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m, bpi, f/s…. 컴퓨터 속에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단위들이다. cm(센티미터)와 kg(킬로그램) 정도만 알고 생활해온 초보자들은 이처럼 낯선 컴퓨터 단위에서부터 기가 죽는다. 당연히 광고 카탈로그를 보거나, 잡지나 신문의 컴퓨터 관련 기사들을 보아도 온전히 이해될리가 없다. 이 컴퓨터 단위 사전을 통해 알쏭달쏭한 컴퓨터 단위들을 꽉 잡아보자.
A (Ampere : 암페어) 의미 : 1초 동안에 1C(쿨롱)의 전하량이 흐르는 것을 뜻한다, 국제 단위계의 기본 단위로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다. 기호는 "A(암페어)"로 나타낸다 용도 : 전원공급장치, 냉각팬 등에서 전류 사용량을 나타낼 때 사용 Ampere -> current, ampere-hour capacity, ampere-hour efficiency,
진공상태에서 1m 간격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무한히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길이가 무한한 긴 두 직선의 도체(면적, 두께는 무시한 상징적인 직선)에 전류를 흘렸을 때, 이들 도체의 길이 1m마다 2×10^-7 뉴턴(N)의 힘(1쿨롬)을 가지는(발생시킬 수 있는) 일정한 전류를 1A라 한다. 또한 1A의 1,000분의 1을 1mA(밀리암페어)라 하며, PC에서는 A보다 많이 사용된다. 암페어의 수치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PC 기기로는 전원공급장치와 기기의 냉각을 책임지는 냉각팬 등이 있다.
[ current : 전류 ] ~ 도체를 통해 전자가 흐르는 것 또는 그 양. 측정 단위는 암페어(ampere)이고 이는 1초 동안에 전자 6.25 x 10^18개가 흐르는 양이다. [ ampere-hour capacity : 암페어-시간 용량 ] ~ 건전지에서, 지정하는 온도,방전율,최종전압 상태에서 전기가 발생시킬 수 있는 암페어와 시간의 곱셈으로 계산되는 수치. 높을수록 용량이 크므로 유리하다. [ ampere-hour efficiency : 암페어-시간 효율 ] ~ 축전지에서, 충전 때 소요되는 암페어-시간 대 방전할 때의 암페어-시간의 비로 표현되는 전기 화학적 효율. 이 효율이 높게 하려면 충전은 짧은 시간에, 방전은 긴 시간동안 이루어지면 된다. 휴대용 컴퓨터를 위해서는 높은 값이 필요하다.
Bit (Binary Digit) 의미 : 2진수에서 표현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 용도 : 데이터 용량을 표시(1 bit=1/8 byte , 1 byte = 8 bit 입니다.) Bit -> quarter, nibble, byte, word
Bit(비트)는 2진수에서 처리되는 자료의 최소 단위로, 컴퓨터에서 나타내는 최소 단위인 0과 1의 두 가지 숫자로만 표현된다. 컴퓨터는 이러한 비트를 여러 개 모아서 특정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n비트의 데이터로는 2^n만큼의 서로 다른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비트는 기호로는 "b"로 표시한다.
우리들이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북미 반도체 메모리 현물가격이 PC133 128Mb가 개당 3.2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라는 뉴스를 접하죠!.. 그런데 현재 용산에서 팔리고 있는 메모리 램과 왜 차이가 나죠?..하는 질문을 합니다, 여기에는 이런 단위에 대한 이해가 좀 부족한 관계이죠. 즉, 이 때 말하는 북미 반도체 메모리 현물가격의 128Mb 용량의 단위는 bit 입니다. 즉 128 Mb 라는 것은 128 Mbit 라는 얘기지요. 이에 반해 우리가 쓰는 메모리 램 모듈은 byte 단위입니다, 즉 128MB 는 128Byte 라는 말이죠,
다시 설명하면 128MB 는 128Byte 이고, 128 Mb 라는 것은 128 Mbit 라는 표현이 정확하지만 보통 이 2용어의 혼동을 소문자와 대문자의 사용에서 오류를 흔히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들의 컴에 주로사용하는 메모리 128MB 램은 128Byte 이기에 128 Mbit 칩 8 개가 모여야 128MB(128Byte) 램이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1 byte = 8 bit 입니다. 다시 쉽게 이야기하면 현물시장의 128Mb(128 Mbit) 는 16MB(128Mb = 16MB / 128Mbit = 16MByte ) 라는 의미 입니다.
[ quarter : 쿼터 ] ~ 두 개 비트를 나타내는 단위. 원래 1/4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1/4바이트(quarter of a byte)라 부른다. [ nibble : 니블 ] ~ 한 바이트의 절반, 즉 4비트. nybble이라고도 한다 [ byte : 바이트 ] ~ 보통 컴퓨터가 처리하는 정보의 기본단위로서, 8개의 비트가 묶어진 것. 1바이트가 나타낼 수 있는 최대의 정수는 8개 비트가 모두 1로 되었을 때 255이다. 1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는 0에서 255까지의 256개이며, 보통 영문자 한글자에 대응된다. [ octet : 팔중수 ] ~ 1) 이진수 8개의 조합. 즉 8비트로 구성된 바이트(byte)와 같은 단위이다. 2) 패킷교환망에서는, 8비트 크기로 분할한 것. [ word : 워드, 단어 ] ~ 1) 컴퓨터에서 연산의 기본단위가 되는 정보의 양. 이는 보통 일정한 수의 비트로 이루어지며 컴퓨터의 모든 명령은 기본적으로 이 워드를 단위로 하여 수행된다. 보통 워드의 길이는 컴퓨터 CPU 내의 범용 레지스터의 길이와 같으며 컴퓨터에 따라 다르다. 즉 16비트 컴퓨터, 32비트 컴퓨터라는 것은 바로 그 컴퓨터의 워드의 길이를 가리키는 것이다. 대개 워드는 몇 개의 바이트가 모여서 이루어지므로 8의 배수인 경우가 많으나 꼭 그럴 필요는 없다. 2) 16비트, 즉 2바이트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양.
BPI (Bits Per Inch) 의미 : 단위 인치당 기록되는 비트수 용도 : 자기 테이프 등 저장 매체의 기록 밀도를 나타낸다 BPI -> bit density, BPSI, FCI, flux density, TPI
인치당 비트수를 뜻하며, 자기 기록 매체 또는 광기록 매체의 기록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자기 테이프의 1트랙의 1인치에 기록할 수 있는 비트의 수로 일반적인 자기 테이프는 800bpi에서 6,250bpi 정도의 저장 밀도를 가진다. 그러나 95년 최고의 우수한 자기디스크는 100,000bpi, 광기록매체는 50,000bpi이다. HDD에서는 가장 안쪽의 트랙이 갖는 값을 말한다.
[ bit density : 비트 밀도 ] ~ 보조기억장치의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의 수.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에서는 1인치당 저장할 수 있는 비트의 수 즉, bpi(bits per inch)로 비트 밀도를 나타낸다. 이는 보조기억장치의 용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 BPSI ] ~ bit per square inch(제곱 인치당 비트수)를 말한다. 보조기억장치의 기록 밀도(areal density)를 나타내는 단위. 1인치 정사각형면적에 기록될 수 있는 비트수를 말한다. [ FCI ] ~ Flux Changes per Inch(인치당 자속 변화)의 약어로, 자기 기록 매체에서 자화방향의 변화로 정보를 기록할 때 1인치당 위상의 변화수. 대개 1비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번의 위상변화가 필요하므로 2FCI = 1BPI가 된다. [ flux density : 자속밀도 ] ~ 주어진 자기 기록 매체 표면의 단위 면적당 기록할 수 있는 자계(magnetic field) 패턴의 개수. 데이터 저장 밀도의 측정에 이용되고 그 측정단위는 FCI(flux changes per inch;인치당 자속 변화)이다. 96년 출하되는 하드 디스크에서 전형적인 값은 1만 정도이다. [ TPI ] ~ track per inch(인치당 트랙수)의 준말. 자기기록매체 및 광기록매체에서 저장밀도를 표시하는 한 척도. "기록밀도=인치당 비트수(선기록밀도) 인치당 트랙수(폭기록밀도)"로 표시된다. 현재 선기록밀도는 자기기록매체(~1.7 m)와 광기록매체(~1 m)가 서로 비슷한 수준이지만 폭기록밀도에서 자기기록매체가 트랙폭 ~12.7 m로 2000TPI와 광기록매체 ~1.6 m, 15000TPI로 큰 차이가 나므로 광기록매체의 기록밀도가 훨씬 높다.
BPS (Bits Per Second:초당 비트) 의미 :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 용도 : 모뎀 등 데이터 통신 기기의 전송 성능을 나타낼 때 사용 BPS -> baud rate, modulation rate, wpm
이는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 또는 디스크나 테이프 등의 보조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의 단위로 데이터 통신 장치에서 1초간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모뎀이나 랜카드 등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주된 요소로 사용된다. 모뎀의 예를 들어 56,000bps를 지원하는 모뎀은 1초에 56,000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하지만 실제 통신상에서는 회선상의 문제 등으로 이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다. 통신상에서는 파일 다운로드시 대개 통신 에뮬레이터 등에서 bps 수치를 나타내므로 현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1천비트/초= kbps, 1백만단위의 Mbps, 10억단위의 Gbps, 1조단위의 Tbps 등이 있다.
한통ADSL에서 최고 8MB , 평균 5 ~ 3 MB는 나온다고 하죠? 여기서 8MB는 8Mbps를 나타냅니다. 즉 8,000,000bps이지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것은 보통 잘 모르시는 분은 8MB니까 1초에 8M바이트를 받는 다고 생각 하시는데, 절대 아닙니다. 이것은 bps (bit per second) 즉 초당 받는 비트수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상, 즉 익스플로러에서 다운받을때 나오는 다운로드창(왜 서류날라오는거...)에서의 속도는 KB/초라고 나요죠? 이건 초당 비트수가 아닌 바이트 수 인것입니다. 8bit=1byte이죠. 그러니까 그 속도에서 8을 곱하면 속도가 나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300KB/초라면 300K*8=2400kbps=2.4Mbps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1M=1024K이지만 뒤에꺼는 떼고 보통 계산하죠. 편의상...
참고로 하나더. B/초=CPS(통신에서 받는속도는 거의 이 단위를 쓰죠)라 보면 됩니다.
무조건 비트 단위를 바이트 단위를 고칠때 8을 곱하는 것은 맞는데요. 여기서 참고할 것이 에러 비트 체크가 1비트 추가 된다는것임다. 그럼 이렇게 되겠죠 3Mbps==> 3M/9 대략 333.333KB/초 가 되겠네요...
[ modulation rate : 변조 속도 ] ~ 정보가 단위 시간에 전달되는 양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서, 1초에 변조할 수 있는 최대 변조 횟수이다. 단위는 보오(baud)이다. 이 변조 속도는 1초에 전달할 수 있는 비트수로 표현되는 데이터 신호 속도(주로 bps 단위)와는 다른 척도이다. 예를 들면, 4위상 변조 방식으로는 한 상태에서 2비트 분량의 전송이 가능하므로 변조속도가 1200보오이면 데이터 신호속도는 2400bps가 된다. [ wpm : Words Per Minute(분당 단어수) ] ~ 주로 데이터 통신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 BPSI : bit per square inch(제곱 인치당 비트수) ] ~ 보조기억장치의 기록 밀도(areal density)를 나타내는 단위. 1인치 정사각형면적에 기록될 수 있는 비트수를 말한다.
Byte 의미 : 8개의 비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는 데이터 크기의 단위 용도 :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용량을 표시할 때 사용, 1 byte = 8 bit 입니다. Byte -> Bpi
컴퓨터가 처리하는 정보의 기본 단위로, 8개의 비트가 묶어진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00010111b 등과 같이 8개의 2진수로 구성된 데이터가 하나의 바이트(Byte)가 되며, 기호로는 "B"로 표시된다. 이처럼 8개의 비트 묶음을 하나의 단위로 사용하는 이유는 1개의 영문자 코드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기 때문이며, 바이트가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정수는 8개 비트가 모두 1로 되었을 때 255이다. 따라서 1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의 수는 0부터 255까지인 256개이다.
바이트는 비트보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하드디스크 등 저장 매체의 용량 단위로 사용된다. 이를테면 PC에서는 1,000,000바이트를 뜻하는 "MB"라는 단위가 많이 사용되며, MB/s는 1초당 몇 MB를 전송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로 자주 등장한다.
CPI (Character Per Inch:인치당 바이트) 의미 : 단위 인치당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
용도 : 자기 테이프, 프린터나 모니터 등의 문자 능력을 나타낼 때 사용
1) 자기 테이프의 기록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테이프 1인치에 저장할 수 있는 바이트(문자)의 수 2) 프린터 또는 모니터 같은 출력기기에서 문자를 출력 인쇄할 때 가로 1인치당 표시할 수 있는 최대 문자 수를 나타내느냐 하는 것. 이는 곧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1인치당 10문자로 이를 인쇄 용어로는 파이커(pica)라고도 한다. 다른 것으로는 인치당 12문자인 엘리트(elite) 또는 인치당 17문자(축소 모드)가 있다.(= CPI ) 3) 예를 들어 인쇄용지 1인치에 15개의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면, 해당 프린터는 15cpi의 인쇄 능력을 갖는다고 표현한다.
CPS (Character Per Second : 초당 문자수) 의미 : 1초당 나타낼 수 있는 문자 수 용도 : 프린터 등 출력기기의 출력 속도와 통신시 데이터 전송 속도 표시에 사용
일반적으로 프린터에서 1초에 찍을 수 있는 문자의 수. 속도가 느린 프린터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위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통신 에뮬레이터에서 다운로드 받을 때 데이터 전송 속도의 단위로 쓰이고 있다. 하나의 문자를 뜻하는 1캐릭터(Character)는 1바이트를 뜻한다.
dB (Decibel : 데시벨) 의미 :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용도 : 사운드 카드 등 소리를 사용하는 기기의 사양이나 주변기기의 소음 정도를 표시 dB -> attenuation, gain. absorption,
전기 에너지의 양 등을 나타내는 단위로, 이는 어떠한 기준을 정하고 신호의 크기를 그 기준과의 비율을 밑이 10인 로그로 나타낸 신호 크기의 단위. 당연히 10데시벨은 벨(bel)이다. 전력의 이득이나 감쇠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의 비를 상용 로그 10배로 나타내며,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소리의 음압과 표준 음압비를 상용 로그 20배로 나타낸다. PC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리의 크기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며, 하드디스크와 같이 동작 중 소리를 발생시키는 기기의 소음 정도를 나타낸다.
[attenuation : 감쇠] ~ 1) 데이터 전송에서, 이득의 반대말로 떨어진 두 지점 사이에 신호를 전송할 때 신호의 전압,전류,전력이 감소하는 것. 그 결과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신호의 진폭의 차이로 나타나며 보통 데시벨(dB)이나 네퍼(neper)로 나타낸다. 2) 광섬유 전송에서, 평균 광학 파워가 전송 중에 흡수,산란,방사 등으로 인해 감소되는 것. 단위는 일반적으로 데시벨(dB)로 나타내지만, 때때로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인 dB/km로 나타낸다. [gain : 이득] ~ 증폭기, 수신기, 안테나 등의 회로에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강도의 비율. 주로 데시벨(dB) 단위로 나타낸다. 손실(loss) 또는 감쇠(attenuation)와 반대이다. [absorption : 흡수] ~ 광통신에서, 광원이 광섬유 속의 불순물 등에 의해 열로 변환되어 손실이 발생되는 현상
DPI (Dot Per Inch : 인치당 도트) 의미 : 단위 인치당 기록할 수 있는 점의 개수
용도 : 프린터, 스캐너의 인쇄·분해 능력을 나타내는 데 사용
프린터 또는 스캐너에서 해상도를 표시하는 단위로서, 1인치당 분해 가능한 점의 개수를 말한다. 1인치 면적당 기록(분해)할 수 있는 점의 수가 많을수록 더 세밀한 표현이 가능해 최종 출력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프린터의 경우 DPI 수치는 기기의 성능을 대변하는 주요소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컬러 매칭 기술 등의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단순하게 몇 개의 점을 찍을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DPI의 의미는 퇴색되었다. 따라서 프린터 구입시에는 DPI 수치보다는 각 프린터가 채용한 이미지 매칭 기술과 헤드 방식 등을 비교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FPS (Frame Per Second : 초당 프레임수) 의미 : 1초당 몇 프레임을 갱신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 용도 :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 비디오 CD 또는 DVD 재생 성능을 표시한다 FPS -> compression
완전한 한 영상을 일 초에 몇 번 보여줄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속도의 단위로, 일반적으로 3D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며, 높은 수치를 기록할수록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3D 그래픽 카드의 성능은 3D 게임을 직접 구동하면서 단위 시간당 몇 번의 화면을 갱신할 수 있는가로 평가하며, 주로 사용되는 게임으로는 "퀘이크 2", "인커밍", "포세이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게임은 해당 그래픽 카드의 필 레이트(Fill Rate)와 트라이앵글 생성 속도 등에 따라 초당 게임 화면을 갱신하는 능력이 결정되며, 이는 3D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대변한다. 최근의 3D 그래픽 카드는 퀘이크 2 구동시 50f/s 이상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30f/s의 성능을 가지고 있더라도 게임을 즐기기에는 충분하다(타임데모(Timedemo) 1을 사용해서 측정).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눈에 거슬리지 않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15~20 fps의 속도가 필요하다.
[ compression : 압축 ] ~ 원래의 신호를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하여 그 크기를 줄이는 행위. 영상에서 압축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압축하지 않는 1000 1000화소의 모니터에서 24비트 컬러 영상은 3메가바이트나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압축을 하여야만 사용할 있는 데이터가 된다. 영상 및 음성 등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압축의 방법은 데이터의 중복성(redundancy)과 사람 인지능력의 비선형성에 근본을 두고 있다. 원래의 데이터로 정확히 복원할 수 없지만 보기에 지장이 없는 움직임이 없는 이미지 압축(image compression)은 10~50배까지 압축을 할 수 있고 움직임이 있는 비디오 압축(video compression)은 50~200배로 압축할 수 있다. 의학용 X선 사진과 같은 정밀하고 정확한 판단이 요구되는 이미지의 전송을 위한 손실 없는 압축은 3배까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압축 원리를 살펴보면 사람의 시각은 색상보다는 밝기에 더욱 민감하므로 색상신호보다는 밝기신호의 데이터를 더 많이 취한다.(밝기는 720 480으로, 색상은 360 240으로) 또 밝기 신호의 분해능을 더 크게 가져간다.(밝기 신호는 24비트로, 색상신호는 16비트로) 그리고 사람의 모든 감각기관은 낮은 신호 상태에서 변동에 민감하고 신호가 강한 상태에서는 그 변화에 대해서는 둔하다. 그러므로 강한 신호는 적은 비트로, 약한 신호는 많은 비트로 데이터를 분해한다. 일반적으로 20:1 정도의 압축을 하여도 거의 구분할 수 없고 100:1 압축한 데이터를 복원하면 일반 아날로그 비디오테이프를 보는 정도이다. 영상 자료가 아닌 일반 수치, 문자 자료에 대한 압축은 주로 렘펠집(Lempel-Ziv) 방식이 사용된다.
FLOPS (플롭스 : 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 의미 : 초당 부동소수점 연산수 용도 : 병렬 처리 컴퓨터나 슈퍼컴퓨터의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표현할 때 사용 FLOPS -> Linpack, Dhrystone, Whetstone
밉스(MIPS)는 주로 정수연산속도의 단위임에 반해 대부분의 과학기술연산이 실수임을 고려한, 컴퓨터가 1초에 수행할 수 있는 부동 소수점 연산의 횟수. 여러 가지 연산 중에서도 특히 부동소수점 수의 곱셈 한번과 덧셈 한번을 가리킨다. 이는 컴퓨터 연산 속도의 척도로 사용되는데, 주로 초당 1백만 번의 부동 소수점 연산에 해당하는 메가플롭스(Mflops)로 측정한다, 부동소수점 연산을 초당 100만 번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플롭스는 부동소수점 연산이 많이 필요한 과학 기술 계산용의 병렬 처리 컴퓨터나 슈퍼컴퓨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된다(주로 린팩(Linpack)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계산한다.)
[ Linpack : 린팩 ] - linear programming package(선형 프로그래밍 패키지)의 약어. 주로 선형 방정식과 선형 최소 제곱법 문제를 풀기 위해 100 100과 1000 1000 요소로 구성된 배열을 푸는 포트란 서브루틴들로 구성된 수치 해석 패키지의 하나. 이는 컴퓨터의 연산속도를 측정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프로그램 크기가 최근에 적용되는 캐시기억장치 크기보다 작아 실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 환경에서의 수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SPEC,AIM,코너스톤(Khornersto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배정도실수 연산능력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은 DP(double-precision) Linpack이라 한다. [ Dhrystone : 드라이스톤 ] - 컴퓨터의 수행속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일종. 정수계산 및 레코드와 포인터 조작 등을 위한 연산을 행하고 I/O 작업, 운영체제 호출(Operating system calling) 및 실수 연산은 하지 않는다. 1984년 Ada 언어로 최초 작성되었고 1989년부터 C와 Pascal 버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라이스톤 1.1 프로그램이 수행된 결과가 약 1757 Dhrystone/초 정도이면 VAX-11/780을 기준으로 1Mips 정도 된다. 원시 프로그램을 시험하고자하는 컴퓨터에서 컴파일 한 후 실행시키므로 하드웨어 개선없이 단지 시험하고자하는 루틴에 해당하는 컴파일러 부분만을 개선하여도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신뢰도가 떨어진다. [ Whetstone : 휘트스톤 ] - 주로 부동소수점 처리 성능(Flops)을 평가하는 표준적인 벤치마크(benchmark) 프로그램의 하나. 부동소수점 처리성능을 평가하는 최초의 프로그램이었다. 많은 종류의 초월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단정도 및 배정도 실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각각 존재한다. 정수처리능력을 평가하는 드라이스톤 벤치 프로그램처럼 컴파일러에 의존하므로 신뢰도가 떨어진다.
Hz (Hertz : 헤르츠) 의미 : 주파수의 단위로, 1초에 발생하는 신호의 갯수를 나타낸다(1초에 1개의 주기가 있는 파동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용도 : CPU, 메모리, 버스 클록의 단위, 혹은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의 단위로 사용
진동수의 단위로, 음파나 전자기파 등의 주기적 현상에서 하나의 사이클이 1초 동안에 반복되는 횟수를 나타낸다(1Hz=1c/s). 1초에 1개의 주기를 가지는 파동의 주파수를 1Hz(헤르츠)라 하며, 1,000개의 주기를 갖는다면 1kHz, 1,000,000번의 경우에는 1MHz로 표기한다.
PC에서 Hz의 의미는 중요한데, 이는 하나의 사이클마다 하나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근에는 한 사이클당 두 번의 명령을 처리하는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헤르츠가 높을수록 단위 시간에 더 많은 명령을 처리할 수 있으며, CPU나 메모리 등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된 요소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500MHz로 동작하는 CPU라면 1초에 500,000,000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은 클록은 CPU, 메모리, 메인보드의 호환이 이루어져야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의 메인보드는 100∼133MHz의 버스 클록을 지원하는 추세이다.
PC에서 헤르츠가 사용되는 다른 예로는 모니터를 들 수 있다. 화면 주사율이라고도 표현되는 "수직주파수"가 그것으로, 화면의 갱신 속도를 가리킨다. 높은 수직주파수를 가지면 화면의 갱신 속도가 빨라져 흔들림 없는 또렷한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눈의 피로 없이 편안하게 사용하려면 각 해상도에서 최소한 75∼85Hz의 수직주파수를 지정해야 한다.
LIPS (Logical Inferences Per Second) 의미 : 1초당 논리 추론 횟수
용도 : 5세대 컴퓨터의 수행 속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 "립스"라 읽는다.
"1초당 논리 추론 횟수"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5세대 컴퓨터의 수행속도 단위를 지칭한다. 인공지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5세대 컴퓨터는 기존의 밉스(MIPS) 등의 기준으로는 정확한 성능 평가가 어려워 만들어졌으며, 단순 반복적인 계산 속도가 아닌 여러 가지 상황을 추론하는 논리 추론의 횟수를 성능 기준으로 한다.
LPI (Line Per Inch) 의미 : 단위 인치당 기록하는 행(인치당 행수) 용도 :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에서 인쇄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
1) 1인치 높이의 공간에 최대 몇 행의 문자를 기록할 수 있는가를 뜻하며,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에서 인쇄 해상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과거 도트 프린터의 사양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2) 그래픽 데이터를 입력하는 스캐너,팩시밀리 등의 장비에서 입력 해상도를 나타내는 기준에서 세로 방향, 즉 수직선들의 입력 해상도. 수평선들의 해상도는 ppi(pixels per inch)이다. 3) 일반 프린터에서는 1인치당 인쇄하는 행의 수. 보통 1인치당 6행을 인쇄한다. 그러므로 11인치 길이의 인쇄 종이에는 모두 66행이 인쇄된다.
LPM (Line Per Minute) 의미 : 1분당 인쇄할 수 있는 문자행(분당 행수) 용도 :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에서 인쇄 속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 LPM -> CPS, PPM:page per minute
프린터의 인자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분에 찍어낼 수 있는 평균 줄 수로. 1분 동안에 몇 행을 인쇄하는가를 나타내는 인쇄장치의 속도 단위이다. 대개 일반적인 프린터가 아닌, 한 행을 한 번에 찍는 라인 프린터의 속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라인 프린터의 속도는 분당 밴드 라인 프린터는 수백 내지 수천 LPM이다
참고로, LPS는 "Line Per Second"의 약자로, 1초 동안 인쇄할 수 있는 문자행의 수를 뜻한다.
[ CPS : character per second - 초당 문자수 ] ~ 프린터에서 1초에 찍을 수 있는 문자의 수. 속도가 느린 프린터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위이다. [ PPM : pages per minute(분당 페이지)] ~ 1분에 어떤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페이지 수. 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의 단위로 사용된다.
MIPS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Mips)) 의미 : 밉스라 부르며 초당 백만 명령(1초당 1,000,000번의 연산 능력) 용도 : 컴퓨터의 계산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MIPS -> Dhrystone, FLOPS(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 Gips, MTOPS]
컴퓨터의 수행속도(계산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의 하나로서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PC보다는 슈퍼컴퓨터와 같은 중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며, 1mips는 1초에 백만개의 명령(100만 번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밉스"라고 줄여 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1초간 실행할 수 있는 최대 명령어의 개수를 체크한 후, 이 값을 100만으로 나누면 해당 컴퓨터의 성능이 몇 밉스인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밉스는 컴퓨터의 정수처리능력을 표시하는 중요한 척도이기는 하지만, 컴퓨터의 기계어 명령들의 수행속도가 명령에 따라 큰 차이가 나고, 또 기종에 따라 하나의 명령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의 분량이 틀리기 때문에 컴퓨터의 성능을 완벽하게 반영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미니 컴퓨터인 VAX-11/780 기종의 밉스를 표준으로 잡기도 한다. 80년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단위이므로 근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드라이스톤(Dhrystone)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산출한다.
밉스 칩(MIPS Chip) - (MIPS chip : Microprocessor without Interlocked Pipe Stage)스탠퍼드대학에서 1982년경 개발된 축소 명령 집합형 컴퓨터(RISC) 기술을 채택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름. MIPS는 "파이프 단계간의 중간 잠금이 없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without Interlocked Pipe Stage)"의 준말이다. 이 프로세서는 초창기의 RISC 칩으로 연구된 것이며 이후 밉스컴퓨터시스템즈사가 R2000, R3000, R4000 등으로 이름으로 상품화해 여러 종류의 공학용 워크스테이션에 탑재되었다. MIPS 프로세서는 RISC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가의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됨은 물론, 가정용 게임기나 HPC 등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 MIPS Computer Systems : 밉스 컴퓨터 시스템즈 ] ~ 스탠포드 대학에서 연구된 리스크(RISC) 칩을 이용한 고성능의 웍스테이션을 전문으로 만드는 회사. 1984년 설립되어 1985년 제품을 출하했다.-> Silicon Graphics/Mips [ Dhrystone : 드라이스톤 ] ~ 컴퓨터의 수행속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일종. 정수계산 및 레코드와 포인터 조작 등을 위한 연산을 행하고 I/O 작업, 운영체제 호출(Operating system calling) 및 실수 연산은 하지 않는다. 1984년 Ada 언어로 최초 작성되었고 1989년부터 C와 Pascal 버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라이스톤 1.1 프로그램이 수행된 결과가 약 1757 Dhrystone/초 정도이면 VAX-11/780을 기준으로 1Mips 정도 된다. 원시 프로그램을 시험하고자하는 컴퓨터에서 컴파일 한 후 실행시키므로 하드웨어 개선없이 단지 시험하고자하는 루틴에 해당하는 컴파일러 부분만을 개선하여도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신뢰도가 떨어진다. [ Gips : 깁스 ] ~ giga instructions per second(초당 10억 명령)의 약어. 컴퓨터의 수행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Mips보다 1000배 빠른 단위. [ MTOPS ] ~ Million Theoretical Operations Per Second(초당 백만번 이론연산)의 약어. 컴퓨터 수행속도 단위의 하나.
ms (Millisecond : 밀리초) 의미 : 1,000분의 1초로 ms 또는 msec로 표기한다. 용도 : 저장장치의 데이터 접근 속도 등의 수치에 사용
ms(MilliSecond : 밀리초)는 "1,000분의 1초"를 뜻하는 시간의 단위이며, 주로 하드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 사양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 접근 속도 등의 수치에 사용된다. 수치가 낮을수록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이 짧다는 뜻으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ns (Nanosecond : 나노초) 의미 : 10억분의 1초 용도 : 메모리 속도에 주로 사용
나노초(ns)는 "10억분의 1초"를 뜻하는 시간의 단위이며, 10(-9)으로 표시되며 밀리 마이크로초와 같다. 빛의 속도로는 1나노초에 0.3미터 거리를 진행하고 전기는 이보다 약간 느리다. 현대의 수퍼 컴퓨터는 하나의 연산을 1나노초 이하로 수행하므로 1초에 10억번 이상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보통 나노초는 컴퓨터의 클록 주기나 게이트의 지연 시간, 메모리의 데이터 접근 시간 등을 나타내는 단위로 많이 쓰인다. 대부분의 SDRAM은 10ns의 접근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8ns 이하의 접근 속도를 가진 메모리가 PC100 사양과 부합된다. 그래픽 메모리 역시 8∼10ns의 메모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나노초는 낮은 수치를 가질수록 더 빠른 접근 속도를 갖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진) 메모리의 일련번호를 살펴보면 해당 메모리의 데이터 접근 속도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PPM (Pages Per Minute : 분당 페이지) 의미 : 1분당 처리할 수 있는 페이지 수 용도 : 출력장치에서 인쇄 속도 평가에 사용
분당 페이지"의 준말로, 1분에 어떤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페이지수를 뜻한다. 주로 레이저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 같은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사용된다. 프린터 사양을 보면 거의 모든 제품에 명기되어 있으나, 회사마다 출력 기준이 다르므로 맹신은 금물이다.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보통 5∼8ppm의 성능을 가지며,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 흑백 출력은 5∼6ppm, 컬러일 경우 1.5∼3ppm의 성능이 일반적이다.
[ parts per million : 백만개 중의 몇개의 약어 ] ~ 10ppm이라고 하면, 100만개중의 10개를 말한다.
RPM (Rotations Per Minute) 의미 : 1분당 회전수 용도 : 하드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의 성능 지표 RPM -> CSS HDD, double speed, FDD, latency
회전체, 특히 모터가 1분당 회전하는 수를 뜻하며, 하드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 등의 성능 지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회전수가 높아지면 데이터 접근 속도가 상대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있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나, 발열, 소음 등의 문제도 같이 증가하게 된다. 보통 하드디스크의 분당 회전수는 5,400rpm이며, SCSI 또는 고급 E-IDE 하드디스크의 경우 7,200rpm의 회전수를 갖는다.
[ CSS HDD : contact-start-stop hard disk drive, 접촉 출발-멈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 ~ 전원이 꺼져있으면 읽기/쓰기 헤드가 회전축에 가까이 있는 어떤 플래터 표면(랜딩존;landing zone이라고 한다.)에 접촉되어 있다가 드라이브가 켜져 플래터가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플래터 표면에 공기층의 라미나 흐름이 생겨 헤드를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힘이 유지되면 랜딩 구역을 떠나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1000rpm때까지 헤드가 표면에 끌리다가 2000rpm까지는 톡톡 튀다가 2000~3000rpm에서 헤드가 뜬다. 일반적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헤드를 구동시키는 방법이다. 랜딩존에는 아무런 자료도 기록되지 않고 오직 헤드만이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지역으로서 전원을 끌 때에도 이곳에 헤드가 되돌아와야 한다. 전원을 끌 때 헤드가 위치하는 구역을 파킹존(parking zone)이라 하는데 랜딩존과 일치한다. [ double speed : 2배속 ] ~ CD 롬 드라이브의 액세스 속도가 표준 규격에 비해 두 배라는 뜻. 여기서 표준 규격이란 MPC 규격 레벨 1로서 데이터 액세스 시간이 350~400ms인 1배속(single speed)을 뜻한다. 1배속은 일반적인 하드디스크의 액세스 속도에 비해 20배 이상 느린 수준이다. 음향과 동영상을 수록한 멀티미디어 CD 롬이 많이 발표됨에 따라 1배속의 CD 롬 드라이브로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CD 롬을 운용하는 데 한계가 있어 액세스 시간이 150ms 내외인 2배속 드라이브가 개발되었으며, 93년 말부터는 3배속, 4배속(quadruple speed), 95년에는 6배속(6x speed) 제품도 나오고 있다. 6배속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922Kbytes/s이다. 96년말에 출시된 16배속은 최대 초당 2.4M바이트, 평균 2M바이트이다. 디스크를 돌려주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속도는 2배속은 1천rpm, 4배속은 2천rpm, 5배속은 3200rmp이다. 97년 말 주류는 24배속이다. [ FDD : floppy disk drive : 플로피 디스크 구동기 ] ~ 플로피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기계 장치와 디스크에 자료를 기록하고 읽어내는 일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제어 장치로 구성된 것. 이는 크게 300rpm 회전속도의 모터부와 헤드 구동부, 데이터 변환부와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 latency : 대기 시간 ] ~ 1)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한 개의 명령이 수행 완료할 때까지 소요되는 클럭 사이클 수. 예를 들면, 펜티엄(Pentium), 수퍼스파크(SuperSparc), 파워PC601, 68040 등에서는 정수처리는 1, 실수처리에는 3 사이클이 소요되고, 알파(Alpha)21064에서는 1,6, 밉스(MIPS)R4400SC는 1,4, HP의 PA7100에서는 1,2 사이클이 소요된다. 2) 자기 디스크 장치에 데이터를 읽고 쓸 때, 헤드는 이미 원하는 위치에 있고, 디스크가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가 헤드 아래에 올 때까지 기다림으로써 생기는 시간 지연. 평균하여 디스크가 1회전하는 시간의 반이다. 그러므로 3600rpm 속도로 디스크가 회전한다면, 최대 대기 시간은 16.4ms이고 평균 시간은 8.2ms이다. 3) 스위칭 방식의 통신망에서, 어떤 장치가 패킷 데이터를 받아서 재전송할 때까지의 시간.
TPI ( Track Per Inch ) 의미 : 1인치당 트랙의 개수 용도 : 저장장치의 저장 밀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 TPI-> BPI, tape recording density
자기 기록 매체 및 광기록 매체에서 저장 밀도를 표시하는 한 척도(단위)로. 1인치 길이에 존재하는 트랙의 개수를 의미하여, 트랙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우수한 저장 능력을 갖게 된다. "선 길이 밀도"와 "폭 길이 밀도"로 나뉘며, 기록밀도=인치당 비트수(선기록밀도) 인치당 트랙수(폭기록밀도)"로 표시된다. 현재 선기록밀도는 자기기록매체(~1.7 m)와 광기록매체(~1 m)가 서로 비슷한 수준이지만 폭기록밀도에서 광기록 매체(트랙폭 ~1.6 m, 15000TPI)의 경우 자기 기록 매체(트랙폭 ~12.7 m로 2000TPI)에 비해 폭 길이 밀도가 월등히 높다.
[ BPI : Bits Per Inch(인치당 비트)] ~ 자기기록매체 또는 광기록매체의 기록밀도를 나타내는 단위. 자기 테이프의 1트랙의 1인치에 기록할 수 있는 비트의 수로 일반적인 자기 테이프는 800bpi에서 6,250bpi 정도의 밀도를 가진다. 그러나 95년 최고의 우수한 자기디스크는 100,000bpi, 광기록매체는 50,000bpi이다. HDD에서는 가장 안쪽의 트랙이 갖는 값을 말한다. [ tape recording density : 테이프 기록 밀도 ] ~ 자기 테이프의 1인치에 기록된 문자의 수. 보통 1인치당 800부터 6250문자(cpi 또는 tpi)까지 기록할 수 있다.
V (Voltage : 전압) 의미 : 전기적 압력의 단위 용도 : 전자기기의 정격 전압 표시 V -> operating voltage, supply voltage
V(볼트)는 전압의 단위로, 저항 1Ω의 도선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그 양 끝에 걸리는 전압을 1V라 한다. 단위명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인 "볼타"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일반 가정용 전기는 보통 110V 또는 220V가 쓰이며, 이는 PC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주변기기들이 사용하는 5V와 12V로 변압된다. 메인보드로 들어간 전압은 다시 CPU가 사용하는 2∼3.5V 사이의 전압으로 변압되어 CPU에 공급된다. 최근의 메인보드들은 자동으로 CPU에 따라 전압을 조정해 주지만, 구형 펜티엄 보드의 경우 CPU에 따라 사용자가 점퍼를 조정해 정확한 전압을 설정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컴퓨터에서는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은 것은 1, 낮은 것은 0을 나타낸다.
[ operating voltage : 동작 전압 ] - 전자회로 요소가 동작되는 전압. [ supply voltage : 공급 전압 ] - 외부에서 전자회로로 가해주는 전력원으로부터 받는 전압.
W ( Watt : 와트 ) 의미 : 일률의 단위 용도 :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기의 전력량 표시 Watt -> Energy Star Computer Program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기의 전력량을 표시하는 국제단위로, 1초에 1주울(Joule)로 일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1W(와트)이다(1W=1J/s=10(7)erg/s). 다시 말해 전기가 1초간 하는 일의 양으로, 1W는 1V의 전압으로 1A의 전류를 흘릴 때 전류가 하는 일률과 같다. 1W의 1,000배를 1kW라고 하며, 1마력은 746W에 해당한다.
PC에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250∼300W 전력을 공급하는 제품들이다. 환경 보전을 위한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저전력을 소모하는 PC 기준이 만들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PC가 이 규격에 따라 제조되고 있다.
에너지 스타 컴퓨터 프로그램(Energy Star Computer Program)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에서 에너지 절약형 제품의 개발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중인 정책으로 "모니터"와 "탁상형 PC"는 사무기기 전력사용량의 절반에 가까운 용량을 소모하고 있어 이의 절전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자 만든 전력절감 규정 및 전력절약 운동이다. 이 에너지 스타 규정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통상 30W 이하로, 사용시에는 100∼150W의 전력을 소모하는 탁상형 PC 및 모니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각 컴퓨터 제조업체는 이 기준에 입각해 PC를 제조해 "에너지 스타" 마크를 붙여 판매할 수 있다. 이런 컴퓨터를 "에너지 절약형 PC" 또는 "그린 PC(green PC)"라 한다. 일반적인 탁상형 PC는 사용중이거나 아니거나 통상 200~250W의 전력을 소모한다. 그러나 에너지 스타 마크는 기업의 판단으로 자체적으로 붙이는 것으로서 환경보호국에서 에너지 스타 마크에 대한 검증을 하는 것은 아니다.
[ deep green : 딥 그린 ] ~ 사전적으로는 "깊숙한 녹색"이란 뜻으로, 에너지 절약 기능을 "그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절전 기능보다 훨씬 뛰어난 절전 기능을 수행한다는 뜻. [ DPMS ] ~ 화면 표시 장치의 전력 관리 신호 방법(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의 약어. 화면 표시 장치에 관련된 기술을 연구하는 VESA에서 1993년 7월에 발표한 화면 표시 장치의 전력 절감을 위한 신호 규약 또는 그 기술. 화면 표시 장치의 수직,수평 동기 주파수를 이용하여 4가지의 방법을 정했다. 컴퓨터 본체가 보내는 이들 신호의 조합을 화면 표시 장치가 검출하여 정해진 상태로 전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