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硏 “인하 확신땐 추후 대가” 경고 은행위기 빠른 대처로 금융안정 성과 잡히지 않는 물가안정 다시 초점둘듯
블랙록 본사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게티이미지]
“올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없을 겁니다.” (웨이 리 블랙록 투자연구소 수석투자전략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블랙록이 최근 연준의 금리 전망 논란에 대해 경고를 내놓았다. 웨이 리 수석투자전략가를 비롯한 블랙록 투자연구소 전략가들이 28일(현지시간) 고객들에게 보낸 투자 서신에서 “올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
블랙록이 투자자들의 ‘인하’ 전망과 달리 여전히 물가가 잡히지 않고 있다는 파월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블랙록은 서신에서 “경기 침체가 닥쳤을 때 중앙은행이 서둘러 경제를 구제하는 것은 오래된 교본”이라며 “이제 그들(연준)은 끈적끈적한 인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해 경기침체를 야기하고 있고, 그것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없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준은 우리 예상보다 더 심한 신용 경색이 발생하고 훨씬 더 깊은 경기 침체가 발생할 때에만 금리 인하를 이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연준의 금리 인하를 너무 확신하고 있으며 추후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내놓았다.
이 같은 주장은 연준이 2020년 촉발된 코로나19 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무차별적으로 살포했던 달러를 회수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는 불가항력적인 외생변수였기 때문에 연준은 제로금리에 달하는 역대 최고 수준의 초완화 정책으로 경기 충격 최소화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늘 급격한 정책의 변화는 부작용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코로나19로 너무 많이 풀려버린 달러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초고물가)’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이에 연준은 서둘러 작년부터 서둘러 금리 인상에 나서게 됐다. 하지만 금리는 너무 빠르게 올려도 탈이 난다. 특히 재무구조가 취약한 곳부터 균열을 일으키게 됐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과 같은 군소 지역 은행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특히 SVB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로 꼽히는 미 장기국채에 대한 투자를 늘렸다가 뒤통수(?)를 맞았다.
연준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는 초단기 금리다. 이에 장기금리에 앞서 단기금리에 먼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연준 금리 인상에 따라 미 단기국채 금리가 빠르게 치솟았고 이를 장기국채 금리가 따라가지 못하다 보니 장단기 금리 역전이 벌어진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SVB를 시작으로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까지 이어지자 은행권의 시스템 리스크 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됐다. 이에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실제로 지난주 FOMC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인상하는 것에 그쳤고, 점도표를 통해 연내 한 차례 정도만 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시장은 환호했고, 연준이 생각보다 금리 인상 의지가 높지 않음을 확인했다면서 한 발 더 나아가 올해 안으로 금리 인하에도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을 쏟아냈다.
하지만 SVB에 이어 CS까지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위기 해결에 발 빠르게 나섬에 따라 불안 상황은 일단 성공리에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 금융안정과 물가안정 등 두 가지 맨데이트(책무) 수행을 신경써야 하는 연준으로서는 만일 금융안정이 소기의 성과를 이뤘다면 다시 물가안정을 초점을 둘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에 연준의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고, 이는 최근 미 국채 금리 반등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