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아래 글 쓰신분 내용보고 인터넷에서 함 찾아봤습니다.
우리집에 달린 샤시 유리는 전부 A종 II류 던데요.. 이거 교체 해달라고 해야 하나요?
다들 확인해 보셔야 할듯 합니다.
복층유리(KS L 2003) KS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갖추고 최소한 3개월간의 생산 및 판매 실적이 있어야 한다.
1. 제조설비
1) 절단작업설비 - 자동절단기 또는 절단테이블, T형절단기
2) 세척작업설비 - 수직세척기

3) 스페이서 가공설비 - 스페이서 가공기(없어도 됨)
4) 건조제봉입설비 - 건조제 봉입기
5) 스페이서 조립설비 - 스페이서절단기 또는 오토밴딩기
6) 접합작업설비 - 판프레스, 부틸기
7) 접착작업설비 - 오토실링기 또는 치오콜믹서기
8) 마크부착설비 - 마킹기
2. 검사설비
1) 치수측정기 - 줄자, 금속제곧은자, 버니어캘리퍼스, 마이크로미터
2) 이슬점측정기 - 이슬점측정기, 드라이 아이스 제조기
3) 단열시험장치 - 공인기관시험성적서 대체
4) 가속내구성 시험장치 - 공인기관시험성적서 대체
5) 분광광도계 - 공인기관시험성적서 대체
3. 품질관리담당자
품질경영산업기사, 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기술사, 품질관리담당자교육(한국표준협회 100시간)중에서 1가지 이상의 자격 보유자
4. 교육훈련
1) 대표자(경영책임자) : 2일, 한국표준협회
2) 부과장 : 3일, 한국표준협회, 최소단위 부서장의 50%(20인 이하 소기업일 경우에는 1명만 받아도 됨)
이상이 복층유리(ks L 2003) KS인증을 받기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필수 사항입니다.
복층유리의 종류는 A종, B종, C종으로 구분되고 가속내구성에 따라 I류, II류, III류로 구분되나 I류를 인증받은 기업은 없고 거의 대부분이 II류이며, 소수의 업체만이 III류를 인증받았다.
종류에 따른 유리 특징을 정리하면
A종 II류 : 일반 유리(투명, 블루, 브론즈, 미스트, 강화, 배강도)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복층유리로 스페이서(간봉)은 6, 8, 12, 14, 16mm 등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B종 II류 : 일면에 로이유리가 포함된 복층유리로 스페이서는 어떠한 두께의 제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꼭 일면이상에 로이유리가 포함되어야 하며, 하드로이, 소프트로이 등 어떤한 유리도 무방하다.
C종 II류 : 일면에 반사유리가 포함된 복층유리로 스페이서는 어떠한 두께의 제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꼭, 일면이상에 반사유리가 포함되어야 한다.
가속내구성 시험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유리 기술연구소에 시험의뢰하여 발급받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으로 보면 A종은 일반, B종은 로이, C종은 반사로 분류되며 최근 복합적인 기능성 복층유리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반사+로이유리가 적용되었을 때는 열저항을 우선하여 B종으로 들어간다. 이 외에도 배강도유리를 적용하여 복층유리 제작 시 표기사항에 강화유리가 포함되어 강화 및 배강도 유리를 사용 복층유리 제조 시 강화 및 배강도 유리 명칭 또는 기호를 반드시 복층유리에 표기하여야 한다.
이중 B종은 저방사 유리를 재료로 한 복층유리에 해당함을 명시했다.
검사설비 관리부분은 현행 3, 4, 5의 설비는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나 사용 계약에 의거 외부설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 시험주기는 년 1회 이상으로 한다는 부분에서 시료는 인증 받은 종류 중 최상의 품질수준 제품을 대상으로 하며 시험주기는 년 1회 이상으로 한다는 부분이 추가 됐다.
KS 표준 개정에 따른 준비 사항으로는 매제품마다 표시하는 표시 도안의 변경으로 중공층 구분이 필요한 경우와 필요 없는 경우, 기호만 표기하는 경우로 나뉜다. 포장단위 표시사항은 기존 1종 Ⅱ류, 2종 Ⅱ류 표시에서 A종 Ⅱ류로 변경된다. 1년 제품 심사, 정기심사 시 시료채취 기준은 단열복층유리, 태양열차폐복층유리 중 최상의 품질수준 제품을 시료로 채취한다. 이는 상위 인증을 하위인증에 대체할 수 있는 부분으로 A, B, C종 인증을 모두 보유한 업체는 B종의 U3-2, C종의 E5만 시료를 채취한다. 같은 종에서의 상위 종이 하위 종까지 대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