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 구포와 강서 대저를 잇는 구포다리(구포교). 많은 추억과 애환을 남겼으나 두 차례 붕괴를 겪고 철거될 운명을 맞고 있다. 구포다리 왼쪽은 부산지하철 3호선 교량이다. 박창희 기자 |
|
물의 공격은 무서웠다. 70여년을 굳게 앙버티던 무쇠 다릿발이 순식간에 뽑혀나갔다. 우지끈~ 19번 교각이 붕괴되자 길이 15m짜리 상판 4개가 연달아 떨어졌다. 노도처럼 밀려든 강물은 상판과 교각의 철근, 콘크리트를 곤죽으로 만들어 닥치는대로 집어삼켰다.(2003년 9월 14일)
2년 뒤 다시 홍수가 닥쳤다. 이번에는 21번 교각이 엿가락처럼 휘어져 부서졌고 상판 하나가 속절없이 또 날아갔다.(2005년 9월 17일)
수모였다. 그렇게 견고하다던 일제의 근대 기술이 아닌가. 통짜 교각받침에 기둥 3개를 1조로 엮어 교각 56개를 촘촘히 세운 플래이트 거더 게루바식 판항교(鈑桁橋)가 이렇게 무너지다니….
동강난 구포다리(구포교). 부산 경남을 처음 이었던 다리. 눈물과 추억, 소통의 근대화의 산물, 표지.
|
|
|
건설 직후의 구포다리(1935년도). 사진 낙동향토문화원 제공. |
|
이제 철거는 기정 사실로 돼 있다. 2003년 처음 무너졌을 때만 해도 다시 연결해 인도교라도 활용하자는 여론이 높았다. 구포초등학교 총동창회가 앞장 섰고 지역주민들이 동조했다. 싫든 좋든 근대의 기념물이고, 추억의 산실이 되어 있으니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나 2차 붕괴가 있자 이런 목소리는 급속히 잦아들었다. 계속 무너지는 다리를 붙잡고 끝까지 지키자고 요구하는 것은 허망한 일이었다. 강물은 매정했다. 허술함이나 빈틈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부산시는 이 때다 싶었던지, 다대항 배후도로 통과를 구실로 구포 쪽의 다리목과 교각 5개를 철거했다. 이로써 구포다리는 확실한 반쪽이 되었다.
지난 연말 철거 용역을 끝낸 부산시는 철거 비용(85억 원) 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부산시는 철거 후 지하철 구포역사에 간단한 사료전시관을 만들 계획이다.
길이 1060m의 구포다리는 두 차례의 홍수로 88m가 붕괴되었고, 다대항 배후도로 통과를 구실로 200m가 뜯겼다. 남은 것은 수중부 211m, 강서 대저쪽 고수부지 구간 561m. 무너지고 동강난 모습은 안쓰럽다 못해 처절하기까지 하다. 홍수에 유린당하고 인간에 버림받은 구포다리는 냉큼 죽어지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구포다리에서 사랑을 나누고 애환을 가졌던 사람이 하나 둘이겠냐만 이래저래 구포다리는 곧 없어질 운명인가 보다. (9.6자 국제신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