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Journalism
Journalism에 관한건데요
처음에 신문에는 뉴스쪽과 인터테이먼트 쪽이 있는데 인터테이먼트 쪽은 일할 사람이 없어서 아웃소싱으로 뉴스페이퍼에 그런 인터테이먼트 기사만 제공하는 회사한테 기사를 사온다. 근데 작은 회사들한테는 더 싼 가격에 판매함. (질문1) 뉴스페이퍼(신문)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신문으로 인해 유명한 작가들이 더 알려지고 .... 그런 시스템을 그대로 티비에서도 따라하게 되었다는내용.
보총설명
몇 가지 보충해서Feature Syndicate에 대해서 약간 설명해 볼게요. 신디케이트는요, 비뉴스 기사를 신문사에 배급하는 회사에요. 외신도 비뉴스의 영역에 속했다고 해요. 모든 신문사가 외국에 특파원을 보내서 뉴스를 취재할 순 없겠죠. 그래서 신디케이트 회사에서 기사를 사와서, 자기 신문에 실는 거구요. 신디케이트 만화나 신디케이트 생활정보는 이런 걸 생각해보시면 도움이 될거에요. 우리나라 신문에도 외국 만화실리잖아요. 캘빈과 홉스, 블론디, 가필드등등이 실리지요. 이런만화는 우리나라에서 직접 그린게 아니라, 신디케이트 회사에서 사 온거구요. 디어 애비나 앤랜더스 같은 거도 마찬가지구요. 그런 신디케이트 만화가나 소설가등등이 인기를 끌기도 하구요. 방송신디케이트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가 외국의 외화드라마를 수입해서 방송하는 거 생각하시면 되겠어요. 그게 신디케이트에 의해 배급되는 거니까요. 큰 방송사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타방송사나 소규모 방송사에 팔아요.
인쇄매체와 방송에 Feature Syndicate이라는 것이 있다. 우선 인쇄매체의 예로 신문을 듭니다. 신문은 거의 뉴스를 중심으로 꾸며진다. 그래서 비(非)뉴스 기사인 경우 많이 소외된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Feature Syndicate. 신디케이트회사는 신문사에 '신디케이트 외신소식', '신디케이트 만화', '신디케이트 생활정보', '신디케이트 사설이나 신디케이트 논평' 등을 제공한다. 신문에서 부족한 점을 채워줌. 신디케이트회사에서 배급받는 이런 내용들로 신문의 기사가 풍부해지고, 풍부해진 기사때문에 신문이 더 잘 팔린다. 근데 이건 오직 신문사만이 이득을 보는 관계는 아니다. 신디케이트 회사는 자기 기사를 많은 전국 신문에 팔아서 영향력을 갖게된다. 신디케이트 배급을 통해 인기를 얻게된 작가나 만화가들도 생겨났다. 방송에도 신디케이트가 있다. 큰 방송사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타방송사나 작은 방송사에 판다. 이게 방송의 신디케이트다.
문제 1. feature syndicate 의 특징
문제 2. M.I?
문제 3. feature sy____의 기능?(2)
[참고 자료]
In the United States today, a few large syndicates such as United Feature Syndicate, Inc. or Universal Press Syndicate dominate the mainstream distribution of cartoons and comic strips. Syndicates buy the rights to cartoons, usually as a series, and then sell them to publications. Most syndicated comic strips appear in 100 to 200 daily newspapers, and a few appear in more than 1000 papers. Comic strips and their recurring characters may also appear on shirts, calendars, coffee mugs, and other merchandise. Nonsyndicated cartoonists sell their cartoons one at a time, most often to magazines. Over time, larger bodies of work by cartoonists can lead to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cartoons as books.
Apart from major newspapers, which feature editorial cartoons and pages of comics, and certain national general-interest magazines, there are numerous magazines covering special interests-such as hunting, gardening, or automobiles-that print cartoons relating to that interest. Other cartoon publishers include small, politically-oriented newspapers, designed to appeal to a specific viewpoint; specialized humor magazines, such as The National Lampoon; and magazines whose entire editorial content consists of cartoons, such as Funny Times. Cartoons may also be used in greeting cards, or they may be distributed through a cartoon bank, where large numbers of cartoons are scanned into a computer and made available to any publisher seeking a cartoon relating to a particular theme.
다른 후기
feature syndicate에 대한 내용이 나왔습니다.
print media와 broadcast media에서 feature syndicate를 어떻게 활용하느냐. 누가 주로 이용하고 장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얘기합니다. print media는 주로 돈이 없는 소규모의 신문사들이 시사 뉴스를 제외한 연예나 요리 등의 주제로 글을 쓸 기자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syndicate 기사를 사서 기재한다는 것이죠. 그렇게 하면 우선 syndicate writer의 인가가 올라가고 신문사로서는 구독부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익을 보게 됩니다.(문제로 출제되었습니다.) 다음 문제는 소액 신문사들에게는 syndicate 회사에서 싼 금액으로 기사를 이용하게 해주기 땜에 이용할 여력이 있다라는 얘기를 하고 이것도 문제로 나옵니다.
journalism 에 관한 렉쳐였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거 들을때, feature 를 furture 로 듣고 미래의 메스컴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는데, 문제에 feature 로 나온거 같습니다... 근데, 문제 풀 당시에는 내 눈으로 feature 를 보고있으면서도 그걸 furture 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다는 건데, 잘 모르겠으니깐, 다음분이 확실하게 후기 올려주세요...
제가 들은 내용은, 그것이 예전에는 신문이나 잡지에 있었는데, 따로 독립적으로 떨어져 나왔다는 거하고, *****에 대한 예로는 신문의 사설, 광고, 만화등 ****에 대한예로는 ****
문제 1. main idea
-the influence of featured syndicates(F.S) on the media.
문제 2. F.S의 주된기능
-non-news materials to newspapers
문제 3. 작은 회사들은 어떻게 샀니?
-적은 돈을 주고 살수있었다.
문제 4. TV에서는 어떻게 했지?
-be like F.S
문제 5. brodcast에서 어디에 팔았나?
-TV and radio
문제 6. F.S 의 positive benefit?
-작가랑 예술가를 유명하게 만들어 주었다.
-increase inthe sales of particular newspapers
2. cyclotron
교수랑 학생들이랑 field trip을 가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교수가 설명합니다. (여기서 문제) 설명 중 그림이 뜨는데요. 원 안에 핵이 있고 핵이 운동하는 경로가 달팽이처럼 뱅글뱅글 그려지다가 결국은 바깥으로 퉁겨나오게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테두리 안에 반원 모양의 영역이 대칭으로 있는데 이것이 DEE라는 영역입니다. 핵이 바깥으로 뱅글뱅글 돌아 나오다 보면 이 두영역 부분과 아닌 부분을 거쳐가게 되겠죠. 그런데 두 반원 사이에 떨어져 있는 gap을 지나는 동안 energy 가 커져서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문제로 particle energy 가 커지는 부분을 그림에서 찾는 문제가 나와요.) 문제에서 움직이는 입자가 더 많은 에너지를 얻는 부분이 정확히 어디냐하고 나오는데....답은 양쪽 반원의 '사이'를 찍는 겁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이 시클로 어쩌구가 충돌하면 어떻게 되느냐는 문제도 나와요. 저는 새로운 것이 하나 더 생기다..했는데 자신없어요. 에구.. 그림을 말로 설명하려니 힘들군요.
물리학에서 무슨 그림이 나오고 양쪽에 있는 전자가 부딪치면 회전이 되서 그 사이로 힘을 민데요. 그 사이가 Di 였던가...현장학습 하기전에 오늘 견학하게될 사이클로트론에 대해서 브리핑 하면서 교수랑 학생이랑 대화형식으로 나와요.사이틀로트론 단면이 나오는데 사과 단면같이 생겼대요.그중에 속도를 가속화하는 부분이 어디냐고 클릭 하는 문제 나왔어요.
입자가속기문제. 상황은 교수들이 얘들 데리고 어디 견학(trip)나가기 전에.. 잠깐 오늘 구경할 것들 설명하는 거구요. 입자가속기가 입자(원자, 전자..)를 가속시켜 분리시킨다는 똘똘한 학생의 대답 나오고.. 그 원리가 그림 뜨면서 설명되는데요. 제 생각엔.. 둥그런 입자가속기의 단면을 짤라서(그러니까.. 원 모양이지요)... 그 안에 DEE뭐시기 하는 게 반원 모양으로 그 원을 나누고 있는데요.. 문제에서 움직이는 입자가 더 많은 에너지를 얻는 부분이 정확히 어디냐하고 나오는데... 답은 양쪽 반원의 '사이'를 찍는 겁니다.
윗분의 후기는 보통 사람이 보기에는 평범한 후기처럼 보이지만..저의 눈에는 기존 파일을 찾을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주셨기에 너무나 값진 후기라고 여겨집니다..
다른 후기
교수님과 학생들 Field trip가기 전 이해 돕기 위해 cyclotron에 대해 설명.
설명 중 그림이 뜨는데요. 대칭의 반원 두개 안에 핵이 있고 핵이 운동하는 경로가 달팽이처럼 뱅글뱅글 그려지다가 결국은 바깥으로 퉁겨나오게 그려져 있습니다. 이 두 반원이 Dees입니다. 핵이 바깥으로 뱅글뱅글 돌아 나오다 보면 이 두영역 사이에 떨어져 있는 gap을 지나는데, 그 때 energy가 커져서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문제 1. particle accelerator 용어 정리 문제? - 전자나 양성자 또는 이온들을 커다란 속도로 가속 시키는 장치(사이크로톤도 이 입자가속기 중의 하나)
문제 2. 주입된 이온이 가속화 되는 곳(에너지가 증가되는 곳)은? - 2개의 D 사이 (이유: 그 사이에 이온이 이동할 때 연결된 전원의 극성을 빠르게 바꿔준기 때문)
문제 3. 이 사이클론에서 빠져 나온 이온이 표적 원소와 충돌하였을 때 어떻게 되는가? -target material과 이온이 충돌하여 새로운 원소를 생성
문제 4. Instutor가 가속된 입자들에 의한 충돌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가? -It creates the new particles.
문제 5. Cyclotron 왜 설명 하나? 강의의 목적? - field trip 가지전에 미리 준비 한다.
문제 6. 진공관으로 들어간 입자는 어떻게 되는가? -It travels in circular path and accelerates to a higher speed.
문제 7. Mainly about? - what cyclotrons are and how they work(accelerate)
[참고자료]
● 입자가속기의 종류 중 하나인 사이클로트론 운동하는 하전입자가 자기장 속에서 원을 그린다는 것을 이용해서, 자기장 속에서 입자를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주기에 맞추어 고주파 전압으로서 되풀이하여 가속하는 것. 사이클로트론은 1932년 미국의 E.O.로렌스가 고안한 것이고, 큰 전자석의 극 사이에 원통형의 가속관을 두고, 이 관을 끼고 D라는 반원형 중공전극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입자는 가속관의 중앙에 있는 이온원에서 방출되어, 강력한 자기장 안에서 운동을 시작하며 D의 틈새를 입자가 통과할 때마다 진행 방향으로 가속을 받도록 전압을 걸어준다.입자는 가속됨에 따라 회전반지름은 증가하나, 회전주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입자가 원을 반바퀴 도는 동안에 전압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고주파 전압을 D에 걸면 입자는 한층 더 가속된다. 이 경우 가속한계는 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의 세기와 자극의 반지름에 의해 결정되지만 자기장의 세기에는 사실상 철(鐵)의 자기포화(磁氣飽和)에서 오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속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극 반지름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사이클로트론의 가속 성능의 지표로서 자극의 지름이 사용된다.
2 fields characterize the cyclotron :
- a strong axial magnetic field produced by a magnet.
- a high frequency alternative electric field between 2 elements called 'Dees'.
A charged particle is injected in a magnetic field, between two 'dees' with a difference of potential.
This particle is accelerated and comes into a 'dee',
while the trajectory is curved by the magnetic field.
When this particle gets out of the 'dee', a new acceleration appears,
and the particle reaches the other 'dee', and so on.
3. post modernism
Listen to part of a lecture in an art history class.
During today's lecture we will be looking at post-modernist art Actually, to understand post-modernist art we will also have to talk a little about modernist art. Based on the two names, I imagine I don't have to tell you which one comes first. However, let's look at them in reverse.
Starting in the mid to late '60s, post-modernist art was based on a complete rejection of what was understood to be an overly controlled and commercialized art world. It was felt that art had come under the control of gallery owners. Artists began to question everything about art, including the very rules used to decide what was and what was not art. Young artists wanted to broaden the definition of art as well as the role of the viewer. Art was no longer supposed to be something one appreciated from a distance. It needed to active and involving. This new way of thinking created the school of conceptual art, where everyday objects suddenly fell under the definition of art. An extreme example is 'found art', where the artist simply takes something as simple as a tube of toothpaste and calls it art. The idea was that the act of naming something art would release its hidden artistic value.
Other examples of this new post-modern concept of art were earthworks and siteworks. With earthworks, the artist manipulates the landscape by creating hills and strange earthen walls to form sculptures. An earthwork has a strong duality, a dual nature, in that the sculpture itself can last for a thousand years, yet it is always changing because it is always being seen and experienced differently every time someone new looks at it.
A sitework is the opposite. The artist creates something out of manufactured materials. The constructions are always temporary. For example, an artist might sculpt something out of old wrecked cars, which will eventually rust and crumble to dust.
In reality, the world of modernist art was not as terrible as the post-modernists claimed. A lot of modernist art was actually quite playful. Picasso, perhaps the most famous of the modernist artists, would paint realistic paintings of his friends based not on how they looked but on how he imagined they would look when they were old. Gertrude Stein even went so far as to write entire wordless poems filled with just collections of random sounds.
문제 1. What is the lecture mainly about? Post-modern art
문제 2. According to the professor, why did post-modernist artists reject modernist art?
- They thought modernist art was too commercialized.
- To rebell against commercialism of art. (상업주의를 반대)
문제 3. post modernism은 무엇에 반대했는가? 상업주의
문제 4. The professor describes the differences between an earthwork and a sitework. Match each description with the appropriate type of post-modernist art.(Click on a word. Then click on the space where it belongs. Use each word only once.)
Earthwork : Sculpted from natural materials. Could last more than a lifetime
Sitwork : Not designed to last for a long time. Constructed of man-made materials.
문제 5. In what two ways do earthworks and site works differ ?
earthworks : permanent, use natural material // site works : temporary, use manufactured material
문제 6. earth work과 site work의 차이는(2click) 인공적인 재료를 사용했는가, 얼마나 오랫동안 보존되는가
문제 7. How does the professor describe the process of creating an earthwork? The ground is molded into mounds and divided.
문제 8. According to the professor, why did the artists who created earthworks and site works reject traditional art forms ?
문제 9. earth work를 어떻게 만들었는가? 답>landscape에 추가하거나 잘라내는 방법을 골랐고요,
문제 10. 교수가 오늘 설명한 것에 대해 추가로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학생들 보고 어떻게 하라고 했는가? (교수가 도서관에 무슨 자료를 마련해 두었으니 가서 참고하라는 말이 나옵니다. 하지만 답에는 도서관이라는 말이 없으니 유의)
문제 11. 포스트 모더니즘 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두개 고르는 것(예술은 사고 파는 것이 아니다, 감상자가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 12. modernism의 예술이 그전꺼랑 다른점 두개
1) 차이점이 뭐요? (답2) : material and time
2) 왜 시작했다요? (답2) : 사고 파는 발상이 싫었답니다. 글구 하나 더 있는데 모르겠네요.
다른 후기
아트에 대해 얘기하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해 말합니다. 모더니즘은 잠깐 얘기하고 말고...(문제도 안나옴)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해 얘기하는데요... conceptual art라는게 칠판에 뜨고 earth work 과 site work이 나옵니다... conceptual art는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 earth work은 자연을 이용한 대규모 예술이라고 생각하심됩니다... natural material을 이용해 만들고 거의 영원히 존재할 수 있습니다. site work은 특정한 장소를 이용해하는 예술이고요... 보통 temporary하다고 합니다... 문제에 earth work과 site work의 차이에 대해 2가지 고르는 문제 나옵니다. permanent와 temporary는 분명한데 하나는 잘 모르겠네요...
확실한 것은 19인가 20세기(예술엔 문외한이라 몇 세기였는지?) 미술의 양대 조류에 modernism과 post modernism이 있는데 오늘 강의에서는 post modernism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다고 함.
내용은 post modernism이 두가지가 있는데 earth work 이랑 site work(칠판에 써줍니다) 두가지의 차이점에 대한 문제가 나왔구요 두가지 클릭하는 문제 많이 나왔습니다..
60년대 말이후 나타난 Earth Art와 Site Art에 대한 질문
두 예술형태의 공통점(2가지, 답: 모든 사람은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예술은 보는 사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그 담은 생각이 잘 안나네요.
오늘은 slide를 먼저 보겠다. 내가 생각하는 slide는 여러 가지 다양성에 대해 idea를 준다.
20세기 후반에 취했던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왜 다양한지 background를 알아보자.
20세기 art에서 art의 발전에 대해 두가지 기간으로 나눈다.
1) modernism : 전에 얘기했다. 60년대 중반까지 계속됬던 형태다.
2) post-modernism : 60년대 중반이후 일어나서 현재까지 유행하는 형태이다.
오늘은 post-modernism에 대해서 얘기해 보겠다. post-modernism은 60년대 이후에 나왔던 경향으로 modernism의 견해에 도전한다. post-modernism 중의 하나는 conceptual art 라는 것이 있다. 이는 idea 그 자체를 예술로 본다. 예술가들은 idea를 concept처럼 학술인지, 문건인지,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는데에 사용된다. 그 예로서 word works 란게 있다. slide 작품중 하나가 복사해서 사전의 표제로 확대됬다. 이 작품은 어떤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전통적인 개념으로 보는게 아니다. 여러 가지 예술적 요소는 시각적으로 (visual element) 볼수 없다. art는 본래 개념자체이기 때문이다. 그 자체가 예술이 아니다. 또 다른 방향은 전통적인 생각을 거부한다. art는 사고 파는 상품이라는 것을 거부한다. 보는 사람의 경험이 진짜 예술의 정수이기 때문이다. art gallery의 상업주의를 반대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취했던 흥미로운 두 개 는 earthworks 와 site works이다. 작품접근방식은 감각을 환경의 일부로 본다. 보는 사람이 1960년대 후반처 럼 조작을 시작해서 땅 그자체로 커다란 작품을 형성한다. 그들은 natural material (땅,바위..)를 사용한다. 또 없애서 조작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즉, 더하건 빼건간에 final creation 은 usually permanent 한다.
문제 1. 교수가 오늘 설명한 것에 대해 추가로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학생들 보고 어떻게 하라고 했는가? (교수가 도서관에 무슨 자료를 마련해 두었으니 가서 참고하라는 말이 나옵니다. 하지만 답에는 도서관이라는 말이 없으니 유의)
문제 2. 포스트 모더니즘 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두개 고르는 것(예술은 사고 파는 것이 아니다, 감상자가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문제 3. mainly idea? post modernism 1. What does the professor mainly discuss ? - The art forms of post-modernism
문제 4. earth work를 어떻게 만들었는가? 답>landscape에 추가하거나 잘라내는 방법을 골랐고요,
문제 5. earth work과 site work의 차이는(2click) 인공적인 재료를 사용했는가, 얼마나 오랫동안 보존되는가
문제 6. In what two ways do earthworks and site works differ ?
- earthworks : permanent, use natural material
- site works : temporary, use manufactured material
문제 7. According to the professor, why did the artists who created earthworks and site works reject traditional
art forms ? - To rebell against commercialism of art. (상업주의를 반대)
문제 8. post modernism은 무엇에 반대했는가? 상업주의
문제 9. Ecology Class : panther
4. Ecology Class
발음이 거의 팬서라고 합니다.
육식동물에 대한 사냥열기와 인간에 의한 삼림 벌채로 인해 플로리다 퓨마가 살 공간이 점점 줄어서 ****년도에는 30마리만 남아 있었다. 그래서 친족결혼(?) 하다보니 유전자의 다양성이 감소하여.. 열성형질(recessive trait?)이 잘 발현하게 되었다..그 예로 kinked tail이 있는데.. 이런 꼬리를 가진 녀석들이 점점 늘더라.. 그래서 과학자들이 많이 비슷한 유전자열을 가진 텍사스 쿠거 암컷을 데려다가 교접시켰더니 이런 특징들이 사라지게 되었다..이 텍사스 쿠거는 플로리다 퓨마와 많이 비슷해서 이런 교배가 가능했다.. 암컷만 데려간 이유는 수컷은 영역다툼을 하기 때문이다. 플로리다 퓨마의 특징이 사라진다며 이러한 교배에 반대하는 사람도 있지만 과학자들 말로는 이녀석들 생긴거만 좀 틀리지 유전적으로는 한 종이나 다름없다고 하더라..
★주제는? 멸종되어가는 동물을 과학자들이 보호한다(문제).
★<문> 왜 암컷만 데려왔나? - 여자동물은 남자동물처럼 영역싸움을 안한다.
★<문> 학자들이 무얼 걱정했냐? - 특유성이 없어진다..
문) Panther(퓨마, 아메리카 표범)들이 거의 멸종하다시피 하게 된 이유? (2개) - 인간들의 무분별한 사냥(hunting)과 자연훼손(development)
문) 어떤 사람들이 들은 반대하는 이유는? - 팬더의 distinguish한 특징을 잃어 버릴지 모르니까.
문) kinked tail는 무슨 예인가? 열성 유전,
다른 후기
팬더Panther(퓨마, 아메리카 표범) 이야기
팬더들이 인간의 남용된 포획때문에 개체수가 줄고 생태학자들이 그 개체수 보존하기 위해 얘들을 cougar(쿠거, 퓨마) 무리에 섞었는데 뭐가 어떻게 되었다는 거였습니다...ㅠ_ㅠ 문제는 female팬더인지 Cougar인지를 아마 팬더일겁니다 쿠우거 무리에 풀어놓은 이유는.. 저는 영역 다툼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대답했고 그리고 ★Panther(퓨마, 아메리카 표범)들이 거의 멸종하다시피 하게 된 이유를 두개 고르는 문제에서는 인간들의 막무가내식 사냥과 자연의 훼손을 골랐습니다 그리고 팬더들의 꼬리에 관한 문제가 있는데 문제랑 답이 기억이 안나네요...
★주제는 멸종되어가는 동물을 학자들이 보호한다(문제). 플로리다의 팬다가 멸종되어가길래 과학자들이 텍사스의 여자 동물을 데려와 교접을 시켰더니 열성 유전인 T~꼬리가 없어졌다.. 그러나 몇몇학자들은 특유성이 없어진다 걱정, 하지만 거의 같은 유전자열이라 상관없다..
1. 주제는 멸종되어가는 동물을 과학자들이 보호한다
2. T~꼬리는 무슨 예인가? - 열성 유전,
3. 왜 여자동물만 데려왔나? - 여자동물은 남자동물처럼 영역싸움을 안한다.
4. 학자들이 무얼 걱정했냐? - 특유성이 없어진다..
★주제는? 멸종되어가는 동물을 과학자들이 보호한다(문제).
★<문> 왜 암컷만 데려왔나? - 여자동물은 남자동물처럼 영역싸움을 안한다.
★<문> 학자들이 무얼 걱정했냐? - 특유성이 없어진다..
문) Panther(퓨마, 아메리카 표범)들이 거의 멸종하다시피 하게 된 이유? (2개) - 인간들의 무분별한 사냥(hunting)과 자연훼손(development)
문) 어떤 사람들이 들은 반대하는 이유는? - 팬더의 distinguish한 특징을 잃어 버릴지 모르니까.
5. Sherman Act
교수님: 20세기 초에 Sherman act가 통과했다. 큰 회사의 monopoly를
막기 위하여.
여; 근데요, 왜 더 일찍 하지 않았나요?
교수님: 그건 말이지.. 사람들이 서로 뭐가 문제인 줄 몰랐거든. 그러니까
법을 통과시킬 수가 없었지
남: 그런 비지니스도 정부에 로비할 수 있지 않나요?
교수님: 그렇지. 그런데 회사들이 견제하고 어쩌고 하느라 그런거지
남: 그런 act가 있었다면 더 좋은 거잖아요. 자기의 최대의 라이벌을
견제할 수 있으니까
다른남: 근데 책에는 그런 로비보다는 그떄 그떄 뽑힌 대통령의 방침이
더 영향을 끼친다던데요
교수가 샤먼정책에 대해 아는 사람 이야기하라고 질문합니다. 한학생이 샤먼정책이라는게 독점(monopoly)을 막기 위한 것이어서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시기는 정확이 기억안남, 문제와 상관없음),매우 좋은 것이라고 합니다. 다른학생이 그러면 왜 진작에 더 일찍 시행되지 않았느냐고 묻습니다. 교수가 대답하기를 아이디어는 일찍부터 있었지만 정부가 적극적으로 강제시행(enforce)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초기의 대기업들이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정되기 힘들었으나 프레지던트는 지지했다. 다른학생이 그렇다면 나중에 시행을 하게된 계기는 무엇이냐고 묻습니다. 또 다른학생이 대기업들한테도 뭔가 좋은점이 있으니까 그랬을꺼라고 자기생각을 얘기합니다. 교수가 그말을 받아서, 맞다 제도적으로 이러이러하게 시행되었다고(정확히 기억안남) 정리해주었습니다. 그런데 법이 제정되고도 잘 지켜지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담당할 부서가 없었고 기업이 잘 지키지 않아서였다.
Q) 주제는? 독점(monopoly)방지를 위한 규제 이야기
Q) 샤먼 act는 어떤 법이냐? against monopoly
Q) 샤먼정책에 대한 정부의 태도는? 강제시행을 하지 않았다
Q) 샤먼정책이 초기에 환영받지 못한 이유는? 대기업들이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Q)셔먼액트가 실효를 거두지 못한이유? (2개고르기) 1,3
1.의회의 반대 2.대통령의 거부 3.기업의 방해 4.담당부서가 없어서
2) 책에서는 머라고 한답디까? 대통령이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한답디다.
3) 왜 더 일찍 law를 pass 하지 않았답디다? 서로가 goal이 틀려서 agree하지 않았답디다
<문> 셔먼 액트는 무었이었나? against monopoly
<문> 처음 샤먼액트가 시행되었을 때 반응 두 가지 골라라
<문> 입법후 처음에 잘 실행되지 않은 이유?
문제) 왜 1890년이 되어서야 샤먼법이 시행 되었는가? 입법이 그렇게 늦게 된 이유?
문제) text에는 어떻게 샤먼법이 정의 되어 있는가?
[참고 자료] Sherman Antitrust Act
1890, first measure passed by the U.S. Congress to prohibit trusts; it was named for Senator John Sherman . Prior to its enactment, various states had passed similar laws, but they were limited to intrastate businesses. Finally opposition to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large corporations and in combinations of business concerns led Congress to pass the Sherman Act. The act,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ower of Congress to regulate interstate commerce, declared illegal every contract, combination (in the form of trust or otherwise), or conspiracy in restraint of interstate and foreign trade. A fine of $5,000 and imprisonment for one year were set as the maximum penalties for violating the act. The Sherman Act authorized the federal government to institute proceedings against trusts in order to dissolve them, but Supreme Court rulings prevented federal authorities from using the act for some years. As a result of President Theodore Roosevelt's 'trust-busting' campaigns, the Sherman Act began to be invoked with some success, and in 1904 the Supreme Court upheld the government in its suit for dissolution of the Northern Securities Company. The act was further employed by President Taft in 1911 against the Standard Oil trust and the American Tobacco Company.
In the Wilson administration the Clayton Antitrust Act (1914) was enacted to supplement the Sherman Antitrust Act, and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FTC) was set up (1914). Antitrust action sharply declined in the 1920s, but under President Franklin Delano Roosevelt new acts supplementary to the Sherman Antitrust Act were passed (e.g., the Robinson-Patman Act ), and antitrust action was vigorously resumed. As a result of a suit filed in 1974 under the Sherman Antitrust Act, the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AT&T) monopoly was broken up in 1982.
The Hart-Scoss-Rodino Antitrust Improvement Act (1976) made it easier for regulators to investigate mergers for antitrust violations, but few mergers were blocked during the merger boom of the 1980s, when the FTC and Justice Dept. adopted a looser interpretation of antitrust legislation. By the 1990s, still a time of large corporate mergers, the FTC became more litigious in antitrust actions, and the Justice Dept. aggressively pursued the Microsoft Corp. (see Gates, Bill ). Antitrust legislation is primarily regulated by the Antitrust Division of the Dept. of Justice and the FTC. U.S. corporations with international operations also face antitrust scrutiny from European Union regul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