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공방법 |
![]() |
![]() |
![]() | ||||||||||||||||||||||||||||||||||||||||||||||||
![]() | ||||||||||||||||||||||||||||||||||||||||||||||||
|
|
![]()
| ||||
| |||||
CARRY DRAIN BOARD(배수판넬)는 비용과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는 기존 배수방법에 비해, 진공성형에 의한 고밀도 폴리스텔렌과 특수성필터(부직포)를 집합시킨것으로써, 옹벽 및 구조물에 설치하여 배수관(유동관) 또는 양수관(WEEP HOLE)으로 물이 흐르게 하는 배수시스템으로, | |||||
|
기존의 자갈을 사용하여 토사유입으로 인한 잔입자로 인해 배수능력의 감소뿐만이 아니라, 구조물에 가중되는 수압을 감소시켜 구조물 손상방지 및 지반안정을 도모해 주는 반 영구적인 신배수 공법입니다. | ||||
|
바닥배수판(지하 침투수 처리용) |
|
30mm형(500×500×30 콘크리트타설시 압축하중 448 Ton/㎡) |
|
45mm형(500×500×45 콘크리트타설시 압축하중 695 Ton/㎡) |
![]() |
70mm형(500×500×70 콘크리트타설시 압축하중 482 Ton/㎡) |
![]() |
120mm형(500×500×120 콘크리트타설시 압축하중 262 Ton/㎡) |
|
200mm형(500×500×200 콘크리트타설시 압축하중 325 Ton/㎡) |
|
|
■ 특징 |
|
■ 용도 |
|
■ 시스템설명 및 시공 |
|
|
|
조경용배수판 (500×500×35 압축하중 5.8 Ton/㎡) 전면/후면 |
|
■ 특징 |
|
■ 용도 |
|
■ 시스템설명 및 시공 |
|
■ 공법예시 |
|
|
|
■ 특징 |
합성수지의 방습벽돌 및 방습파렛트의 구조물이 공간을 형성하면서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함 |
|
콘크리트 건축물 지하실, 터널, 방카, 탄약고, 저장시설 등 지하구조물 방습공사. |
|
영구적으로 누수걱정이 없다. 방수는 누수만 막았지만 지하실의 누수, 결로, 습기를 없애며 통풍까지 되게하여 냄새를 없애고 풍화작용을 억제하여 건물수명을 연장하며 단열효과등 눈에 보이게 영구적으로 하자 없음. |
■ 기대효과 |
|
■ 방습파레트 |
35mm형(500×500×35 압축하중 181.38 KN) |
|
45mm형(500×500×45 압축하중 248.30 KN) |
|
70mm형(500×500×70 압축하중 154.71 KN) |
|
120mm형(600×300×120 압축하중 103.17 KN) |
|
2.설치시 공기층이 생겨 또 상하 콘크리트에 공기가 자유로히 통과할 수 있도록 많은 구멍이있어 습기를 말려줄 수 있다. (반드시 방수되고 통기성있는 부직포를 덮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한다.) 3. 하중을 견딜 수있는 구조이다. |
■ 방습 벽돌카바 (보온병처럼 단열 효과가 있는 구조임, 방수턱 대신 사용) |
방습벽돌(220×100×60 기성 시멘트벽돌을 삽입하여 사용함) |
1. 벽돌 삽입시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
■ 방습부직포(물이 세지 않고 공기는 통하는 부직포) |
(규격 : 1m×100m~1m×50cm / 방수 및 통기성있는 제품) |
1. 콘크리트 타설시 뻘크상태에서 물이 세지 않아야 콘크리트 양생이 잘된다. |
|
|
![]() |
부직포를 사용하지않고 통기구를 가진 방습판층과 콘크리트층을 일체화 하며,방습판의 통 기구와 콘크리트층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통풍이 잘되게 하여 결로를 방지 합니다. 시공순서 : 방습파렛트조립→ 와이어매시설치→콘크리트타설 |
![]() |
■ 무부직포 방습판40mm형(500 x 500 x 40 |
![]() ![]() |
■ 무부직포 방습판70mm형(500 x 500 x 7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