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점무늬병 |
|
|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성명 : 이영기 |
|
전화 : 031-290-0426
|
|
|
|
|
|
|
|
|
1. 병증상 |
| 잎, 잎자루 및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작은 흑갈색의 모무늬 반점이 생기며 반점 주위가 황색으로 변하며, 잎 뒷면에는 병반 주위로 수침상이 나타난다. 과습한 환경에서는 이러한 병반으로부터 우유빛 세균의 누출도 볼 수 있다. 시일이 경과할수록 병반은 갈색에서 회색으로 변하고 병반의 가장자리는 암갈색으로 남게된다. 여러 개의 작은 병반이 합쳐져서 부정형으로 커지게 되며 말기에는 병반부위가 찢어져 구멍이 뚫린다. 주로 지면에 가까운 하엽에서 시작하고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기 때문에 상위잎만 남아있는 것이 많다.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심하면 잎자루나 줄기에도 병반이 형성된다. |
|
|
|
|
|
|
|
|
|
2. 병원균 |
|
병원균은 Pseudomonas syringae pv. sesami라는 세균의 일종으로 고체배지에서 흰색의 둥근 균총을 형성하며 King’s B 배지에서 녹색 형광색소를 생성한다. 그램음성의 짧은 간균으로 2~5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는 호기성균이다. 균의 크기는 0.6~0.8×1.2~3.6㎛이다. 생육적온은 30℃이며, 생장온도 범위는 0~35℃이다. |
|
|
|
3. 발생생태 |
|
이 병은 한국, 일본, 만주, 인도 등지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17년경 수원지방에서 확인되었다. 참깨의 주요 병해중의 하나로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병원세균은 병든 식물의 종자나 낙엽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초장이 1~1.5㎝일 때부터 발생하며, 7~8월의 우기에 들어서서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병든 식물조직에서 누출된 세균이 빗방울이나 바람에 의해 전반된다. |
|
|
|
표 1. 참깨 세균성점무늬병의 발생현황 |
|
지 역 명 |
조사시기(월.일) |
발생등급 |
이병엽률 (%) |
경 기 |
화성, 여주 |
6.3~9.10
|
3 |
5~30 |
충 북 |
음성, 진천, 청원, 제천, 괴산, 보은 |
6.26~8.30
|
1~5
|
0.01 이하~30 |
전 남 |
영암, 강진, 순천, 해남, 나주, 진도 |
7.6~7.21
|
1~9
|
5~100 |
경 북 |
의성, 대구 |
7.13~9.6
|
1~5
|
0.6~80 | |
|
주) 농작물 병해충 조사사업 보고서 요약(2000, 농업과학기술원) |
|
|
|
4. 방제방법 |
|
무병지의 건전한 식물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한다. 전년도 병들었던 식물의 잔재는 제거한다. 발병이 심한 포장은 다른 작물로 윤작한다. 질소비료의 과용을 삼가고 이병식물은 완전히 제거하여 태워버린다. 국내에는 아직 등록된 약제가 없으나 외국에서는 발병초기에 구리제 또는 농용항생제(아그리마이신)를 살포한다. |
|
|
|
|
참 고 문 헌 |
|
|
농업과학기술원. 2000. 농작물 병해충 조사사업 보고서. 박종성 외. 1985. 식물병리학. 향문사. 한국농업전문학교 외. 1999. 주요 작물병해 진단 및 방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