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소한 슬픔인가, 강요된 낭만적 열정인가
불놀이
주요한
아아 날이 저믄다, 서편西便 하늘에, 외로운 강물 우에, 스러져 가는 분홍빗 놀… 아아 해가 저믈면 해가 저믈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ᄯᅩ 오것마는, 오늘은 사월이라 패일 날 큰길을 물밀어 가는 사람 소리는 듯기만 하여도 흥성시러운 거슬 웨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없는고?
아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싯벌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城門 우에서 나려다보니, 물 냄새 모랫냄새, 밤을 ᄶᅢ물고 하늘을 ᄶᅢ무는 횃불이 그래도 무엇이 부족하야 제 몸ᄶᅡ지 물고 ᄯᅳ들 ᄯᅢ, 혼자서 어두운 가슴 품은 절믄 사람은 과거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우에 내여던지나 무정無梢한 물결이 그 그림자를 멈출 리가 잇스랴? - 아아 썩거서 시둘지 안는 꽃도 업것마는, 가신 님 생각에 사라도 죽은 이 마음이야, 에라 모르겟다, 저 불길로 이 가슴 태와 버릴가, 이 서름 살라 버릴가, 어제도 아픈 발 끌면서 무덤에 가 보앗더니 겨울에는 말랏던 꽃이 어느덧 피엇더라마는 사랑의 봄은 ᄯᅩ다시 안 도라오는가, 찰하리 속 시언이 오늘 밤 이 물속에… 그러면 행여나 불상히 녀겨 줄 이나 이슬가… 할 적에 퉁, 탕, 불씌를 날니면서 튀여 나는 매화포, 펄덕 정신을 차리니 우구구 ᄯᅥ드는 구경군의 소리가 저를 비웃는 듯, ᄭᅮ짓는 듯 아아 좀 더 강렬한 열정熱情에 살고 십다, 저긔 저 횃불처럼 엉긔는 연기煙氣, 숨 맥히는 불꽃의 고통 속에서라도 더욱 ᄯᅳ거운 삶 살고 십다고 뜻밧게 가슴 두근거리는 거슨 나의 마음….
사월 달 다스한 바람이 강을 넘으면, 청류벽ᅵᅵ淸流碧, 모란봉 노픈 언덕 우에 허어혀케 흐늑이는 사람 떼, 바람이 와서 불 적마다 불비체 물든 물결이 미친 우슴을 우스니, 겁 만흔 물고기는 모래 미테 드러백이고, 물결치는 뱃슭에는 조름오는 '니즘'의 형산形像이 오락가락 - 얼린거리는 그림자 닐어나는 우슴소리, 달아 논 등불 미테서 목청껏 길게 빼는 어린 기생의 노래, 뜻밧게 정욕情慾을 잇고는 불구경도 인제는 겹고, 한 잔 한잔 ᄯᅩ 한 잔 끝업는 술도 인제는 실혀, 즈저분한 뱃미챵에 맥업시 누으면 ᄭᅡ닭 모르는 눈물은 눈을 데우며, 간단업슨 쟝고 소리에 겨운 남자들은 ᄯᅢ때로 불니는 욕심에 못 견듸어 번득이는 눈으로 뱃가에 ᄯᅱ어나가면, 뒤에 남은 죽어 가는 촉불은 우그러진 치마 깃 우에 조을 ᄯᅢ, 뜻잇는 드시 ᄶᅵ걱거리는 배 젓개 소리는 더욱 가슴을 누른다….
아아 강물이 웃는다, 웃는다, 괴怪샹한, 우슴이다, 차듸찬 강물이 껌껌한 하늘을 보고 웃는 우슴이다, 아아 배가 올나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젹마다 슬프게 슬프게 ᄲᅵ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능라도綾羅島까지, 물살 ᄲᅡ른 대동강大同江을 저어 오르라. 거긔 너의 애인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으로 곳추 너의 뱃머리를 돌니라 물결 ᄭᅳ테서 니러나는 추운 바람도 무어시리오 괴이怪異한 우슴소리도 무어시리요, 사랑 일흔 청년의 어두운 가슴속도 너의게야 무어시리오, 그림자 업시는 ‘발금’도 이슬 수 업는 거슬-. 오오 다만 네 확실한 오늘을 노치지 말라.
오오 사로라, 사로라! 오늘 밤! 너의 발간 횃불을, 발간 입셜을, 눈동자를, ᄯᅩ한 너의 발간 눈물을...
출처 《주요한 시선》(2014) 첫 발표 《창조》(1919.2)
주요한 朱耀翰 (1900~1979)
평양 출생. 일본 유학생 기관지 《학우》 창간호(1919)에 <눈>, <이야기> 등을, 문예동인지 《창조》 창간호(1919)에 <불놀이>, <새벽꿈> 등을 발표하여 한국 근현대시사에 선구자적 업적을 남겼다. 《아름다운 새벽》(1924), 《삼인시가집》(1929), 시조집 《봉사꽃》(1930) 등을 발간하였으며, 1945년 해방 후에는 언론인, 기업인,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불놀이>의 의미
주요한의 <불놀이>는 한국 시가문학이 근대적 자유시로 전환하던 시기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한 청년의 뜨거운 낭만적 열정을 산문시 형식 속에 자유분방하게 형상화한 이 작품은, 당시 한국 근대시의 수준을 한 차원 높였다고 평가된다. 그렇기에 한국 근현대시 교육에서 <불놀이>를 제외하는 일은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불놀이>에 표출된 낭만적 열정과 근대적 자유시 지향 의지를 적절히 이해하고 평가하는 일은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다. 이는 그의 문학적 활동에 내포된 다양한 변곡점 때문이다. 주요한은 <불놀이>와 같은 근대적 자유시를 지향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했지만, 1920년대 중반부터는 민요조 서정시와 시조부흥운동으로 선회한다. 또한 1919년 상해임시정부로 망명한 후 1930년대 초반까지는 항일 저항적 태도를 보여 주면서 <채석장>(1929)과 같은 의미 있는 저항시를 발표한다. 그러다가 1938년 즈음에는 친일로 전향하여 친일적 문필활동을 펼친다(김은철, 2008: 31-34; 김경숙, 2011: 231-238; 김문주 편, 2014: 163-179).
이러한 이유로 <불놀이>는 작가의 삶과 작품을 연관 지어 이해할 것인가, 작품 자체만을 이해할 것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상기시킨다. 작품 단위로 볼 때 <불놀이>에 드러나는 뜨거운 낭만적 열정은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낭만적 열정이 작가의 삶을 통해 일관되게 추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그 열정을 높게 평가하기 어렵다. 이는 주요한이라는 시인과 <불놀이>라는 작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불놀이> 이후에도, 일제의 억압을 견디지 못하여 변절한 시인들의 작품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8.15 광복 직후 발표된 신석정의 <꽃덤불>에 표현되어 있듯이, 일제강점기에 ‘몸을 팔아버린 벗, 맘을 팔아버린 벗’들이 창작한 한국 근현대시들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역사적 사실, 그리고 그 작품들 첫머리에 <불놀이>가 놓일 수 있다는 사실! 이러한 까닭에 <불놀이>는 일제강점기 한국 근현대시 교육의 어려움을 실감하게 하는 대표적인 작품에 해당한다. 달리 말해 <불놀이>는 ‘이 작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와 같은 문제만큼이나 ‘이 작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와 같은 문제가 시교육에 중요한 과제란 점을 상기시켜 주는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불놀이> 읽기의 틀
〈불놀이〉는 “아아 좀 더 강렬한 열정에 살고 십다, 저기 저 횃불처럼”과 같은 표현으로 독자들에게 열정적인 삶에 대한 지향을 환기한다. 강렬한 열정이 없는 삶은 뭔가 낡고, 어둡고, 실패한 삶 같지 않은가? 삶이라면 강렬한 열정을 바탕으로 숭고한 목표를 추구하는 삶이어야 하지 않는가? <불놀이>는 이처럼 삶의 당위적 형상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강렬한 인상을 준다. 이 시를 학습자가 적절하고 생동감 있게 감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첫째, 백여 년 전의 작품이기에 느껴지는 시어의 낯섦을 해소해야 한다. 둘째, 낭만적 열정의 형상화 방식에서 드러나는 작품 내적 우연성과 이것의 보완 장치가 지니는 의미를 동시에 살펴 작품 전체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먼저, <불놀이>에 등장하는 '매화', '뱃숲' 등 그 의미가 복합적이거나 낯선 시어들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시어가 '니즘'이다. 그동안 '니즘'에 대해 ‘리듬’, ‘잊음[忘却]’, 혹은 ‘이즘(-ism)’으로 해석하는 관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예를 들어 주요한의 여러 작품에서 발견되는 표기상의 패턴과 국어학적 근거를 참고하며 ‘니즘’을 ‘잊음’의 평안도 방언 발음의 연철 표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리는 경우(오하근, 1999: 462-463)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도들이 문제를 종결시켰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예컨대 ‘니즘’을 ‘잊음’이라고 본다면 3연의 해당 부분은 ‘졸음 오는 잊음의 형상이 오락가락’으로 읽히지만, 이것이 맥락상 문장의 의미를 명료하게 해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니즘’의 정답을 찾기보다는 ‘졸음 오는 ~의 형상이 오락가락’이라는 틀 속에 ‘리듬, 잊음, 이즘’ 등의 후보군을 넣어 해석해 보면서, 각 시어에 따라 어떠한 해석이 가능해지는지를 탐구해 보는 활동, 각 해석들을 비교분석하면서 해석의 타당성을 논증하는 활동 등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처럼 복합적이며 낯선 의미를 지닌 시어에 대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장려할 때 <불놀이> 읽기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불놀이〉가 열정적인 삶에 대한 지향을 형상화하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작품 내적으로 우연성을 노출하는 동시에 그 우연성을 보완하기 위한 장치로 ‘평양’이라는 지리적·문화적 공간의 역사적·문화적 요소들을 동원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불놀이>에는 우울과 감상에 젖은 ‘나’의 내면 고백과 아울러 ‘나’를 둘러싼 시공간, 즉 ‘평양’이라는 지리적·문화적 공간에 대한 묘사가 시상 전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묘사를 통한 시공간적 변화와 ‘나’의 내면 고백은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작품의 구조를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작품 내적 우연성과 그것의 보완장치로서의 작품 외적 요소를 종합하여 이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불놀이>의 구조를 분석해 보자. 다음 표에 제시한 바처럼, ‘나’는 평양 성문 위에서 해가 저물고 있는 대동강을 바라보고 있다. 날이 저무는 풍경 속에서 ‘나’는 우울감에 젖다가 급기야는 횃불로 자신을 불태우는 게 낫겠다는 자살 충동에 빠진다. 하지만 매화포 소리에 번뜩 정신을 차리면서 그러한 선택이 남들의 비웃음거리에 불과할 것이라는 자각에 이른다. 급작스레 ‘나’는 “숨 맥히는 불꽃의 고통 속에서라도 더욱 뜨가운 삶을 살고 십다”는 생
〈불놀이〉의 구조 분석
구분 | 시간 | 관찰 지점 | 관찰 대상 | 시선의 방향 | '나'의 내면의 흐름 |
1연 | 사월 초파일 해 질 녘 ↓ 밤 | 성문 위 | 노을, 사람들 | 위(나) ↓ 아래(사람들, 대동강 아래쪽) | 외로움, 눈물 |
2연 | 강물, 횃불(사람들) 매화포 | 설움, 자살 충동 → 비웃는 소리 자각 → 강렬항 열정 추구 지겨움의 인식(변화 갈망) | |||
3연 | 높은 언덕(청류벽, 모란봉), 소리들(바람, 웃음, 장고) | 위(청류벽, 모란봉 높은 언덕) ↑ 아래(나) | 비웃음의 재인식 | ||
4연 | 차디찬 강물 | 위(대동강 위쪽, 애인이 기다리는 언덕) ↑ 아래(나) | 밝음, 오늘, 행동에의 명령 | ||
5연 | 능라도(애인이 기다리는 언덕), 올라가는 배 |
에의 의지를 추구한다. 이러한 돌연한 태도의 변화로 인해 눈앞의 낯익은 풍경들이 이제는 지겨움과 싫증의 대상으로 치부된다. 이와 동시에 ‘나’의 정서를 좌우하는 결정적 감각기관이 ‘눈[眼]’에서 ‘귀[耳]’로 변화한다. ‘나’는 이제 보이는 것(노을, 사람들 등)에 의한 감상적 정서의 지배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는 비웃음 소리(구경꾼들의 비웃음 소리 → 강물의 비웃음 소리)를 자각함으로써 새로운 삶을 명령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사소하기 짝이 없는 감상에 빠진 자신의 모습이 남들에게 비웃음거리에 불과하다는 것, “오오 사로라, 사로라!”라는 대자연의 명령 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자각에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작품 내적으로 볼 때 2연의 ‘매화’ 소리만으로 촉발된 것 같아 매우 돌발적이고 우연적으로 느껴지며, 개연성이 떨어져 보인다. 매화포 소리 한 방에 퍼뜩 정신을 차릴 정도라면 ‘나’가 빠져 있던 우울과 감상의 깊이가 얕은 것에 불과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의 우연성에 일종의 개연성을 부가하기 위해 도입된 요소가 있음에 주목하자. ‘평양’, ‘사월 초파일’, ‘대동강 축제’라는 역사적·문화적 요소들이 그것이다(신범순, 2002: 전영주, 2015). 이 서도(西道) 로컬리티는 <불놀이>에서 압도적인 외면 풍경을 지배한다. 묘사되는 것은 단순히 대동강 주변의 물리적인 풍경이 아니라, 역사적·문화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대동강 축제의 풍경이다. 1연에서부터 ‘사월 초파일’, ‘큰길을 물어 가는 사람’이 등장하고, 이어 횃불 가득 들고 대동강을 가로지르며 배를 젓는 모습, 매화포를 터트리며 흥청거리는 모습이 묘사된다. 이 성대한 축제는 육당 최남선에 의하면 단지 불교적 연등 행사가 아니라 우리 고유의 천신(天神)과 산천신(山天神)들을 모시는 제의로서 광명·숭배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축제이다(신범순, 2002: 209). 광명·숭배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평양 지역의 대규모 군중 행사인 ‘불놀이’ 앞에서 ‘나’는 빛을 향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아아 좀 더 강렬한 열정에 살고 십다”는 목소리는 대규모 군중에 압도된 ‘나’에게서 순간적으로 터져 나온 소리가 아닌지를 의심해 볼 법하다.
여기서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은 5연에서 표출되는 강렬한 밝음에의 명령이 ‘나’로부터 ‘나’에게 진정으로 내려지는 명령인가, 다시 말해 강렬한 삶에의 의지가 영속적인 ‘나’의 것인가 하는 점이다. 2연에서 ‘나’는 ‘매화포’ 소리 한 번에 구경꾼의 비웃음 소리를 자각하고 ‘강렬한 열정’과 ‘뜨거운 삶’을 바라게 되지만, 이러한 ‘나의 마음…’은 어딘가 불안정하다. ‘나’는 강렬한 삶에 대한 의지를 보이면서도 여전히 3연과 4연에서는 풍경에 지겨워하기도 하고, 슬픈 배 젓개 소리에 억눌리기도 하고, 강물의 괴상한 웃음소리를 의식하기도 하는 등 오락가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5연에서 “그림자 업시는 ‘발금’도 이슬 수 업는 거슬ㅡ.” 이라는 깨달음을 내세우면서, 돌연 ‘사로라’, “네 확실한 오늘을 노치지 말라”와 같은 자기 명령적 태도를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돌연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낳은, 강렬한 삶을 향한 ‘나의 마음’이 무언가에 의해 강요된 것일 수 있다는 의심을 품게 한다. “그림자 업시는 ‘발금’도 이슬 수 업는 거슬”이라는 인식이 광명숭배 사상에 근거한 집단적 축제의 영향 때문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인적 인식과 발견이 아니라, 집단적 축제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 ‘나의 마음’이라는 점 때문에, 그 영속성을 확신할 수 없으며, 또 다른 매화포 소리에 변질될 수도 있을 것 같은 불안정한 열정으로 읽히는 것이다.
요컨대 매화포 소리와 구경꾼들의 비웃음을 듣게 되면서 변화한 ‘나의 마음’을 형상화하고 있는 <불놀이>는 군중과 동떨어져 혼자 있는 ‘나’의 슬픔을 더욱 절실한 것으로 읽히게 하는가, 아니면 ‘나’의 의지의 영속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하는가? 이러한 질문을 설정할 때, 근현대시이지만 이미 백여 년의 시간적 상거(相距)가 있는 <불놀이>를 생생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 남민우
-----------------------------------
참고문헌
김경숙(2011), 「친일과 전향의 내적 논리 1: 주요한의 경우」, 『우리문학연구』 32, 우리문학회, 223-265.
김문주 편(2014), 《주요한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김은철(2008), 「주요한의 삶과 시의 대응양식」, 『한국문예비평연구』 25,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9-57.
신범순(2002), 「주요한의 <불노리>와 축제 속의 우울 (1)」, 『시작』 1(3), 천년의시작, 206-220.
오하근(1999), 「시 작품의 해석의 오류: 주요한의 <불노리>의 경우」, 『국어문학』 34, 국어문학회, 459-479.
전영주(2015), 「주요한의 시와 서도(西道) 로컬리티」, 『우리어문연구』 52, 우리어문학회, 199-227.
사회평론 교육 총서 19 『문학 교육을 위한 현대시작품론』
2024. 3. 31.
맹태영 옮겨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