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포도 재배 및 품종 육종 동향 |
포도는 1998년 현재 세계에서 거의 남한 크기인 약 7백4십만ha에서 5천8백만톤 가량이 생산되어 온대 과수 중에서는 가장 많은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는 중요 과종 중 하나이다. 생산량은 지난 30년 동안 거의 변동 없이 5천5백만에서 5천8백만톤 가량이 유지되고 있으나, 재배면적은 근래 20년간 약 2백만ha가 줄었으며 단위면적당 수량은 약 2백kg/10a 정도가 늘어 최근 농업기술의 발전이 포도의 재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 세계의 포도 재배 동향
(그림 6) 세계의 포도 재배 분포도 (1998 FAO 추정 통계, 단위:ha)
(그림 7) 대륙별 포도 생산량 변천 <표 6> 세계의 주요 포도 품종(Robinson, 1987)
<표 7> 포도 및 생식용 포도 세계 생산 현황
<표 8> 세계 생식용 포도 수입 현황
<표 9> 세계의 생식용 포도 수출 현황
|
프랑스 |
프랑스는 전통적인 포도 재배 선진국으로 천혜의 기후적 조건과 오랜 재배역사로부터 축적된 재배기술로 포도 재배의 메카로 인식되고 있다. 비록 지난 30년간 포도 재배 면적이 5백만ha 정도 감소하였으나 1997년 883천ha의 면적에서 7,162천MT를 생산하여 아직은 재배면적과 생산량에서 각각 세계 3위, 2위인 나라이다. 주요 재배 품종은 Cabernet Sauvignon, Pinot Noir, Syrah, Chardonnay 및 Sauvignon Blanc 등으로 대부분 양조용 품종들이다. 주요 재배 지역은 Bordeaux, Loire Valley, Champagne, Lollaine, Alsace 등지로 북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국토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매년 5천만MT 이상의 포도주를 양조하여 1996년에는 전 세계에 1,294천MT, 4,824백만US$을 수출, 전 세계 포도주 수출량의 23%, 수출금액의 42%를 점유하였다. <표 10> 프랑스의 포도재배 면적
(그림 8) 프랑스의 생식용 포도재배 현황 <표 11> 프랑스 생식용 포도 주요 품종의 특성
<표 12> 프랑스 INRA연구소에서 육성한 생식용 포도 신품종 특성
|
이탈리아 |
이탈리아는 지중해 연안에 있어 평균 기온이 13∼19oC, 연간 강수량이 1000mm내외로 월별 큰 차이가 없고 년간 일조시간이 2,000시간에 가까운 과수재배의 적지이다. 특히 포도는 로마시대부터 조직적으로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현재는 세계 최대의 포도재배국가이다. 1997년 894천ha에서 8,231천MT를 생산하여 재배면적은 세계에서 스페인 다음이며 생산량은 세계 1위의 국가이다. 주요 재배 지대는 Pulia, Sicilia, Veneto, Emilia-Romagna, Lazio 지역이며, 이 외에도 거의 국토 전역에서 포도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배되고 있는 백색 양조용 품종으로는 Albana, Bombino, Chardonnay, Moscati, Pinot, Prosecco, Riesling, Sauvignon, Traminer, Vermentino 등이며, 흑색 양조용 품종으로는 Alicante, Cabernet, Dolcetto, Garlioppo, Merlot, Molinera, Negrare, Pinot Nero, Sangiovese, Syrah 등이다. 매년 6천만MT 내외의 포도주를 양조하고 1996년에는 1,341천MT, 2,130백만US$을 수출하여 전세계 포도주 수출량의 24%, 수출금액의 19%를 점유하고 있다. <표 13> 이탈리아 포도 생산 현황
<표 14> 이탈리아 지역별 생식용 포도 재배현황(1985)
<표 15> 이탈리아의 생식용 포도 품종 재배 면적
<표 16> 이탈리아 주요 재배품종 특성
(그림 9) 이탈리아 생식용 포도 주요재배지역 <표 17> 이탈리아 포도연구소(Listituto sperimantale per la viticoltura) 육성 신품종 특성
|
스페인 |
스페인은 서유럽에서도 전통적인 농업국가로 토지가 넓고 일조량이 많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면적의 포도를 재배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5백만ha의 포도재배면적이 감소하였지만 1997년 1,115천ha의 면적에서 5,496천MT를 생산하여 아직 재배면적에서는 세계 제1위의 국가이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생산량 낮아 1997년 세계평균 804kg/10a에 비해 60% 수준인 492kg/10a 이다. 스페인은 국토 전역에서 포도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재배지는 북부지역의 Rioja, 북동부 지중해 연안의 Penedes, 남서부 대서양연안의 Jerez 지역이다. 주요 재배품종은 Airen, Garnacha Tinta, Mourvedre, Muscat Blanc, Bobal, Palomino Fino, Macabeu, Pedro Ximenes, Tempranillo 등이다. <표 18> 스페인의 포도 재배 동향
<표 19> 스페인의 전통적인 생식용 품종의 특성과 재배양식
|
그리스 |
그리스는 1997년 124,078ha에서 포도를 재배하여 1,213,160MT를 생산하였다. 그 중 16%인 2만ha에서 생식용 포도를 재배하여 307,882MT를 수확하였다. 생산된 생식용 포도의 33%인 102,577MT를 EU 및 동유럽 국가에 수출하였다. <표 20> 그리스 Tessalonico대학에서 육성한 생식용 포도 품종
|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주로 재배되고 있는 생식용 포도 품종은 Muscat of Hamburg, Sultanina, Cardinal, Dattier de Beyrouth, Alphonse Lavallee 등이다. 또한 신품종인 Perlette, Dan-Ben-Hannah, Superior Seedless, Flame Seedless, Nethanel 등도 재배되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육성된 Nava (Dabouki × Alphonse Lavallee), Odem (Toufahi × Zeni), Shani (Dabouki × Cardinal), Sivan (Dabouki × Cardinal) 품종도 지역적응시험중이거나 보급중에 있다. |
유고슬라비아 |
주로 재배되고 있는 생식용 품종은 Pearl of Csaba, Chasselas White, Chasselas Rose, Muscat Hamburg, Afuz-Ali, Alphonse Lavallee, Agaday 등이다. Valandovski Red Drenak, Zimsko White, White Drenak, Adakalka, Cilibarka, Black Drenak 등도 재배되고 있다. <표 21> 유고슬라비아의 최근 육종 품종 특성
|
루마니아 |
루마니아의 주요 생식용 품종은 Perla di Csaba, Cardinal, Chasselas dore, Muscato d'Amburgo, Moscato d'Adda, Alphonse Lavallee, Coarna naagra, Afuz-Ali, Italia 등이다. |
캐나다 |
요즈음 육성된 캐나다의 생식용 품종에는 Festivee (Alden × Seibel 9110)과 Vinered (Brocton op.) 등이 있다. |
러시아 |
최근 러시아에서 육성된 생식용 포도 품종은 Kartouli Saadreo (Madeleine Angevine × Agostin, 조생, 내한성강), Kolkhoubi (Kirovobadsky Stolavi × Moscato d'Alessandria, 중조생, 내한성 강), Muscat Tairovsky (Odessky Ranoy × Moscato d'Amburgo, 극조생, 내한성 약간), Sakartvelo (Kirovobadsky Stolavi × Moscato d'Amburgo), Sarkalkho tetri (Chaani blanc × Moscato d'Alessandria), Tchinebouli (Kirovobadasky Stolovi × Moscato d'Alessandria), Varazia (Kirovobadasky Stolovi × Moscato d'Alessandria), Vostok (Nimrag × Matias Janos) 등이다. |
헝가리 |
헝가리에서 최근 육성된 생식용 품종은 Beaute de Cegled (Chasselas rouge royal × Chasselas croquant), Boglarka (Genuai Zamatos × Pannonia Kincse), Favorit (Chasselas Victorie × Szoloskertek Kinalnynoje), Tresor de la Pannonie (Chasselas Napoleon × Beaute de Cegled) 등이다. |
미국 |
미국은 포도 재배를 시작한 역사가 오래 되지는 않았으나 켈리포니아주와 와싱턴주의 천혜의 환경조건으로 1996년 307,294ha에서 5,529천t을 생산하여 생산량에서는 세계 3위, 재배면적에서는 세계 5위인 국가가 되었다. 지난 20년간 포도 생산량은 거의 2배 가량 증가하였다. 1996년 미국은 칠레 등의 나라로부터 359,826MT의 포도를 수입하였으며, 아시아 각국 등으로 259,495MT를 수출하였다. <표 22> 미국의 포도 생산 현황
<표 23> 1996년 미국의 포도 생산 및 가공현황
<표 24> 켈리포니아의 포도품종형별 생산량과 그의 이용 목적별 사용량
<표 25> 1996년 켈리포니아 건포도용 품종 재배 면적
<표 26>1972년과 1981년의 Califonia 생식용 포도 재배 면적(ha)
<표 27> 1996년 Vitis labursca 품종 Concord와 Niagara의 미국내 주별 가공량
|
칠레 |
칠레는 최근 미국의 거대 농산물 유통업체들이 직영 또는 합작 포도농장을 건설하여 급속히 포도 재배면적이 증가하였다. 1997년 116,300ha에서 1,640,000MT를 수확하였다. 1995년도 생식용 포도 생산량은 850,000MT로 포도 생산량의 60%가 생식용이다. 1996년도에는 513,093MT, 429,390US$ 어치의 생식용 포도를 수출하여 물량면에서는 세계 2위, 금액면에서는 세계 1위인 국가이다. 생산량의 약 80%는 수출을 하고 있으며 수출량중 약 70%는 미국에, 약 20%는 유럽에, 나머지는 중동과 아시아에 수출하며, 최근 유럽과 아시아 나라에 대한 수출량이 급증하고 있다. |
일본 |
일본의 포도 재배면적은 1997년 21,400ha로 지난 20년간 계속 감소하고 있다. 생산량은 250,900MT이며,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1,172kg/10a로 세계 평균 보다는 높으나 포도 재배 선진국의 생식용 포도 단수 보다는 낮으며, 우리나라 보다 낮다. 1996년 칠레, 미국 등으로부터 6,751MT, 17,443US$ 어치를 수입하였다. <표 28> 일본의 포도 재배 동향
(그림 11) 일본의 포도 품종 동향 <표 29> 1997년 일본의 주산지별 포도 품종 생산 동향(MT)
<표 30> 일본의 지난 10년간 포도 신품종 등록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