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CTION39~SECTION44.
1. 통신의 개념
1) 통신망(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으로, 자원의 공유를 목적으로 회사, 학교, 연구소 등 특정 지역 내에서 한정된 통신을 하는 방식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으로, 기존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통신망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정보 제공자는 정보 서비스의 수수료를 바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식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 통신망으로, 다양한 통신 서비스(텍스트, 음성, 영상 등)를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으로, 대륙과 대륙 또는 국가와 국가, 지방과 지방 같이 원거리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방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정보 통신망으로, 대도시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
2) 초고속 정보 통신망
21세기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선진국 진입을 위한 국가의 기반 구조
? 기존 통신망의 한계를 초월하여 고도의 정보 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 통신 서비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보 통신망
초고속 통신망은 모든 통신 시설을 광대역화, 쌍방향화, 디지털화하여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국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통신망이다.
(정보 고속도로)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 (B-ISDN)에서 사용되는 전송 방식을 이용
통신망의 발전과정과 차이
종합정보 통신망(ISDN) →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B-ISDN) → 종합지적 통신망(UICN)
ISDN: 전기통신 서비스의 융합을 지향
B-ISDN: 전기통신과 화상전송의 융합을 지향
UICN: 전기통신의 초고속 대용량화와 지적정보 처리기능의 융합을 지향
3) 데이터 전송 방식
단향 방식(Simplex Mode): 한쪽 방향으로만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
(예: TV나 라디오, 호출기)
반이중 방식(Half Duplex Mode): 양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송신이 불가능한 방식
(예: 무전기)
전이중 방식(Full Duplex Mode): 동시에 양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
(예: 전화)
4)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PC나 워크스테이션 등 주로 소형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시스템 방식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 중심의 개별적인 클라이언트 운영 환경이 가능함
분산 컴퓨팅 구조이므로 중앙집중처리 방식에 비해 보안 관리가 훨씬 까다로움
너무나 물어보아서 지겨운 LAN의 개념, 그리고 시사성문제같은 ADSL등이 출제되고 있는 추세이다.
2. PC 통신
1) PC 통신을 위한 준비물
컴퓨터(Computer)
모뎀(Modem)
전화회선
통신용 프로그램(에뮬레이터) 등
2) PC 통신 준비 과정
통신 에뮬레이터: 어느 PC 통신 서비스에 가입할 것인지를 고려해서 본인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에뮬레이터를 선택할 것
모뎀: 통신 지원속도, 가격 등을 고려해서 구매하고 내장형 모뎀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PC의 전원을 OFF한 다음 설치할 것
통신속도 지정은 모뎀 지원속도 및 사용 가능한 통신회선 등을 고려해서 지정할 것
모뎀 및 에뮬레이터는 정상적으로 설치한 후에도 PC 통신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는 PC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할 것
3) 모뎀(MODEM)
변조 복조장치로 크게 내장형 모뎀과 외장형 모뎀으로 구분한다.
속도는 BPS(Bit Per Second)로 표현.
통신 방식에 따라 반이중, 전이중 방식으로 구분.
모뎀 속도는 느린 쪽에 맞추어 전송되므로 주고 받는 양쪽 모두 같은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것이 최대의 효율을 가질 수 있음.
마우스와 모뎀을 함께 사용할 경우 주의사항
마우스와 모뎀을 함께 사용하다 보면 포트가 잘못 연결되어 충돌 현상이 발생해서 마우스의 포인터가 나타나지 않는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우스와 모뎀의 충돌 현상을 막으려면 포트 지정을 홀수끼리 또는 짝수끼리 지정하지 않도록 할 것
1) 모뎀의 종류
FAX MODEM: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자료를 전송할 수도 있고, 타인의 팩스로도 자료를 보낼 수 있는 모뎀
SVD MODEM: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한 모뎀
ISDN MODEM: 종합정보 통신회선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모뎀
2) 내장형 모뎀과 외장형 모뎀
① 내장형 모뎀
컴퓨터 본체 안에 설치하는 것
모뎀 카드를 PC의 슬롯에 꽂고 직렬 포트가 충돌하지 않게 설정할 것
장시간 모뎀을 사용할 경우 열 발생율이 높음
외장형 모뎀보다 설치하는 과정이 번거로움
충격이나 정전기에 약함
② 외장형 모뎀
컴퓨터 본체밖에 설치되는 것
모뎀은 PC의 직렬포트(Serial Port)에 케이블로 연결할 것
전원 스위치가 달려있어 모뎀의 전원을 ON/OFF 가능
내장형보다 열발생률이 낮음
내장형보다 충격에 민감하지 않으며 가격이 고가임
3) 파일 전송 프로토콜의 종류
YMODEM, ZMODEM, KERMIT, XMODEM, XMODEM-CRC, XMODEM-1K 등
ZMODEM: PC 통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파일을 전송할 때 에러를 정정하거나 전송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
파일 전송 도중에 중단되었을 때 다시 전송을 개시하면 중단된 지점부터 연속해서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4) 모뎀의 주요 명령어
1. AT: ATtention의 약자로 모뎀 명령을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러 가지 사항을 초기화시켜야 할 때 모뎀 명령어 전에 반드시 나타내는 명령 접두사임
2. ATZ: 모뎀을 리셋(Reset)하는 명령(모뎀 초기화)
3. ATM: 스피커 ON/OFF
4. ATA: 발신음 확인
5. ATDP: 기계식 전화기
6. ATDT: 전자식 전화기
7. ATH: 전화끊기와 받기
ATH0: 전화끊기
ATH1: 전화받기
5) 모뎀 관련 메시지
1. RING: 전화가 걸렸음을 나타냄
2. NO CARRIER, BUSY: 이용자가 많아 접속할 수 없어 끊어지는 경우, 모뎀을 사용하다가 연결이 끊겼을 경우에 나오는 메시지
3. NO ANSWER: 응답이 없음을 나타냄
4. CONNECT xxx: xxx 속도로 접속되었음을 알림
5. ERROR: 명령어 오류
6. NO DIALTONE: 접속 해제 또는 모뎀이 OFF 되어 있는 경우
7. OK: 정상적으로 실행된 경우
6) 국내 PC 통신 프로그램의 모뎀 환경설정
1. 패리티 비트: 없음(None)
2. 데이터 비트: 8비트
3. 정지비트: 1bit
4. 흐름제어: 양쪽(Both)
* 기타 용어 해설
1) 업로드(Upload): 개인용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을 호스트 컴퓨터에 올려놓는 기능
2) 다운로드(Download): 통신에 올라와 있는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오는 것
3) 캡처(Capture): 화면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는 것
(갈무리라고도 함)
4) 홈뱅킹(Home Banking): 은행에 가지 않고 인터넷이나 PC 통신으로 통장의 잔액조회나 계좌이체 등의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것
5) 홈쇼핑(Home Shopping): 인터넷이나 PC 통신으로 특정 상품을 구경하거나 판매 또는 구매할 수 있는 것
모뎀,PC통신등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리는 추세라서 그런지 출제빈도가 낮아지고 있다.
3. 인터넷(Internet)
1.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1970년 미국 국방성의 Arpanet에서 유래되었음
인터넷은 지구상에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접속과 자원의 공유가 가능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해 놓은 통신망의 통신망을 의미
인터넷의 발전 단계
1969년 4개의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한 ARPANET에서 시작.
1972년 TCP/IP 프로젝트 개발 시작.
1983년 ARPANET에서 TCP/IP 사용.
1985년 TCP/IP 프로젝트 개발 종료.
1990년 ARPANET 해체.
현재 190여 개 국가에서 2억명 정도가 인터넷 사용.
1) 인터넷 접속을 위한 준비물
컴퓨터 시스템(호스트 컴퓨터)
통신장비(모뎀, LAN)
전화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정(인터넷 ID, PC 통신 ID)
사용자
2) 윈속과 웹 브라우저
① 윈속(Winsock)
모뎀을 이용해서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종류: 트럼펫 윈속, 트윈속, 다윈속 등
② 웹브라우저
웹에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문자, 음성,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열람하거나 검색이 가능
종류: 넷스케이프, 익스플로러, 모자이크, 첼로, 리눅스 등
4.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1)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인터넷에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FTP 사이트에 ID와 비밀번호가 필요함
익명의 FTP(Anonymous FTP) 사이트에서는 ID와 비밀번호가 없어도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음
2) 텔넷(Telnet)
원거리에서도 개인의 PC와 연결되지 않은 컴퓨터를 자신의 PC처럼 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서비스
3) 고퍼(Gopher)
데이터를 색인해서 정보를 메뉴 방식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넷 서비스
베로니카(Veronica): 고퍼 자원을 좀더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검색 도구
4) 월드와이드웹(WWW ; World Wide Web)
인터넷에 연결된 전세계의 호스트 컴퓨터를 하이퍼링크를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한 것으로, 문자를 기본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 가능한 서비스
화상정보 검색 서비스: 홈쇼핑, 광고, 전자신문, 금융거래 등의 각종 서비스 제공
5) 유즈넷(Usenet) 서비스
? "User's Network" 약자로 공통 관심사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서비스
유즈넷을 이용할 때에는 뉴스그룹별로 있어서 자기가 원하는 그룹에 글을 올릴 수 있음
뉴스그룹의 종류: 학술연구, 사회적 문제, 컴퓨터 등
뉴스그룹: 같은 관심 분야를 가진 사람들끼리 특정 그룹을 만들어서 서로 논의를 하는 그룹
유즈넷을 사용할 때 지킬 예절
1. 기사를 올리기 전에 먼저 게시된 내용이 있는지 살펴볼 것
2. 기사를 간단 명료하게 작성할 것
3. 기사의 내용과 관련있는 제목을 표기할 것
4. 개인의 사적인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뉴스그룹에 글을 게시하지 말 것
6) 아키(Archie)
인터넷에 연결된 많은 호스트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검색 가능
정보의 위치인 서버의 인터넷 주소,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
7) 웨이즈(WAIS)
정보를 서로 연결해주는 인터넷상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8) 전자우편(E-mail)
전세계에 연결된 인터넷망을 통해서 인터넷 이용자 간에 전자우편을 주고받게 해주는 시스템
9) 채팅(IRC ; Internet Relay Chat)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인터넷 사용자 어느 누구와도 대화 가능
FTP의 개념에 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다. 과히 인터넷의 붐을 타고 요즈음 정보검색사 시험과 착각할 정도의 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사항들은 기본적일 뿐이다. 좀 더 자세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는 부분들이다.
5.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1)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전용회선인 LAN으로 구축된 통신망 간의 상호 통신규약
기종이 다른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 관리 통신규약
2) 전화선과 다이얼업 모뎀
SLIP(Serial Line IP): 전화회선이나 RS-232C 케이블 등을 이용하는 직렬 통신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PPP(Point to Point Protocol): 일반적으로 모뎀을 통해 인터넷으로 TCP/IP 접속을 할 때 이용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전용망에 직접 접속하므로 안정적이고 속도가 빨라 편리하며, 압축 기능과 에러 감지 기능 등을 제공하므로 많이 사용함
6. 인터넷 주소 체계
1) IP 주소
네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항목은 마침표로 구분된 숫자로 표시된다.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가 직접 인식할 수 있는 주소.
인터넷상에 있는 모든 시스템은 인터넷 주소라고 하는 고유의 IP 주소를 할당받아야 함.
32비트의 비트열로 일반적으로 8비트씩 나우어 4개의 10진수로 표현.
연결된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A, B, C 클래스로 나뉘어지며 전세계 어떠한 컴퓨터도 같은 IP 주소를 가질 수 없음.
2) 도메인명(Domain Name)
숫자로 부여된 IP 주소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단어식으로 표현한 것.
국내 인터넷 주소 형식: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기관, 소속기관의종류, 소속국가
① 국가 도메인명
오스트레일리아: au
캐나다: ca
덴마크: de
핀란드: fi
프랑스: fr
이탈리아: it
일본: jp
한국: kr
미국: us
영국: uk
7. 검색엔진(Search Engine)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주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구
국내 검색엔진 종류: 심마니, 미스 다찾니, 까치네, 정보탐정, 코시크 등
국외 검색엔진 종류: 야후, 알타비스타, 웹클로울러, 익사이트, 마젤란 등
메타 검색엔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고 다른 검색엔진을 활용하는 검색엔진으로 프론트엔드(Front End)라고도 함
8. 인터넷에 의한 응용 또는 부가 서비스
인터넷 쇼핑: 다양한 상품을 불필요한 유통과정 없이 쉽게 구입 가능
머드(Mud):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게임
토크(Talk):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상에서 일대일로 대화하는 서비스 제공
핑거(Finger): 특정 호스트에 있는 사용자 정보의 이름이나 접속 여부 등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핑(PING, Packet Interationet Gopher): 사용자가 특정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지 IP 주소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뉴스 클리핑 서비스: PC 통신을 이용하면 국내에서 발간되는 여러 신문들을 한 눈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 년치 기사들 중에 원하는 검색어가 들어있는 기사들을 검색어를 이용해서 보다 신속하게 찾아주는 서비스
웹진(Webzine): 온라인 매거진이라고도 하며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온라인 잡지
밍서비스: 국내 인터넷 서비스 업체(ISP)를 이용하는 인터넷 사용자가 외국으로 여행을 하더라도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그 나라의 시내 전화요금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
TV 시청: 인터넷으로 TV를 보려면 스트림웍스와 같은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됨
언제나 중요한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을 잘 숙지하도록 하자. 요즈음 이 부분에 출제 빈도가 높다.
9. 인트라넷과 전자상거래
1) 인트라넷(Intranet)
기업체나 연구소 등 조직 내부의 모든 업무를 인터넷 관련 기술로 처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네트워크 환경.
기업 내 근거리 통신망인 LAN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기업 내의 각종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활용 가능.
인트라넷은 방화벽(Firewall)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정보에 대한 보안 유지가 가능
멀티미디어 문서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정보의 획득이 용이.
2) 전자상거래
인터넷을 통해 전자적으로 상품들을 사고 팔 수 있는 것으로, 온라인 쇼핑, 통신 판매, 전자 결재, 가상 기업 등을 의미
* 용어 해설
1) DNS: IP 주소와 도메인명 사이의 변환 서비스로 Root Server 아래에 각 최상위 도메인별 도메인명 서버가 존재하는 계층적 구조를 가리키는 서비스
2) 게이트웨이(Gateway):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비
3)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문서를 서로 관련지어 찾아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 파일이나 문서 형식을 의미
4) HTTP: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 (프로토콜)
5) HTML: 하이퍼텍스트를 만드는 수단이 되는 언어로서, 사용자에게 보내줄 문서의 표현 형식을 지정할 수 있게 함
6) 허브: 데이터를 각각의 LAN 카드로 분배하는 장치
7)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문자를 비롯해서 그림, 음성, 비디오 등의 매체를 서로 결합시켜 다룰 수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
8) 미러링(Mirroring): 전세계의 사용자들이 한 곳의 FTP 서버에 집중하면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FTP 서버의 자료를 동일한 디렉토리구조로 다른 FTP 서버에 그대로 옮겨다 놓으면 병목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더 가까운 위치에서 자로를 전송받을 수 있음
9) 네티즌(Netizen): 네트워크(Network)와 시민(Citizen)의 합성어로 통신 사용자들을 지칭함
10) POP(Post Office Protocol): 메일을 받기 위한 통신규약
11)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방어벽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서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서버
12) PUSH: 인터넷상에서 개인이 특정한 조건하에 원하는 정보의 종류만 설정해두면 웹서버가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해주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매번 정보 검색을 하지 않아도 됨
13) 라우터: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시스템까지 데이터가 경유할 경로를 정하는 장치
14) SMTP: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편지를 쓸 때 송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15) 스팸(SPAM): 쓸모없는 내용의 메일이 자기 E-mail 박스에 가득 차 있는 것을 의미
16) 스트림웍스(Stream Works): 인터넷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17)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의 웹(WWW)에서 정보 검색을 위한 표준 주소 체계
18) 웹서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들 웹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인터라넷, 각종용어등에 대한 개념들을 모두 암기하고 있어야 하겠다.
SECTION45~SECTION48.
1. 정보화 사회
컴퓨터를 통해 정보를 만들어 내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대량으로 유통시켜 정보를 이용한 가치 생산이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는 사회
정보의 생산과 교환이 제조업이나 다른 산업의 보조가 아닌 주된 활동으로 경제 체제가 움직이는 사회
1) 정보화 사회의 특징
정보의 대량 유통
인간의 두뇌나 지적 창조력을 수단으로 하는 노동자로의 대체
정보의 수요와 공급의 다원화
다양한 사회의 시스템화
기술혁신과 정보화의 진전에 따른 첨단 직업 출현
컴퓨터와 통신을 응용한 새로운 기술혁신은 정보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발전을 주도함
컴퓨터와 통신수단의 결합을 통해서 정보의 유통이 원거리까지 가능해짐
2)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이용 격차와 문화적 종속
정보의 홍수와 인간의 고유 판단능력 상실
컴퓨터 범죄 증가
컴퓨터 통신에 따른 시스템 파괴와 같은 피해를주는 해킹 문제 대두
음란물이나 폭력물과 같은 불건전한 정보의 유통
인간 소외 등
3) 역기능에 대한 대응 방안
정보 산업의 공익성과 상품성
인간 소외감과 비인간화 현상 해소
인간 개개인의 창의력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
정보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규범 창출
정보 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 강화 등
4) PC를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
변화되는 컴퓨터 기술을 신속하게 습득하고, 필요할 때 적절히 활용하는 습관을 가질 것
주변기기는 개개인의 업무에 필요한 것만 장착해서 사용하도록 할 것
컴퓨터를 작동하는 데 불편함이 없을 만큼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지식을 익힐 것
대부분 상식선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상식이 없다면 어려울수도.
2. 컴퓨터 범죄
1) 컴퓨터 범죄의 특징
컴퓨터 범죄는 일반적으로 불만이나 원한관계, 산업 경쟁 또는 정치적 목적, 지적 모험심 등이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
컴퓨터 범죄는 되풀이될 가능성과 범죄의 범위가 갈수록 커질 우려가 있음
범죄의 적발이 어렵고 단독 범행이 쉬움
범죄 후 도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어 입증과 추적이 어려움
컴퓨터 범죄자의 연령이 비교적 젊고, 죄의식이 적음
2) 컴퓨터 범죄와 방지대책
정보기기 관련 범죄: 보안성이 뛰어난 물리적 보안장치의 개발과 출입제한, 통제 등의 관리를 강화할 것
중요자료 유출: 고객정보와 같은 중요한 자료가 담긴 전산자료의 관리 및 폐기처분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교육 등을 실시할 것
해킹: PC 통신 이용시 자신의 계정 ID와 비밀번호 관리를 철저히 하고, 비밀번호는 수시로 변경해서 사용할 것
컴퓨터 바이러스: PC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은 백신으로 진단한 후 사용할 것
사기판매행위: PC 통신을 통한 매매행위는 거래를 하기 전에 전화로 먼저 상대를 확인한 후 거래하거나 매매 중개 서비스 등을 이용할 것
3) 해커(Hacker)
해커란 원래 컴퓨터와 네트워크 분야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의미했으나 PC 통신의 발달로 인해 자신의 실력과시나 개인의 이익을 위해 불법으로 프로그램에 악영향을 주는 사람을 지칭함
해킹 방지대책
전문적인 통신망 보안 인력 양성
보호 패스워드 파일 사용
바이러스 방지 장치 설치
패스워드의 수시 변경을 통한 노출이나 남용되지 않도록 할 것
인터넷 관련 보안도구를 입수하여 보급할 것
해킹감시와 접근통제도구 등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교육할 것
비밀번호는 타인이 쉽게 알아낼 수 없도록 영문자와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할 것
정기적인 보안점검을 실시할 것
상식이 통한다면 못 풀것도 없는 문제들이다. 그러나 웬만한 소프트웨어들은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는것이 "정상"이라고 알고 있는 일부 계층들은 어려워 할 수도 있는 부분이 아닐까?
3. 컴퓨터 보안
1) 인터넷과 보안
인터넷과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인터넷의 급속한 팽창으로 인해서 네트워크 해킹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음
각 기관은 실정에 맞는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보안은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 보안과 자료들에 대한 침투를 방지하는 자료 보안으로 분류
2) 시스템 보안(System Security)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서버 등의 허점을 이용해서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주로 방화벽을 설치해서 보안 시스템을 구축
1. 방화벽(Firewall)이란?
내부의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와 외부의 신뢰성 없는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정책과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총칭
2. 방화벽의 기능
인터넷 서비스별로 정보를 요청한 시스템의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접속을 차단
사용자 인증에 기초해서 외부 접속을 차단
네트워크로 들어오고 나가는 패킷의 IP와 TCP 헤더를 검사하여 패킷의 통과 여부를 결정
(Packet Filtering)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외부로 접속할 때 방화벽을 통과하도록 설정하여 해커가 내부의 IP 주소를 도용하지 못하도록 방지
3) 자료 보안(Data Security)
시스템에 들어있는 자료를 보호하는 것
자료의 전송 도중에 가로채거나, 수정하는 행위로부터 자료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주로 암호화나 전자 서명을 이용
1. 침입 형태
① 가로막기(Interruption)
자료가 수신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
자료의 가용성(Availability)을 저해하게 됨
② 가로채기(Interception)
전송한 자료가 수신지로 가는 도중에 몰래 보거나 도청하는 행위
자료의 보안성이 떨어지게 됨
③ 수정(Modification)
원래의 자료를 다른 내용으로 바꾸는 행위
자료의 신뢰성이 손상됨
④ 위조(Fabrication)
자료가 다른 송신자로부터 전송된 것처럼 꾸미는 행위
자료의 무결성(Integrity)이 손상됨
2. 암호화(Encryption)
암호키를 이용해서 정보를 바로 해독할 수 없도록 변환하는 것으로 특정인만 해독할 수 있게 하는 것
자료의 기밀성(Confidentiality)을 보장하는 방법
자료에 특정한 처리를 통해서 침입자가 자료를 입수하더라도 해당 자료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작업
일반적으로 암호화는 키(Key)를 사용해서 암호 자료를 생성
암호화에 필요한 구성 요소 : 자료, 암호화하는 키(Key), 암호화된 자료(Cryped Data), 암호화된 자료를 원래의 자료로 복원시키는 키
암호화의 종류 :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등
암호화 원칙
신원 확인(Identification) : 송신자가 실제로 그 사람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인증(Authentication) : 암호문의 원래 송신자를 확인하고 메시지 전문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
발신자 확인(Nonrepudiation) : 송신자가 전송한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
확인(Verification) : 신원 확인과 인증을 한 번에 처리하는 기능
개인정보 보호(Privacy) : 정보 전송시 해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
암호방식의 종류
① 비밀키(단일키, 대칭형)
암호화하는 키와 암호화된 자료를 복호화하는 키가 동일한 방식
장점: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암호화 기법이 개발
단점: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자료를 사용할 때 키의 공유 문제가 발생
② 공개키(이중키, 비대칭형)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를 별도로 사용하는 방식
비밀키 암호 방식으로 암호화한 자료를 전송할 때 수신자에게 키까지 보내야 하는데, 해당 키를 보호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개발
장점: 키 관리가 용이하며 전자 서명으로 사용 가능
단점: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속도가 느림
종류: RSA(Rivert-Shamir-Adleman), LUC(Lucas)
* 주요 용어
비밀키: 평문을 암호화 알고리즘에서 암호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
암호문(Ciphertext): 평문을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암호화한 자료
복호(Decryption) 알고리즘: 비밀키를 사용해서 암호문을 원래의 평문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암호화 알고리즘과 역으로 작동
공개키(Public Key)와 비밀키(Private Key):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분리시킴
4) E-mail에서 사용되는 보안
기밀성(Confidentiality): 해당 수신자 이외의 사람은 내용을 볼 수 없게 하는 기능
메시지 인증(Message Integrity): 메시지 전송 도중에 불법적으로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해주는 기능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송신자가 실제로 메시지를 송신한 사람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주는 기능
송신부인 방지(Nonrepudiation of Origin): 송신자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 사실을 부인하는 것을 확인해주는 기능
수신부인 방지(Nondeniability of Receipt):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 사실을 부인하는 것을 확인해주는 기능
메시지 재전송 방지(Message Reply Prevention): 중간에 지나가는 메시지를 가로채서 재전송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
암호화의 종류
PEM(Privacy Enhanced Mail): E-mail을 전송하기 전에 자동으로 암호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RSA 방식을 사용해서 암호화
PGP(Pretty Good Rrivacy): E-mail에서 필요한 보안 기능 중에서 기밀성, 메시지 인증, 사용자 인증, 송신부인 방지 기능을 지원
5) 디지털 서명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당사자간에 메시지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
메시지에 송신자의 신분을 보증하는 내용을 추가해서 암호화하는 방식
주로 공개키 암호 방식을 이용
기능: 사용자 및 메시지 인증 기능, 송신 및 수신부인 방지 기능
6) 웹(Web)에서의 보안
1. 일반적인 WWW 보안 메커니즘
IP 주소 인증: 웹서버를 설치할 때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 혹은 도메인명을 지정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해당되는 IP 주소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
기본적인 인증: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해서 접근 허락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Massage Digest 인증: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기본적인 인증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법
2.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S-HTTP(Secure-HTTP): HTTP로 주고받는 자료에 대한 암호화와 디지털 서명을 지원
?SSL(Secure Socket Layer): 넷스케이프의 암호화에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전송 계층에서 수행되는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HTTP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NNTP, SMTP, Telnet, FTP, Gopher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SEA(Security Extension Protocol): S-HTTP의 기능을 수용하면서 구현은 W3C에서 제안한 PEP(Protocol Extension Protocol)을 이용하는 형태
STT(Secure Transaction Technology): 마이크로소프트와 비자(VISA)가 개발한 프로토콜
방화벽에 대해서, 그리고 까다로운 뜻을 의미한 단어들(인증,위조등)의 정의, 또한 인증방법에 대한 사항들까지 계속 강조되고 점점 더 많이 출제되고 있는 부분이다.
4. 정보 윤리
1) 정보 윤리란?
컴퓨터를 학습하고 이용함에 있어서 타인에게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인 피해를 주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과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① 컴퓨터 사용시 고려사항
지적재산권이나 개인의 사생활과 국가기밀의 보호
컴퓨터 사용자는 유익한 정보를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있도록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고 법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할 것
개인의 창의력과 조직사회의 능률향상을 위해 이용될 것
국가의 발전과 더불어 민족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도모하고 미풍양속을 해치지 않도록 할 것
SECTION49~SECTION52
1. 멀티미디어의 개념
1) 멀티미디어(Multimedia)의 특징
다중(Multi)과 매체(Media)의 합성어로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화해서 나타내는 것
일반 문자(텍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운드와 이미지, 움직이는 그림 등을 종합해서 여러 매체를 통해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것
멀티미디어 정보는 일반적으로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내용들을 압축해서 표현하는 경우가 많음
2) MPC(Multimedia Personal Computer) 레벨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위해 갖추어야 할 장비의 최소 규격을 정의한 것으로, 발전 과정은 MPC-1 레벨 → MPC-2 레벨 → MPC-3 레벨순
3)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요소
입력장치: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오디오 시스템, 음성 디지타이저, 비디오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터치 스크린, 전자 펜 등
출력장치: 모니터, 프린터, 사운드 카드, 스피커, 멀티비전, 필름 출력기, 영사기, VTR/VCR 등
처리장치: 데이터 압축장치, 486이상의 컴퓨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
저장장치: 하드디스크, CD-ROM, 광디스크, DVD 등
영상처리 보드: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 TV 수신 카드, 이미지 그래버 보드 등
통신장치: 모뎀
1. 영상
오보레이 보드(Video Overlay Board)
오버레이란 화면 중첩이라는 뜻으로 2개 이상의 이미지를 한 화면에 합성해서 모니터에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입력되는 영상을 한 번에 하나씩 VGA 신호에 얹어 모니터에 나타나게 한다.
캡처 보드(Capture Board) 그래버 보드나 오버레이 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을 캡처해서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게 함.
2. 프레임 그래버 보드(Frame grabber board)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다른 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영상을 캡처해서 파일로 자장할 수 있게 하는 보드로, 입력한 영상을 보관하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두어 이곳에 입력된 영상을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입력해서 저장함
3. TV 수신 카드
컴퓨터로 TV나 비디오 화면을 볼 수 있게만 하는 장치로, 비디오 신호와 그래픽 카드의 데이터를 합성한다거나 TV를 보면서 다른 작업은 할 수 없음.
멀티미디어에 텍스트(TEXT) 도 포함된다는걸 잊지말것.
4) 멀티미디어의 운용
1.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국제표준화기구(ISO) 산하의 TC97/SC2 라는 연구 단체에서 제정한 정지화상의 압축기술
흑백이나 컬러 이미지를 압축하고 재생 가능하며 손실 기법과 무손실 기법을 수학적으로 구현하여 이미지를 압축 저장하거나 재생이 가능함.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가능.
모든 프레임에 대한 압축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프레임 검색과 재생이 비교적 쉽지만 데이터의 양이 큰 단점이 있음.
프레임(Frame)
만화영화나 TV에서 하나하나의 장면(영상화면)을 의미한다.
1초당 보여지는 영상의 수.
2. 동영상 압축기술
1) MPEG
동영상에 대한 전문가들의 모임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를 가리키는 의미였음.
동영상, 다양한 소리를 포함한 압축기술로 영상과 오디오를 각각 압축해서 재생할 때에는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일치하도록 동기화해서 표현함.
영상의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일 수 있는 중복제거 기법을 사용한다.
압축할 때 데이터의 양이 커지는 JPEG을 보완한 것.
국제표준 동영상 포맷으로 Windows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액티브 무비 또는 Xing Mpeg Player를 설치할 것.
MPEG 표준안의 발전 단계 : MPEG-1 → MPEG-2 → MPEG-4
① MPEG-1
CD-ROM, CD, 방송용 VCR, 대화형 CD 등에 동영상이나 다양한 소리(음향)를 압축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방법 제공
1초에 약 1.5MB 정도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방법 제공 VHS 비디오 정도의 영상 제공
② MPEG-2
MPEG-1의 기능에 고품위 TV(HDTV)의 품질 제공
③ MPEG-4
MPEG-2를 개선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 전송이나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
2) AVI(Audio Visual Interleave)
MS사가 개발한 디지털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 내용 압축 가능.
3)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디지털 TV를 만들기 위한 영상압축기술이던 것을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동영상 압축기술로 발전시킴.
대량의 이미지(영상)와 음향 데이터를 압축해서 CD-ROM에 저장 가능.
압축효율은 대략 144배이며 동영상이나 음향을 한 장의 CD에 72분 정도의 분량을 저장할 수 있음.
4) MOV
애플컴퓨터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포맷으로 매킨토시 환경의 표준으로 WINDOWS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Quicktime for WINDOWS" 를 설치해야함.
5) MIDI와 WAVE
① 미디
Musical Instruments Digital Interface의 약자
전자악기 간의 디지털 신호에 의한 통신이나 컴퓨터와 전자악기 간의 통일 규약.
② 웨이브(WAV)
WINDOWS나 OS/2와 같은 운영체제하에서 소리를 그대로 저장했다가 사운드 카드를 통해 직접 재생이 가능.
다양한 소리를 쉽게 디지털화 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지만 MIDI파일보다는 파일의 용량이 커질 수 있음.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은 소리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중 하나임
3. 멀티미디어의 활용범위
인터넷(Internet)과 PC 통신에 희한 홈 서비스
초고속 정보 통신망: 홈뱅킹, 홈쇼핑, 전자학습, 전자 민원 서비스, 원격진료, 전자신문, 영상회의 등에 활용
가상 비즈니스(Virtual business)
가상 현실(VR : Virtual Reality): 교육분야, 과학분야, 게임 등에 활용
화상 응답 시스템(VRS)
전자도서관이나 전자 박물관 등의 실현
화상통신회의(VCS : Video Conference System)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VOD : Video On Demand)
원격진료 시스템 : 동영상 진료 시스템, 의학 영상 정보 시스템
전자 출판(DTP)
언론과 출판 : 잡지, 신문, 출판, 방송 등
전화 비디오 서비스(VDT)
멀티미디어 프리진테이션 : 동영상과 애니메이션 그리고 다양한 음향을 부가해서 기업 광고물이나 회의자료 등을 슬라이드처럼 단계별로 자료를 보여주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