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목적 |
||||||||||||||||||||||
|
||||||||||||||||||||||
Ⅱ. 자격구분 |
||||||||||||||||||||||
|
||||||||||||||||||||||
Ⅲ. 시행근거 |
||||||||||||||||||||||
1. 전산세무회계자격시험
2. 세무회계자격시험
|
||||||||||||||||||||||
Ⅳ. 검정요강 |
||||||||||||||||||||||
[전산세무회계자격시험 요강] |
1. 검정기준
종목 및 등급 |
검 정 기 준 |
전산세무 1급 |
대학 상급수준의 재무회계와 원가회계, 세무회계(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소득세)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기업체 세무회계담당책임자로서 세무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무회계 전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전산세무 2급 |
대학 중급수준의 재무회계와 원가회계, 세무회계(부가가치세, 소득세)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기업체 세무회계관리자로서 세무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무회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전산회계 1급 |
고등학교 상급 또는 대학 초급수준의 회계원리와 원가회계, 세무회계(부가가치세 중 세금계산서 관련 부분에 한함)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기업체의 초급관리자로서 세무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무회계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전산회계 2급 |
고등학교 수준의 회계원리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기업체의 세무회계 업무보조자로서 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계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2. 검정방법
종목 및 등급 |
시험방법 |
시험과목 (평가범위 요약) |
평가 |
제한 |
출제방법 |
전 산 세 무 1 급 |
이론시험 |
(재무회계)
당좌, 재고, 유·무형자산, 유가증권과 투자유가 증권, 외화환산,
부채, 자본금, 잉여금, 자본조 정, 수익과 비용, 회계변경
(원가회계) 원가의 개념, 요소별·부문별 원가계산, 개별·종 합(단일, 공정별, 조별, 등급별)원가계산, 표준 원가계산 (세무회계)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종합소득세 액의 계산 및 원천징수부분에 한함), 조세특 례제한법(상기 관련세법에 한함) |
30% |
90분 |
이론시험
:
객관식 4지선다형 실무시험
:
|
실무시험 |
(재무회계·원가회계)
거래자료 입력, 결산자료입력
(부가가치세) 매입·매출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 신고서 의 작성 (원천제세) 원천제세 전반 (법인세무조정) 법인세무조정 전반 |
70% |
|||
전 산 세 무 2 급 |
이론시험 |
(재무회계)
당좌, 재고, 유·무형자산, 유가증권과 투자유가 증권
부채, 자본금, 잉여금, 수익과 비용
(원가회계) 원가의 개념, 요소별·부문별 원가계산, 개별·종 합(단일, 공정별, 조별, 등급별)원가계산 (세무회계)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종합소득세액의 계산 및 원천징수부분에 한함) |
30% |
90분 |
|
실무시험 |
(재무회계·원가회계)
초기이월, 거래자료 입력, 결산자료
입력
(부가가치세) 매입·매출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신고서 의 작성 (원천제세) 원천징수와 연말정산 기초 |
70% |
|||
전 산 회 계 1 급 |
이론시험 |
(회계원리)
회계의 기본원리
당좌·재고자산,
유·무형자산, 유가증권,
부채,
자본금, 잉여금, 수익과 비용
(원가회계) 원가의 개념, 요소별·부문별 원가계산, 개별·종 합(단일, 공정별)원가계산 (세무회계) 부가가치세법(과세표준과 세액) |
30% |
60분 |
|
실무시험 |
(기초정보의
등록·수정) 초기이월, 거래처 등록, 계정과 목의 운용 (거래자료의 입력) 일반전표 입력, 결산자료 입력(제조업 포함) (부가가치세) 매입·매출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신고서 의 조회 (입력자료 및 제장부 조회) |
70% |
|||
전 산 회 계 2 급 |
이론시험 |
(회계원리) 회계의 기본원리, 당좌·재고·유형자산, 부채, 자본금, 수익과 비용 |
30% |
60분 |
|
실무시험 |
(기초정보의
등록·수정) 회사등록,
거래처 등록, 계정과 목 및 적요등록
(거래자료 입력) 일반전표 입력, 입력 자료의 수정·삭제, 결산자료 입력(상기업에 한함) (입력자료 및 제장부 조회) |
70% |
|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이 론 |
재무회계(10%) |
1. 재무회계의 이론적 기초 | 회계의 기본개념, 회계의 원칙 |
2.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기타 채권 | ||
3. 재고자산 | 재고자산의 일반, 원가결정, 원가배분, 재고자산의 평가 | ||
4. 유형자산 | 유형자산의 일반, 취득시의 원가결정, 보유기간 중의 회계처리, 유형자산의 처분, 감가상각과 감모상각 | ||
5. 무형자산 | 무형자산의 취득 및 상각 | ||
6. 유가증권과 투자유가증권 | 유가증권의 일반, 유가증권의 회계처리, 투자유가증권(투자주식, 투자채권) | ||
7. 부채 | 부채의 일반,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사채 | ||
8. 자본 | 소유주 지분, 자본금,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
9. 수익과 비용 | 수익과 비용의 인식, 수익과 비용의 분류 | ||
10.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 회계변경, 오류수정 | ||
11. 이연법인세 회계 | 이연법인세차, 이연법인세대 | ||
12. 외화 환산회계 | 외화환산의 방법, 외화환산손익과 외환차손익 | ||
원가회계(10%) |
1. 원가의 개념 | 원가의 개념 | |
2. 원가의 분류 |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 ||
3. 원가의 배분 | 제조간접비의 배분방법 | ||
4. 개별원가계산 | 개별 원가계산의 절차와 방법, 작업폐물과 공손품의 회계처리 | ||
5. 종합원가계산 |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완성품환산량, 재공품의 평가방법, 종합원가계산의 종류(단일종합원가계산, 공정별종합원가계산, 조별종합원가계산, 등급별종합원가계산, 연산품원가계산) | ||
6. 표준원가계산 | 표준원가의 의의, 차이분석 | ||
세무회계(10%) |
1. 법인세법 | 익금의 계산, 손금의 계산, 준비금 및 충당금의 손금산입, 손익의 귀속시기 등, 비과세, 소득금액 계산의 특례, 세액의 계산, 신고 및 납부, 결정 경정 및 징수, 세액의 징수 및 환급 등 | |
2. 부가가치세법 | 총칙, 과세거래, 영세율적용과 면세, 과세표준과 세액, 신고와 납부, 경정징수와 환급 | ||
3. 소득세법 | 종합소득세액의 계산, 원천징수와 연말정산의 관련 부분 | ||
4. 조세특례제한법 | 각종 준비금과 충당금의 손금산입과 익금산입, 중소기업 투자세액공제,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세액의 감면, 연구 및 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기타 근로소득 연말정산의 관련 부분과 부가가치세신고 관련부분, 최저한세 | ||
실 무 |
재무회계 및 원가회계(15%) |
1. 거래자료의 입력 | 고급회계자료의 입력, 자본거래 등의 자료입력, 국고보조금 등의 자료입력, 외화환산 등의 자료입력 |
2. 결산자료의 입력 | 감가상각 및 법인세의 정리, 기타 결산자료의 정리, 결산자료의 입력, 잉여금처분사항의 입력 | ||
3. 입력자료 및 제 장부의 검토 | 제장부의 검토 및 수정, 재무제표의 오류원인 검토, 재무제표의 수정 | ||
부가가치세(15%) |
1. 매입ㆍ매출거래 자료의 입력 | 유형별 매입ㆍ매출거래 자료의 입력 | |
2.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작성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의 제계산, 매입세액의 안분계산 및 정산, 가산세 적용, 각종 부속서류 작성 | ||
원천제세(10%) |
1. 사원등록 및 급여자료 입력 | 소득(인적)공제 사항등록, 수당 및 공제사항의 등록, 급여자료 입력 | |
2. 근로소득의 원천징수와 연말정산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연말정산 추가자료 입력,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종(전)근무지 소득 합산 신고 | ||
3. 퇴직소득의 원천징수 | 퇴직소득 자료입력,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 ||
4.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 사업소득 자료입력,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 ||
5. 기타소득의 원천징수 | 기타소득 자료입력,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 ||
법인세무조정(30%) |
1. 기장자료의 세무조정 사항의 검토 | 회사기본사항의 검토, 재무제표의 검토, 수입금액의 검토 | |
2. 과세표준세액신고서 작성 | 원천납부세액 명세서, 공제ㆍ감면세액의 계산,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계산서 작성 | ||
3. 과목별 세무조정서식 작성 | 소득금액 조정합계표, 과목별 세무조정계산서의 작성, 특별비용의 조정 | ||
4. 특정서식의 검토 및 조회 | 특별비용의 조정, 기타서식의 작성, 특정서식의 검토 및 조정 |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이 론 |
재무회계(10%) |
1. 회계의 이론적 기초 | 회계의 기본개념, 회계의 원칙 |
2.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기타의 채권 | ||
3. 재고자산 | 재고자산의 일반, 원가결정, 원가배분, 재고자산의 평가 | ||
4. 유형자산 | 유형자산의 일반, 취득시의 원가결정, 보유기간 중의 회계처리, 유형자산의 처분, 감가상각 | ||
5. 무형자산 | 무형자산의 회계처리 | ||
6. 유가증권과 투자유가증권 | 유가증권의 일반, 유가증권의 매입과 처분, 투자유가증권(투자주식, 투자채권) | ||
7. 부채 | 부채의 일반, 매입채무와 기타의 채무, 사채 | ||
8. 자본 | 자본금,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
9. 수익과 비용 | 수익과 비용의 인식, 수익과 비용의 분류 | ||
10.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 기본적인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 ||
원가회계(10%) |
1. 원가의 개념 | 원가의 개념과 분류 | |
2. 요소별 원가계산 |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제조간접비의 배부 | ||
3. 부문별 원가계산 | 부문별 원가계산의 기초, 부문별 원가계산의 절차 | ||
4. 개별원가계산 | 개별 원가계산의 기초, 개별 원가계산의 절차와 방법, 작업폐물과 공손품의 회계처리 | ||
5. 종합원가계산 |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완성품환산량, 재공품의 평가방법, 종합원가계산의 종류(단일종합원가계산, 공정별종합원가계산, 조별종합원가계산, 등급별종합원가계산) | ||
세무회계(10%) |
1. 부가가치세법 | 총칙, 과세거래, 영세율적용과 면세, 과세표준과 세액, 신고와 납부, 경정징수와 환급, 재활용폐자원 등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매입세액공제 특례 | |
2. 소득세법 | 종합소득세액의 계산, 원천징수와 연말정산의 관련 부분 | ||
실 무 |
재무회계 및 원가회계(35%) |
1. 초기이월 | 전기분 재무제표의 검토ㆍ수정 |
2. 일반전표 입력 | 일반거래 자료의 추가입력, 거래 추정에 의한 자료입력 | ||
3. 입력 자료의 검토ㆍ수정 | 오류의 발생원인 검토ㆍ수정 | ||
2. 결산자료의 입력 | 결산자료의 정리, 결산자료의 입력, 잉여금처분사항의 입력 | ||
3. 입력자료 및 제 장부의 조회 | 제장부의 검토 및 조회 | ||
부가가치세(20%) |
1. 매입ㆍ매출거래 자료의 입력 | 유형별 매입ㆍ매출거래 자료의 입력 | |
2. 부가가치세신고서의 작성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의 제계산, 매입세액의 안분계산 및 정산, 가산세 적용, 각종 부속서류 작성 | ||
원천제세(15%) |
1. 사원등록 및 급여자료 입력 | 소득(인적)공제 사항등록, 수당 및 공제사항의 등록, 급여자료 입력 | |
2. 근로소득의 원천징수와 연말정산 기초 | 갑종근로소득세의 산출,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연말정산 추가자료 입력,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이
론 |
회계원리(15%) | 1. 회계의 기본원리 | 회계의 기본개념, 회계의 순환과정, 결산 및 결산절차 |
2.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기타의 채권 | ||
3. 재고자산 | 재고자산의 개요, 상품계정의 회계처리, 재고자산의 평가 | ||
4. 유형자산 | 유형자산의 개요, 취득시의 원가결정, 보유기간 중의 회계처리, 유형자산의 처분, 감가상각 | ||
5. 무형자산 | 무형자산의 개요, 무형자산의 상각 | ||
6. 유가증권 | 유가증권의 개요, 유가증권의 매입과 처분 | ||
7. 부채 | 부채의 개요, 매입채무와 기타의 채무 | ||
8. 자본 | 자본금,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
9. 수익과 비용 | 수익과 비용의 인식, 수익과 비용의 분류 | ||
원가회계(10%) | 1. 원가의 개념 | 원가의 개념과 종류 | |
2. 요소별 원가계산 |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제조간접비의 배부 | ||
3. 부문별 원가계산 | 부문별 원가계산의 기초 | ||
4. 개별원가계산 | 개별 원가계산의 기초 | ||
5. 종합원가계산 |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종합원가계산의 종류(단일종합원가계산, 공정별종합원가계산) | ||
세무회계(5%) | 1. 부가가치세법 | 과세표준과 세액(세율, 거래징수, 세금계산서, 납부세액) | |
실
무 |
기초정보의 등록,수정(15%) | 1. 거래처등록 | 거래자료 입력시 거래처 추가등록 |
2. 계정과목의 운용 | 계정과목·적요의 추가설정 및 수정ㆍ변경, 경비 구분별 계정과목 운용(제조경비, 판매관리비), 계정과목의 통합 | ||
3. 초기이월 | 전기분 거래처별 채권ㆍ채무의 잔액 등록 | ||
거래자료의 입력 (30%) | 1. 일반전표의 입력 | 거래내용의 지문 또는 증빙에 의해 일반전표의 입력 | |
2. 입력자료의 수정·삭제 등 | 입력된 자료를 검토하여 거래처·계정과목·적요·금액 등의 수정 및 삭제, 대차차액의 발생원인을 검토하여 정정 | ||
3. 결산정리사항 입력 | 결산자료의 입력(제조업 포함) | ||
4. 감가상각비 계산 | 유ㆍ무형자산의 감가상각비 계산 | ||
부가가치세(15%) | 1. 매입ㆍ매출전표의 입력 |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유형별(과세. 영세. 불공제 등)거래 자료의 입력 | |
2. 부가가치세 신고서의 조회 | 과세표준, 매출세액, 매입세액, 납부세액 등의 조회 | ||
3. 매입·매출처별 세금 계산서 합계표의 조회 | 특정 매입ㆍ매출의 거래건수ㆍ금액 등의 조회 | ||
입력자료 및 제 장부 조회(10%) | 1. 입력 자료의 조회 | 입력 자료의 검색, 대차차액의 원인 검토ㆍ수정 | |
2. 장부의 조회 | 계정과목이나 기간별 거래처의 잔액 조회, 건수·월계·누계 등의 조회 | ||
3.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도 | 계정별 원장과 거래처원장의 잔액 불일치 검토ㆍ수정, 재무제표의 표시방법 |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이
론 |
회계원리(30%) | 1. 회계의 기본원리 | 자산·부채·자본 및 수익·비용의 개념, 회계의 순환 과정, 결산 |
2.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 ||
3. 재고자산 | 재고자산의 개념과 종류, 상품계정 | ||
4. 유형자산 | 유형자산의 개념과 종류, 유형자산의 취득과 처분 | ||
5. 부채 | 부채의 개념과 종류, 매입채무 | ||
6. 자본 | 자본의 분류, 개인기업의 자본금 | ||
7. 수익과 비용 | 수익과 비용의 분류 | ||
실
무 |
기초정보의 등록·수정(20%) | 1. 회사등록 | 사업자등록증에 의한 회사등록 |
2. 거래처등록 | 거래처자료에 의한 거래처등록 | ||
3. 계정과목 및 적요등록 | 계정과목, 적요의 추가등록 또는 변경 | ||
4. 초기이월 | 전기분 재무제표를 보고 추가등록, 오류정정 | ||
거래자료의 입력(40%) | 1. 일반전표 입력 | 거래내용에 따른 일반전표의 입력 | |
2. 입력자료의 수정·삭제 등 | 입력 자료의 계정과목·금액 등 수정, 중복입력 자료의 삭제 | ||
3. 결산정리사항의 입력 | 결산정리 사항을 일반전표입력 메뉴에 입력(상기업에 한함) | ||
입력자료 및 제 장부 조회(10%) | 1. 전표입력 자료의 조회 | 입력되어 제공되는 자료에 대한 금액·건수·거래처 등을 조회 | |
2. 장부의 조회 | 특정계정과목·특정거래처·특정기간의 금액조회 |
[세무회계자격시험 요강] |
종목 및 등급 | 검 정 기 준 |
세무회계 1급 | 실무 다년간 경력자 수준의 세무회계 고급이론을 바탕으로 법인 및 대기업의 세무관리 실무책임자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세무회계 2급 | 실무 경력자 수준의 세무회계 중급이론을 바탕으로 대기업의 세무실무자 또는 중소기업의 세무책임자로서 세무전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세무회계 3급 | 초급 실무 경력자 수준의 세무회계 초급이론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세무실무자로서 세무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2. 검정방법
종목 및 등급 |
시험방법 | 시험과목 (평가범위 요약) | 평가비율 | 제한시간 | 출제방법 | |
세무 회계 1급 |
이론시험 | 세법1부 | (법인세법) 전항목 (부가가치세법) 전항목 |
100% | 100분 | 세법1부 : 주관식 세법2부 : 주관식 |
세법2부 | (국세기본법) 전항목 (소득세법) 전항목 (조세특례제한법) 전항목 (지방세법) (재산제세) |
|||||
세무 회계 2급 |
이론시험 | 세법1부 |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
100% | 80분 | 세법1부·2부 : 객관식 (25문항) 주관식 (5문항) |
세법2부 | (국세기본법)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
|||||
세무 회계 3급 |
이론시험 | 세법1부 |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
100% | 60분 | 세법1부·2부 : 객관식 (25문항) |
세법2부 |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
|
3. 평가범위
1) 세무회계1급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세법1부 | 법인세법 | 전 항 목 | 전항목에 대하여 이해도를 측정함 |
부가가치세법 | 전 항 목 | 〃 | |
세법2부 | 국세기본법 | 전 항 목 | 〃 |
소득세법 | 전 항 목 | 〃 | |
조세특례제한법 | 전 항 목 | 〃 | |
지방세법 | 취득세, 등록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주민세 전항목, 지방세의 구제제도, 위 각 세목의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사례 | 〃 | |
재산제세 | 상속세, 증여세 전항목 | 〃 |
2) 세무회계2급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세법1부 | 법인세법 | 각사업년도 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익금과 손금, 신고 및 납부, 손익의 귀속사업년도, 자산·부채의평가, 가산세, 원천징수, 특별부가세 | 법인의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계산과 과세표준의 계산 및 가산세제도를 측정함 |
부가가치세법 | 과세대상 및 납세의무자, 과세거래, 영세율 적용과 면세, 신고와 납부 및 세액의계산, 간이과세 | 영세율과 면세대상 및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방법을 측정함 | |
세법2부 | 국세기본법 | 국세의 종류 및 용어, 국세부과의 원칙, 세법적용의 원칙, 납세의무의 성립·확정·승계·납부의무의 소멸, 국세부과의 제척기간, 국세징수권의 소멸시효, 제2차납세의무 및 연대 납세의무, 수정신고, 경정청구, 심사·심판청구 | 국세기본법 전항목에 대하여 측정함 |
소득세법 | 소득의 종류와 소득금액, 사업소득금액의 계산, 세액공제, 소득금액계산의 특례, 소득공제, 종합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 산림소득의 과세표준과 세액계산, 원천징수, 가산세 | 소득별 소득금액의 계산과 과세표준 및 원천징수와 가산세 제도를 측정함 | |
조세특례제한법 | 중소기업, 기술 및 인력개발, 투자촉진, 기업구조조정, 지역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조세특례 | 중소기업의 조세지원제도와 기타 조세특례제도를 측정함 |
3) 세무회계3급
구 분 | 평가범위 | 세부내용 | |
세법1부 | 법인세법 | 납세의무자, 사업연도와납세지, 익금과손금의 불산입항목, 과세표준과세액의계산, 각사업년도의소득, 신고및납부, 중간예납, 원천징수, 가산금 | 법인의 각 사업년도 소득금액계산요령(익금과 손금항목을 중심으로)을 측정함 |
부가가치세법 | 납세의무자, 과세대상, 사업자등록, 재화와 용역의공급, 거래시기, 초보적인 과세표준의 금액과 세액의 계산, 세금계산서, 신고와 납부, 가산세, 간이과세 | 과세와 면세의 유형,과세표준의 계산 및 신고요령,과세유형별 신고 납부세액의 계산을 측정함 | |
세법2부 | 소득세법 | 납세의무자, 과세소득의범위, 과세표준과 양도소득금액의 계산(초보적), 소득공제, 세액계산, 가산세, 원천징수,과세표준의 신고와 자진납부 | 소득유형별 소득금액의 계산요령과 과세표준 및 세액의 계산을 측정함 |
조세특례제한법 | 중소기업, 기술 및 인력개발, 투자촉진,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조세특례 | 중소기업의 조세지원제도와 기타 조세특례제도의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와 관련된 기본적인 조세특례제한사항을 측정함 |
Ⅴ. 합격자 결정기준 |
||||||||||||||||||||||
|
||||||||||||||||||||||
Ⅵ. 응시자격기준 |
||||||||||||||||||||||
|
||||||||||||||||||||||
Ⅶ. 응시원서 접수방법 |
||||||||||||||||||||||
|
||||||||||||||||||||||
Ⅷ. 기 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