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RAW파일 전용 솔루션이 있으나 대동소이하므로
요즘 재미붙인 PHOTOSHOP CS2를 사용해서...
카메라 세팅을 RAW+최고화질 JPG로 세팅한다.
셔터를 한번 누르면 RAW 파일사진과 카메라가 표현할수 있는 최고화질의 JPG사진이 찍힌다.
어차피 RAW 파일 작업할건데 메모리카드 용량 잡아먹게 뭐하려고 JPG까지 찍히게하나?
영어에서 RAW라 함은 '익히지 않은 날 것' 이란 뜻으로
RAW파일사진을 전용 솔루션에서 열면
색온도, 채도, 명암등의 요소들이 가다듬어지지 않은채 날 것의 상태로 열리는 것이다.
사진을 찍은 사람이 솔루션 창에 열린 평균계산치의 이미지를 보면서
색온도, 채도등 모든 요소를 컨트롤 해줘야 익은 사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RAW파일 요리에 익숙치 않은 경우
카메라가 모든 걸 요리해준 JPG 사진보다 사진의 질이 훨씬 떨어질 때가 있다.
날것의 상태인 RAW파일을 요리했다가
카메라가 요리한 JPG보다 맛이 없을 때도 자주 있으니까
만약을 대비해 JPG까지 찍어두는 것이다.
때론 RAW파일을 요리하면서 카메라가 요리한 JPG를 컨닝해가며 작업해도 도움이 된다.
물론 카메라가 요리한 JPG사진이 어디로보나 손색없어 손볼일이 없다면
애써 RAW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RAW 작업후 JPG 변환한 사진과 오리지날 JPG사진의 이미지 사이즈도 똑같다.

심심풀이로 찍어본 해질무렵 아파트 단지의 푸른 하늘.
천공광(하늘)의 차가운 색온도와 해질 무렵 따뜻한 햇살의 따뜻한 색온도가 함께 들어가면서
각기 다른 색온도에 카메라가 방황을 했나보다.
카메라가 요리한 JPG사진은 하늘도, 아파트 빨간 지붕도 색이 영 칙칙하다.
한참 다듬어야할 사진.
이런 사진을 색밸런스 조절로 바로 잡으려면 초죽음이 된다.
색온도를 잡아야 수월한데 JPG 사진은 색온도 조절이 포토필터 정도로만 가능하다.
JPG사진은 버리고 색온도조절이 가능한 RAW 사진을 작업해야지!
이미지뷰어 프로그램인 ACDsee를 포토샵CS2와 연동시켜
RAW사진을 고른 후 편집 버튼을 누르면
포토샵이 열리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요리재료인 RAW 파일 사진.
이제부터 사진가가 모든 것을 컨트롤 해야한다.
먼저 소프트웨어부터 살펴보면...
박스좌측 하단부터...
25.1퍼센트라는 숫자!
화면의 사진이 원본의 사분의 일 크기로 보여지고 있다는 뜻이다.
100퍼센트로 키워 디테일하게 봐가기도 하고 25퍼센트로 줄여
전반적인 변화를 관찰해가며 작업을 한다.
그 아래 SPACE는 색공간.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세팅한 sRGB ICE.....보다는 ADOBE RGB가 색영역이 넓고
인쇄를 위한 CMYK 변환시 색상의 변화폭이 좁다고 한다.
SIZE는 포토샵에서 열리는 사진의 크기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그 아래 BIT는 16비트로.
8비트보다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며 후보정시 사진의 손실이 적다.
포토샵 최종 작업한 사진을 저장할 때 인쇄용 8BIT로 바꿔준다.
바꾸지 않을 경우 사진 용량이 100메가에 가까워 하드를 많이 잡아먹는다.
RAW의 좋은 점은 요리를 하고나도 재료는 원상태 그대로 남아있단 점이다.
그 옆 해상도는 사진출력용 수치.
더 크게해도 인쇄기계에 한계치가 있으므로 사진이 좋아지진 않는다.
박스좌측 상단...
돋보기는 사진확대, 손바닥은 프리뷰창에서의 사진이동,
스포이드 두개는 컬러 수치를 읽거나 색온도를 결정하는 것, 그 옆은 트리밍 등등인데
내 경우 거의 사용하지 않고
시게방향, 반시계 방향의 화살표를 사진회전하는데만 사용을 한다.
우측상단
PREVIEW, 하이라이트, 섀도우 박스에 체크를 해두면
사진작업시 이미지의 변화와 하이라이트의 과다 밝아짐,
섀도우의 과도한 어두워짐이 표시된다.
그 영역이 넓지 않으면 내 경우 경고를 무시해버린다.
그 옆에 빛의 삼원색인 RGB분포그래프(이건 봐도 잘 모르겠다).
그 아래 세팅 박스(사진을 작업 이전으로 돌릴때등의 경우 사용한다)
그 아래가 본격 요리를 위한 주방공간이다.
요리를 위해 위로 다시 올라가 사진을 보면...
여러 솔루션중 포토샵CS2의 장점중 하나는
다른 S/W처럼 완전 날 것의 재료만 덜렁 던져주는게 아니라
살짝 재료를 다듬어 주기때문에 요리를 어떻게 할지 감이 살짝 느껴지게 된다.
CS2가 살짝 익혀준 사진을 보니 사진에 푸른 톤을 더 넣어주고 싶고
아파트를 비추는 햇살은 부드럽고 따사한 느낌이 안들고 칙칙한 분위기다.
하늘색과 볕을 받는 아파트 벽면을 포인트로해서 작업을 해야겠다.

제일 먼저 색온도 조절하기.
우선 화이트밸런스 창을 보면 AS SHOT로 설정돼있다.
창을 열고 들어가면 데이라이트, 구름, 그늘, 형광등등 선택모드가 있는데
각자 찍은 사진의 촬영환경을 체크하면 그에 맞는 색온도값이 사진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햇빛에서 찍은 사진을 열고난 후 화이트밸런스 창에서 데이라이트를 체크하면
어찌된일인지 색온도가 더 않맞게되면서 색발란스가 완전히 엉망이돼버리곤 한다.
그 아래 색온도 슬라이드를 좌우로 조절해가면서
사진에 들어간 잡색이 빠지는 위치로 슬라이드를 옮겨주는게 효과적이다.
막대를 옮겨 색온도를 변화시키면 AS SHOT 대신 커스텀으로 ㅂ뀐다.
(ㅂ뀐다...자꾸 오타가 나는 이유는 나중에 니지탈 암실 편에서 적기로 한다)
하늘이 푸른색을 띠도록 처음 5250도에서 색온도를 4200도로 낮추고나니
하늘은 파랗게 됐으나 아파트 벽면의 햇살까지 색이 빠지면서
사진이 차갑고 추운 느낌이 든다.
'해질 무렵'이 빠져나갔다.
색온도 아래 TINT를 좌우로 움직여가며 색조를 조절한다.
나중에 사용할 HUE/SATURATION 이 더 정교하므로 이건 살짝만 해준다.

차가워진 사진에 온기를 넣어주기!
맨 아래 SATURATION 슬라이드를 우측으로 밀어주면
디지탈사진의 색감불량 원인인 채도가 증가하면서 빨간색, 파란색의 채도가 상승하면서
사진의 느낌이 강렬해진다.
다시 채도 조절 막대 위로 올라가서
EXPOSURE, SHADOW등 조절막대를 적당하게 이동시킨다.
EXPOSURE는 사진 전체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하는것.
그 아래 섀도우는 어두운 부분만 더 어둡게 해준다.
그 아래 BRIHTNESS는 어두운 곳과 밝은 곳은 그대로 두고
중간톤을 밝게하거나 어둡게 한다.(과도하게 움직이면 밝거나 어두운 곳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 아래 콘트라스트는 명암조절용이다.
조절을 마치고 나니 위와 같은 사진이 만들어졌다.
사진좌측하단 창틀이나 그림자에 튀어보이는 보라색부분은
이부분이 너무 어둡습니다 하는 경고표시다.
다음단계로 넘어가 포스티잇처럼 생긴 것에서
디테일은 사진의 선예도를 올리고 노이즈를 줄이는 곳이다.
포토샵이 더 정교하므로 내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그 옆 렌즈 단계는 명암이 극렬하게 교차하는 지점에 생기는 잡색띄는 줄을 없애는 단계지만
지금 이것까지 확인할 경황이 없어 아직 손대지 못하고 있다.
그 옆 포스트잇...커브는 포토샵에서가 더 정교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 옆 CALIBRARE....채도를 좀 더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포토샵과 달리 RGB만 가능하다,
포토샵에서는 RGB는 물론 CMY까지도 가능하다.
포토샵에서 나중에 RGBCMY의 채도를 조절해준다.
다만 포토샵에서 작업시 디테일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가급적이면 RAW 솔루션에서 최대한 마무리를 한 후 포토샵으로 넘어가는게 좋다.
다시 위로 올라가서 포토샵으로 사진을 열기 직전 사진을 보니
하늘도 파랗고 지붕과 아파트 벽면 그림 색도 쨍해졌는데
아직까지도 사진의 느낌이 차갑다.
'해질무렵 햇살'이 아직도 안살아난거다.
포토샵으로 위사진을 열었다.

요리를 마친 RAW파일 사진이 16BIT JPG 사진으로 열렸다.
포토샵에서의 최종 후보정이다.
RAW파일 솔루션을 제대로 사용하면 포토샵 후보정할 일이 상당부분 없어진다.
이제 없어진 저녁노을을 살리는 작업이 남았다.
포토샵에서의 색감, 명암, 채도등 사진후보정의 상당부분은
좌측 상단의 IMAGE<ADJUSTMENT<컬러, 명암, 채도조절등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과정들을 하나하나 진행하다보면
사진의 디테일이 서서히 무너진다는 것이다.
작업을 원상태로 돌리거나 조절효과를 줄이는 것도 불가능하다.
해서 사용하는 것이 우측 박스의 LAYER라는 것이다.
우측 LAYER박스의 반달처럼 생긴 원을 누르면
그 안에 IMAGE<ADJUSTMENT<컬러, 명암, 채도조절 기능이 모두 들어있다.
명암조절을 누르면 명암조절 투명비닐이, 색조절을 누르면 색조절 투명비닐이
사진원본에 포개진다.
마무리를 한 후 비닐합치기를 하면 모든 효과가 적용되면서 한장의 사진이 된다.
마음에 안들었던 비닐을 빼버리면 불필요한 후보정은 삭제가 된다.
사진의 손실도 적다.

레이어에서 레벨비닐을 선택해 컨트라스트를 올렸다.
산모양 그래프 하단 삼각형 세개를 움직여주면 된다.
좌측 삼각형은 어두운 곳을 더 어둡게하기, 중간 삼각형은 중간 톤을 밝거나 어둡게하기,
우측 삼각형은 밝은 부분을 더 밝게 하기.
컨트라스트를 올리면 채도도 올라가면서 색도 더 선명해진다.
보다 정교한 명암조절을 하려면 그 아래 커브 비닐을 쒸우면 된다.

이번엔 아파트 벽면의 사라진 노을빛 살리기.
레이어 반달원을 눌러 채도조절 비닐을 씌워봤다.
처음에 나오는 MASTER 채도조절은 전체 채도를 올리는 것이라
따뜻한 햇살에 해당하는 옐로를 선택해 막대를 우측으로 움직여 노란색의 채도를 올렸다.
아래사진처럼 아파트 벽면에 햇살이 살아나면서 따뜻한 사진이 나왔다.
CTRL+SHIFT+E 를 눌러 비닐을 합쳤다

먼지를 없애고 사진에 샤프니스를 주고 기울어진 사진을 바로잡은 후
사진을 8비트로 전환 해 저장.
최종사진을 맨 위의 JPG와 비교해보면 색감이 완전히 다른 것을 알수 있다.
색밸런스 조절이 전혀없이
색온도, 명암, 채도조절만으로도 원하는 색감의 사진을 만들수 있었다.
물론 아직은 포토샵 끌어안고 버벅대며 시행착오를 겪는 중이다.
다른 더 좋은 방법도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다시 이글을 보며 '야! 내가 포토샵을 이렇게 엉터리로 하던 시절이 있었구나!"
깨달을 날이 하루 빨리 왔으면 좋겠다.
부록>
우리가 포토샵에서 보는 위 사진은 빛의 삼원색인 RGB 사진으로
인쇄를 위해 잉크기본색인 CMYK로 바꿔보면 사진 색감이 변화한다.
잉크기본색과 빛을 삼원색이 다르기 때문이다.
내 사진이 인쇄하면 어떻게 나올지는
포토샵의 IMAGE<MODE<CMYK를 선택해보면 알 수 있다.
채도를 과도하게 올린 사진으 경우 모니터에서 보기엔 환상적이지만
실제 인쇄물에 적용되는 CMYK잉크가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인터넷포털 풍경사진코너에 난무하는
채도를 왕창 올린 현란한 색상의 일출,일몰, 자연사진의 경우
모니터로보는 RGB 이미지는 환상이지만 인쇄불가능한 사진이 태반인 것이다.
과도하게 올라간 채도사진은 인쇄시 황당한 색감이 수시로 나온다.
부록2>
사진 원본에 샤프니스를 줬어도
이미지 사이즈를 줄이고 나면 샤프니스가 다시 떨어진다.
컨트라스트와 채도도 약간의 변화가 생긴다.
선명한 사진을 웹포스팅하려면
웹포스팅을 위해 작게 줄인 사진에 샤프니스를 다시 줘야한다.
부록3>
여러 프로그램중 CS2로 RAW작업을 하는 이유!
CS2는 RAW파일을 살짝 익혀주기때문에 작업초기 감을 잡기가 수월하다.
주력S/W인 포토샵에 내장되어있어
RAW작업 후 포토샵에서 열어도 색상이 정확히 일치한다.
주위에서 추천하는 캡쳐원 프로 는 맘먹고 샀는데...
일단 구입비용이 만만치 않고
피씨 포맷이나 새로 구입 설치시 인증을 위해 본사와 연락을 취해야한다.
반숙을 해주는 CS2와 달리 완전 날것의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초기 작업진행시 감을 잡는데 어려움을 겪을때가 종종있다.
하지만 암부의 노이즈제거등 정교한 작업에 탁월하다.
포토샵과의 컬러매치도 가능하다.
캐논카메라 사면 끼워주는 '디지탈포토 프로페셔널'은
자체 프리뷰 창에서는 슬라이드필름에 필적하는 정말 끝내주는 색감을 보여준다.
헌데 작업을 마치고 포토샵으로 불러오면 엉뚱한 색감으로 사진이 바뀐다.
무용지물이다.
포토샵과 색상일치를 이뤄주는 방법이 있다면 다른거 다버리고 이거 쓸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