 극단적으로 달라진다. <복수는 나의 것>이 호평을 얻은 뒤 생긴 박찬욱의 프랑스 팬클럽은 한계를 두려워하지 않는 감독의 의지를 열렬히 지지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이들(박찬욱 팬클럽을 제외한 지구의 모든 사람들)에게 <올드보이>는 별다른 관심거리조차 되지 않는다.
비디오 게임의 리듬으로 두 시간이 지나갈 뿐 이야기와 상황 전개에서 개연성이나 치밀함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어쨌든 <올드보이>는 누구의 관심도 끌지 못하는 영화이다.
발췌·정리 차민철
Ain’t It Cool News.Com 2003년 12월 9일 <올드보이>
관객에게 연발 사격을 해대는 놀라운 영화
해리 놀즈/ AICN 운영자
어이 여러분, 해리입니다… 누가 박찬욱의 작품이 뭐라고 얘기해준들 별 도움은 안 됩니다. 그는 오늘날 활동하는 세계적인 영화인 가운데 안 알려진 최고의 감독입니다. 천재랍니다. 한국에서 온 작품들은 뛰어난데, 그중 그의 작품들은 최고 전성기의 프리드킨이나 스코시즈나 폴란스키에 버금갑니다. 얼굴 표정 하나 안 변하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올해, 아니 앞으로 수년간 미국에서 나올 현대물들보다 광년은 앞서요. 그야말로 위대한 영화를 사랑한다면 이 영화를 찾아내서 치아보호대를 끼세요. 정말 이빨 날아갈 정도로 한방 맞을 테니까!
<올드보이> |
<올드보이>는 바로 그런 영화, 모든 면에서 놀라운 영화이다.
시작은 너무나 간단하다. 한 남자가 납치되어 15년 동안 감금당한 채 외로움에 서서히 미쳐간다. 해설이나 배경설명이 거의 없다. 박 감독은 대신에 힘있게 죽 밀고 나가고 주인공 오대수(최민식이 눈부신 연기를 보여준다)가 이야기를 알아가는 동시에 관객에게도 그 전모가 드러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란 정말 대단한 이야기다. 줄거리를 너무 깊이 파고들 거란 걱정일랑 마시라. 이 영화는 발견해서 즐기고 소화시킬 그런 작품이다. 줄거리를 너무 많이 밝혀주는 건 이 영화를 찾아보려는 이에게 못 할 짓일 거다. 그리고 말이 나온 김에 말이지 자존심 있는 영화광이라면 마땅히 찾아봐야 할 테다.
<올드보이>의 핵심은 복수극이다. 억울하게 당한 사람의 심정과 게임의 끝을 보려는 그의 고단한 시련 속으로 파고드는,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폭력적인 서사이다. 박찬욱은 주인공을 일련의 피눈물나는 사건들을 겪도록 한다. 그건 그가 모르는 이우진이라는 남자(유지태가 싸늘한 연기를 보여준다)가 조종하고 있는 게임이다. 이 작품은 마지막 5분에 악당이 밝혀지고 그 행태에 대해 깔끔하게 설명을 종합해서 제공해주는 그런 영화가 아니다. 박찬욱은 악한을 일찍이 드러내고 오대수가 영화 내내 그가 누구인지, 왜 15년 동안 자신을 괴롭혀왔는지 어렵게 알아나가도록 만든다.
박찬욱은 솜씨가 좋은 감독이다. 생생한 감정, 거친 분노, 순전한 고통의 장면을 전달해낼 줄 안다. <올드보이>의 인물들은 비극적이고 어딘가 결함이 있다. 이 점이 이 영화를 도저히 거부할 수 없게 만든다. 박찬욱은 다른 감독 같으면 얼굴 돌릴 순간들을 눈 하나 깜짝 안 하고 그대로 보여준다. 오대수가 장도리로 간수의 이를 뽑는 고문을 하는 것을, 박찬욱은 그대로 보여준다(이를 지켜보기란 제길 고통이다). 뒤이어 오대수가 바로 그 장도리 하나를 무기로, 깡패 무리한테 당할 때도 남김없이 보여준다. 하지만 분할해놓는 식의 전통적인 싸움장면이 아니라 적당한 미디엄 숏 하나로 말이다. 그렇게 아슬아슬 도박을 하면서도 대부분의 경우 판을 건지는 이 영화에는 뭔가 만족스러운 데가 있다. 이 영화를 망칠 수 있는 부분들이 정말 많았다. 논란거리의 내용이 오버연기로 돌아설 수 있는 부분들, 실력이 조금이라도 덜한 감독이었다면 샛길로 빠져버렸을 비틀고 꼬인 이야기 전개 같은 것 말이다. 박찬욱은 오대수처럼 장도리를 치켜들고 마무리해낸 것이다.
그런데 정말로 이 영화는 연발사격을 해대는 영화이다. 놀라운 출연진, 재주가 좋은 감독, 흥미진진한 촬영, 뛰어난 각본이다.
이 영화는 관객이 있을 자격이 있고도 남는다.
번역 기영인
사실 영화를 다 본 뒤 최민식의 연기에 더 없는 찬사를 보내고 싶지만 감독의 의도가 눈에 들어오지 않아 참 마음이 뒤숭숭했다. 그리고 아직 나에게는 익숙지 않은 근친상간, 사설감옥, 폭력의 과잉은 잠깐씩 눈을 감게 만들었다. 인간의 내면에 깊숙이 있는 무서운 욕망을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말조심을 해야 한다라는 교훈을 주고 싶었을까?(이건 농담이다.) 감독은 3번째 복수시리즈를 준비중이다. 앞서 두 영화가 남자들의 영화였다면 세번째는 이영애를 주인공으로 여성중심의 복수물이 될거라고. 박찬욱 감독이 특별히 영화를 만들때 여자, 남자를 구분하고 찍는 것이라고 하지는 않으니 여타 감독들처럼 마초주의적인 냄새가 조금 나긴 하지만 일단 접어두고 그의 세번째 복수극을 기다린다.
첫댓글 우응. 칸 영화제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