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후 1930년대에 이르러서야 경제적인 재배 과수로 인정되어 재배면적이 급격히 늘어나고 시장 유통(市場 流通)이 시작되었다. 1940년대에는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하여 뉴질랜드는 세계에서 유일한 참다래 재배국이 되었으며, 1980년에는 경제적 재배면적이 7,000ha에 이르게 되었다. 이 시기는 재식된 참다래의 50%만이 결실 수령에 도달했으므로 당시 생산량은 25,000M/T 이었으며 이후 계속적인 면적 확대와 결실 가능 주수(株數)의 증가로 1990년대 후반기에는 20만M/T 생산이 기대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1970년 뉴질랜드로부터 도입되어 그 이후 급속히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다만 겨울철의 동해(凍害), 발아기와 수확기의 상해(霜害), 수확기간중의 풍해(風害) 등 기상적 요건에 의해 재배면적이 국한되는 까닭에 다소의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배면적은 1979년도에 270ha에서 1987년도에는 4,370ha로 계속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고 1991년 5,250ha에서 수입자유화 추세로 1993년 현재는 4,720ha로 약간 감소 하였으며 생산량 역시 1990년 69천 톤에서 1993년에는 52천 톤으로 낮아졌다.
[표 1-2] 주요수출국 수출현황
순위 |
국명 |
생산량(천톤) |
비 고 |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
1 2 3 4 5 6 |
뉴질랜드 이 테 리 칠 레 프 랑 스 미 국 일 본 |
321 250 25 54 35 69 |
275 309 89 59 27 46 |
226 274 69 78 47 54 |
26 270 83 55 42 52 |
217 236 111 53 36 49 |
208 250 130 57 32 50 |
면적감소추세 면적감소추세 면적감소추세 |
생산량은 뉴질랜드, 이태리가 세계 총 생산량의 61%를 차지한다. 남반구인 뉴질랜드, 칠레, 등은 수확시기가 4∼6월, 유통시기가 5∼12월이며 북반구인 이태리, 미국, 일본 등은 반대로 수확시기가 10∼11월, 유통시기는 12∼5월이다. 그리고 중국의 비공식 생산량은 100천톤 으로 추정되고 있다.
[표 1-2] 주요수출국 수출현황 (1993, 1994년도별)
순위 |
국명 |
수량(천톤) |
수 입 대 상 국 |
가 격 (CIF원/kg) | |
1993 |
1994 | ||||
1 2 3 4 5 |
이 태 리 뉴질랜드 칠 레 미 국 프 랑 스 |
215 181 86 8.7 25 |
170 187 95 8.8 26 |
EU, 프랑스, 스페인 EU, 일본, 미국, 호주 EU, 미국, 일본 한국, 일본, 대만 EU, 이태리 |
1,088 995 937 1,515 1,320 |
※ 세계총수출량의 73%를 뉴질랜드 및 이태리가 차지함
[표1-3] 주요수입국 수입현황 (1993, 1994년도별)
순위 |
국명 |
수량(천톤) |
수 입 대 상 국 |
가 격 (CIF원/kg) | |
1993 |
1994 | ||||
1 2 3 4 5 6 |
독 일 일 본 스 페 인 미 국 프 랑 스 이 태 리 |
140 45.3 44.5 29.3 25 21 |
115 49 44.5 28.5 26 25 |
이태리, 뉴질랜드, 미국 뉴질랜드, 미국 이태리, 프랑스 칠레, 뉴질랜드 뉴질랜드, 칠레, `이태리 뉴질랜드, 칠레, 프랑스 |
1,100 1,530 727 950 1,014 829 |
※ 세계총수입량의 42%를 독일이 차지함
※ 수출형태 : 국가간 쿼터제 또는 구상무역 형태로 바이어와 계약체결신선 생과 및 가공쥬스를 대상으로 거래됨.
우리 나라는 1977년경 일부 삽수와 극소량 묘목이 도입 되었으나 본격적인 묘목 도입은 1978년 부터이며 일부 농가에서는 1981년부터 결실을 보았고 참다래 생산물은 지금까지 고급 과실로서 시장판매에서 고가품으로 거래 되고있다. 최근 참다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표 1-4] 국내생산 현황
구 분 |
1985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재배면적(ha) 총생산량(M/T) 생산액(백만원) |
250 640 768 |
813 5,460 4,800 |
846 6,675 6,084 |
989 8,263 9,916 |
1.131 8,358 10,030 |
1,379 8,741 10,489 |
1,471 12,184 17,052 |
[표 1-5] 도별 참대래 재배면적 및 생산량 (1995)
구분 |
계 |
경 기 |
충남 |
전 남 |
경북 |
경남 |
제 주 |
면 적(ha) 생산량(M/T) |
1,471.0 12,184.2 |
30.1 576.0 |
4.7 28.2 |
957.0 6,608.0 |
2.0 9.0 |
265.8 2,871.0 |
211.4 2,092.0 |
※ 주 생산지 : 전남(65%) - 해남, 완도, 보성, 장흥, 고흥
제주(14%) - 북제주, 남제주, 제주시
경남(18%) - 남해, 고성, 삼천포
※ 출하 시기 : 국내산 - 11~3월
2. 소비현황 및 전망
(1) 국내소비 및 수출입 현황
참다래를 이용한 제품으로는 통조림, 와인(wine), 청량음료, 과자류, 아이스크림 등이 있다. 참다래의 과실은 향기가 있고, 과심(果心)은 황색을 띠며 과육(果肉)은 녹색으로 외관상 매우 아름답기 때문에 각종 요리에 장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과실에는 단백질의 분해효소인 악티니딘(actinidin)이 함유되어 있어 육류(肉類)나 생선의 연화제(meat tenderizer)로 이용되기도 한다. 1993년 현재 연간 1인당 참다래의 소비량을 보면 뉴질랜드에서는 6.0㎏, 이태리에서는 2.2㎏, 일본과 서독에서는 0.7∼0.8㎏ 정도 되나 우리 나라에서는 0.28㎏에 불과하며 일본의 3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참다래는 특유한 맛과 비타민C가 풍부하기 때문에 각종 스낵이나 건강식품(健康食品)으로 각광을 받고 있어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될 전망이다.
[표 1-6] 한국과 일본의 국민 1인당 소비량 비교
년도 소비량 |
1985 |
1990 |
1991 |
1993 |
1995 |
국 내 (kg/인) 일 본 (대비) |
0.02 0.29 |
0.14 1.04 |
0.22 0.71 |
0.28 0.78 |
0.40 0.83 |
※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량은 증가 추세
※ 현재는 공급 부족으로 매년 5,000M/T 정도 수입하고 있음.
※ 국내 생산 12,000M/T + 수입량 5,000M/T = 17,000 M/T
※ 1995년도 1인당 소비량은 일본의 약 48% 수준임.
[표1-7] 참다래 국내 수입 현황 (관세청 무역 통계연보)
국 명 |
1993 |
1994 |
1995 | |||
물량(M/T) |
금액(千) |
물량(M/T) |
금액(千) |
물량(M/T) |
금액(千) | |
뉴질랜드 미 국 일 본 계 |
2,672 894 22 3,588 |
4,182 1,549 34 5,765 |
2,763 1,643 40 4,446 |
4,532 3,452 56 8,041 |
2,877 2,235 - 5,112 |
4,927 4,726 - 9,653 |
※ 수입가격(1994년 5월∼1995년 4월) : 뉴질랜드 1,296원/㎏, 미국 1,625원/㎏,
일본 1,220 원/㎏
※ 1996년부터 현대농산, 참다래유통사업단, 수일통상 3개 회사에서 수입
[표 1-8] 우리 나라의 수출실적 (한국참다래유통사업단)
수 출 대상국 |
1994 실적 |
1995 실적 |
1996 실적 | |||
물 량 |
수출액 (백만원) |
물량 |
수출액 (백만원) |
물량 |
수출액 (백만원) | |
러시아 대만 캐나다 중국 싱가폴 |
140.2(738) 42.0(221) |
221.4 66.3 |
7M/T 7.8(164) 9.0(189) 9.9(208) |
7.7 39 34 32 |
6.9(110) 103.5(1.656) |
20 268 |
계 |
182.2(959) |
287.7 |
26.7(561) 7M/T |
112.7 |
110.4(1,766) |
288 |
※ 1996년말 생과200M/T 싱가폴 수출계획
※ 물량 : 쥬스 ㎕ ( 천캔 ), 생과 M/T원
우리 나라 참다래 품질은 외국산에 비해 당도가 높아서 소득 전망이 밝은 과수로 안정재배만 이루워진다면 주변 일본, 동남아, 중동을 겨냥한 수출작목으로도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동남아의 여러 국가는 열대지방으로서 낙엽성 과수인 참다래 재배가 불가능하므로 자국민의 기호성과 시장성을 장악한다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고, 일본의 수입량 10%만 잠식하더라도 5천톤 이상의 생과가 소비될 수 있다. 유럽의 주산지인 이태리, 프랑스 등은 유럽주변 국가들의 음식문화의 발달로 수출산업의 호황을 누리고 있다. 우리의 경우 일본을 겨냥한 수출시장 여건을 살펴보기로 한다.
(2) 일본의 생산 및 수출입 동향
- 폐원 면적 증가(1987 : 10ha → 1992 : 359ha)
- 신규 개원 면적 감소(1987 : 723ha → 1992 : 62ha)
- 도매시장 판매가격 : 410(1987) → 266¥/㎏(1993)
о 국내 생산량의 100% 정도 수입으로 공급과잉 상태
- 5∼12월 사이에 대부분의 물량 수입 (98%)
- 뉴질랜드와 미국이 주 수입국이나 미국으로 부터 수입은 점차 감소 추세
о 생과 수출은 국내 공급 잔량(1993, 102M/T)을 한국 등 동남아에 수출
[표 1 - 9 ] 재배 면적의 감소 및 판매가격 하락 추세
구 분 |
1987 |
1989 |
1991 |
1992 |
1993 |
재 배 면 적 (ha) 생 산 량 (M/T) 수 입 량 (M/T) 도매시장가격 (국산, ¥/kg) (수입, ¥/kg) |
4,370 3,4600 - 410 - |
5,100 43,700 50,175 288 302 |
5,250 45,700 42,651 193 270 |
4,950 53,800 52,265 362 233 |
4,720 52,100 47,058 266 205 |
폐 원 면 적 (Ha) 신 규 가 입 면 적 (Ha) |
10 723 |
48 411 |
111 149 |
359 62 |
- - |
※ 재배 전망 : 농업인구 고령화, 생산비 상승, 수입 개방으로 부적지, 과원의 대체 및 폐원이 불가피
(3) 일본의 현행 수입 제도
о 품목 : 신선 KiWi fruit 생과 및 저장 과실(품목 번호 0810.90.40)
о 세율 : 기본 20%, GATT 협정, 잠정 8%
о 수입제도
- 수입자유화 품목이나 병충해 발생국과 비발생국으로 분류하여 규제 (한국 : 비발생국)
- 지중해 국가(이태리)산은 지중해 광대 파리를 이유로 수입금지
- 남반구 칠레산은 특별 안보계획에 의거 1991. 7월 이후 수입금지
о 검사제도 : 수출국의 검역 증명서 첨부 → 국내 합격증 → 통관
о 원산지 표시 : 관세법, 품질 표시 제도에 의거 원산국 표시
3. 국제경쟁력 및 수출상 문제점
(1) 주 생산국과의 경쟁력 비교
[표 1-10] 국제경쟁력 비교 및 경쟁력 향상도
(농수산통계년보, 1990 ~1994, World Hort, 1994)
구 분 |
1990 |
1994 | ||||
한 국 |
일본 |
뉴질랜드 |
한국 |
일본 |
뉴질랜드 | |
수 량 노력 (시간/10a) 가격* (원 / ㎍) 품 질 당 도 과 중 |
672 230 1,150 14.6 70 |
1,326 202 1,161 14.5 90 |
1,981 - 631 14.5 95 |
634 220 1,107 15.4 80 |
1,081 199 15.6 100 |
1,611 - 579 15.4 110 |
* 농가수취가격 : - 한국 : 농수산물 가격월보(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 일본 : 과수통계 (1994)
- 뉴질랜드 : Internatin of Klwifruit organigation conference(1992, 1995)
※ 수량 : 한국은 재배역사가 짧고 재배면적이 신장추세 813(1990)
→ 1,376 ha(1994년)이무로 미결실 유목이 많아 외국보다 낮음.
(2) 수출상의 문제점
참다래 수출의 문제점은 국내 시판 가격이 수출가격 보다 높아 수출을 기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이 절대 부족하다. 국내산 과실품질은 외국산과 대등하나 단위수량이 낮고 생산비가 높아서 가격 경쟁에서 절대 불리하다. 또한 과실의 저장, 선별, 포장기술체계가 미흡하고, 지역간 과실 등급기준이 달라 품질 차이가 심하며 공동작업 출하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수출 전문업체가 영세하고 수출 시장정보 및 개척이 부진하다.
[표 1-11] 국가별 농가 수취가격 (1992)
국 별 |
한 국 |
일 본 |
뉴질랜드 |
이태리 |
칠 레 |
프랑스 |
가 격 (원/㎍) |
1,200 (100) |
1,122 (93) |
760 (63) |
576 (48) |
360 (30) |
432 (32) |
※ ( ) : 지수
(3) 수출 지향 방안
○ 생산비 절감에 의한 고품질, 안정 생산 재배기술 개발, 보급으로 국제 경쟁력 향상 가능
○ 비가림 시설 지원 수출단지 조성으로 수출가능
- 수량증대 : 835 → 3,000㎍/10a (비가림 시설)
- 생산비 절감 : 1,107 → 580원/㎍ (생력화 추진, 증수효과)
○ 가공 쥬스 수출은 동남아, 일본 유럽 등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점차 수출량 및 대상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가공수출 확대 지원
- 가공 쥬스 수출(1994) : 182M/T (959천캔), 288백만원
- 대상국가 : 일본, 네덜란드
○ 일본의 시장 잠재력 적극 활용
- 이웃 일본은 해마다 뉴질랜드에서 5만M/T 정도 수입(자국생산량과 비슷)
- 주 수입국인 뉴질랜드나 미국보다 수송거리가 짧아 유리함
○ 해외시장 개척 및 홍보 강화
- 고품질 과실로 수출시장 개척
- 해외시장 동향 및 각국 수입제도에 대한 정보 수집, 분석(해외 농무관 및 농산물 유통공사 활용)
자료출처 : 난지과수연구소,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