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5,[85]
4-25,[85]
|
자원 : {會意字} 글자 모양 가운데의 물줄기와 양쪽의 흘러가는 물의 모습을 결합한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충실하게 사용되어 '물', '강' 등의 이름이나 물과 관련된 상태나 동작 등과 관련한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변에 사용되면 부수의 변형{삼수변, 물수발}이 생김.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1자 |
8) 深 (심) 깊다 : 深海, 水深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6자) | |
4-26,[86] |
자원 : {象形字} 불이 세차게 타오르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역시 불과 관련하여 '불의 성질이나 상태, 작용'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발{아래쪽}에 사용되면 변형이 되고 '불화발'이라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3자 |
12) 燃 (연) 타다 : 燃燒, 燃料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3자) | |
4-27,[87] |
자원 : {象形字} 위에서 아래의 물건을 덮어 움켜쥐고 있는 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잡고 있는 손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손가락 끝의 '손톱'의 뜻으로 사용됨. 부수의 의미도 '손으로 잡는다'는 손의 동작으로 주로 활용됨. '爪'가 한자의 머리에 사용되면 모양이 변하는데, 이를 '손톱머리'라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 자 |
8) 爲 (위)하다,만들다 : 爲政者, | |
4-28,[88] |
자원(字源) : {會意字} 한 손[又]과 돌도끼{石斧(석부)}의 결합으로 '일하는 남자'나 '집안의 長'을 의미하는 '아버지{부친}'를 도출해 냄. 혹은 손[又]과 채찍[|]의 결합으로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의 의미를 도출해 낸 것으로도 설명함. 자형(字形)의 성립은 본래 윗부분 왼쪽 삐침 획이 돌 도끼의 형상인데, 후에 대칭을 만들기 위해 오른쪽 획을 더함. 부수의 의미도 '부친'이나 '노파'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발음부호[音符]로도 쓰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29,[89] |
자원 : {指事字} 나무가지를 서로 엇갈리게 놓은 모양으로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점괘의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인데,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수 분류시에 설정되었으며,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됨. | |
기초 한자 - 해당 한자 는 없고, 주로 사용되는 한자로 [爽(상)시원하다, 爾(이)너,뿐] 등이 있음. | ||
4-30,[90] |
자원 : {象形字} 나무를 반으로 쪼갰을 때의 왼쪽 조각 모양을 본뜬 글자로, '침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牀(상)'의 본래자임. 부수의 의미는 '나무조각'으로 활용되지만, '片(편: 조각)' 부수가 더 많이 활용됨으로 인해 소속 글자가 별로 없으며 발음부호[音符]로 다수 사용됨.[예) 壯(장), 狀(장), 將(장) 등] 부수 명칭으로 '장수장'이라 불리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31,[91] |
자원 : {象形字} 나무를 반으로 쪼갰을 때의 오른쪽 조각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무를 쪼개어 만든 물건'의 의미임. 부수의 의미도 주로 '조각'이나 '나무판' 등의 의미로 활용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
4) 版 (판) 널,판목 : 版圖, 板權 | |
4-32,[92] |
자원 : {象形字} 입을 다물었을 때 위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맞물린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어금니'의 의미지만 속한 글자가 별로 없고,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됨.[예) 芽(아), 雅(아)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33,[93] |
자원 : {象形字} 긴 뿔을 가진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는 소의 종류나 사육 등의 의미로 활용됨. 변에 사용되면 변형이 되고 '소우변'으로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
4) 物 (물) 만물, 물건 : 萬物, 鑛物 | |
4-34,[94] |
자원 : {象形字} 꼬리를 위로 감아 올린 개의 모습으로 설명하거나 개가 옆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개'나 '개와 유사한 짐승류' 등의 명칭이나, 짐승들과 관련된 행위나 상태, 수렵 등의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위치가 변으로 사용될 때는 변형이 되는데, 이를 '개사슴록변'이라 불리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3자 |
9) 猶 (유) 오히려,같다 : 猶不足,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