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고(樹高, 높이, Height ; Ht. /H)
: 지표면에서 수관 정상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수관의 정상부에 돌출된
도장지는 제외한다.
◦ 수관폭(樹冠幅, Spread, Width ; SPR. /W)
: 도장지를 포함하지 않는 수목의 최대너비를 말하며,
역지 끝을 기준으로 한 폭이다.
◦ 지하고(枝下高, Branching Height ; B.H.)
: 지표면에서 역지(力枝) 끝을 형성하는 최하단 가지까지의 수직거리를
원칙으로 하며, 능수형은 최하단의 가지 대신역지의 분지된 부위를 채택한다.
◦ 흉고직경(胸高直徑, Diameter of Breast Height ; D.B.H. /B)
: 교목류 수목을측정할 때 적용하며, 측정부위는 지표면에서 1.2m지점의
줄기의 직경을 말한다. 흉고직경 부위의 줄기가 2개 이상일 경우
각 줄기의 흉고직경 합의 70%가 당해 수목의 최대흉고 직경 보다 클 때는
채택하며, 작을 때는 최대 흉고직경으로 한다.
◦ 근원직경(根元直徑, Root-Collar Diameter ; Cal. /R)
: 흉고직경을 측정할 수 없는 관목이나 흉고 이하에서 줄기가 분기하는
교목성 수종, 만경목, 어린묘목 등에 적용한다.
◦ 수관고(樹冠高, Spread, Width ; SPR. /H)
: 역지 끝을 형성하는 최하단의 가지에서 정상까지의 수직거리를
원칙으로 하며, 능수형은 최하단의 가지 대신 역지의 분지된 부위를
채택한다.
◦ 분경(盆俓, Diameter of Pot Width ; D.P.W /P)
: 수목의 이식을 용이하도록 굴취된 뿌리 분(盆)의 지름으로 짧은 지름과
긴지름을 합하여 1/2로 나눈 수치로 측정한다.
◦ 분고(盆高, Pot Height ; P.H)
: 수목의 이식을 용이하도록 굴취 된 뿌리분(盆)의 길이로 짧은 길이와
긴 길이를 합하여 1/2로 나눈 수치로 측정한다.

◦ 가지수(枝數, Branch Quantity ; B.Q)
: 개나리, 철쭉류 등과 같은 관목류의 품질규격기준을 정할 때 이용되며,
가지 수는 평균 3개 이상으로 가지수량과 평균길이와 평균수관폭을 측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