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치종류 및 명칭
①커브형(일명:구스넥):주로 단단한 와이어 사용
②건형:알루미늄과 같이 구부려지기 쉬운 연한 와이어 사용
2) 특성
3) 차폐가스
4) 전류밀도
전류밀도는 용접봉 단위 면적당 통과하는 전류량 으로서 플럭스와이어와 솔리드와어 용접봉의 전류밀도는 차이가 있다. 플럭스 와이어의 코어(Core) 부분은 전류가 잘 통하지 않는다. 같은 사이즈의 용접봉을 비교해보면 플럭스 코어드 용접봉의 전류통과 부분이 솔리드와이어 보다 작은것을 알수있다 같은 전류에서 플러스 코어드 용접봉의전류밀도가 더 큰것을 알 수 있다. 전류밀도가 크기때문에 용접봉의 용착속도가 증가하고 용입이 더 깊어진다.
다. 용접전류
용접전류는 용입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산화탄소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정전압 특성의 전원은 토치선단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용융시켜 아크도 유지할수 있는 필요 전류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특성을 갖게된다. 따라서 이경우의 전류조정은 와이어 송급속도를 변화하는것에 의해 조정된다.
전류를 높게하면 와이어 녹음이 빠르고 용착율과 용입이 증가한다. 전류가 지나치게 높으면 용접비드 외관이 좋지않으므로 적정한 값을 선택해야하며 일반적으로 전류값을 높이면 전압도 함께 높여주어야 양호한 용접부를 얻는다.
라. 아크전압
아크전압은 비드 형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아크전압을 높이면 비드가 넓어지고 아크전압이 지나치게 높으면 기포가 발생한다.
또한 지나치게 낮으면 볼록하고 좁은비드를 형성하고 모재와의 용융이 불안전하다
마. 용접속도
용접속도는 용접전류, 아크전압과 함께 용입깊이, 비드형상, 용착금속량 등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용접속도가 빠르면 모재의 입열이 감소되어 용입이 얕고 비드 폭이 좁다 반대로 늦으면 아크의 바로 밑으로 용융금속이 흘러들어 아크의 힘을 감소시켜 용입이 얕으며 비드폭이 넓은 비드를 형성한다. 반자동 용접에서는 30∼50cm/min 범위가 위빙및 직선용접에 가장좋다.
바. 와이어 돌출깊이
돌출길이는 와이어의 전기적 접촉 팁 끝으로부터 모재면과의 거리로 생각하면 되지만 실제로는 그림처럼 팁끝에서 아크첨단까지의 길이로서 와이어를 이용하는 용접법에서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와이어 돌출길이가 길어지면 용접와이어의 예열이 많아지고 용접전류가 낮아진다.
와이어 돌출길이가 짧아지면 가스보호는 좋으나 노즐에 스패터 부착이 많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팁과 모재간의 거리는 전전류 영역(200A이내)에는 10∼15mm정도, 고전류영역(200A이내)에는 10∼25mm정도가 적당하다.
사. 용접 위생 및 안전
이산화탄소와 관련되어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것은 아크내에서 CO2가 해리에 의해 생성된 일산화탄소(CO)로 부터 중독작용의 위험보다 C02의 축적으로 부터 오는 질식의 위험이 크다.
CO2 그 자체의 독성은 없으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작업장 바닥에 축적되기 때문에 특히 가스누설이 있으면 질식의 원인이 되므로 작업장은 통풍을 잘 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