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 중 떡만큼 맛이 오묘한 말도 드물다. 종류만큼이나 뜻도 가지가지다. 곡식가루를 찌거나, 찐것을 치거나 빚어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떡이지만 쓰임새에 따라 의미가 천차만별이다. "일주일간 안감았더니 머리가 떡이 됐다"고 할 때 떡은 한데 뭉쳐 잘 펴지지 않는 머리카락을 가리키고, "떡 주무르듯 한다"면 자기마음대로 좌지우지 한다는 뜻이다. "떡을 친다"는 넘칠 정도로 양이 충분하다는 뜻이지만 남녀의 교합을 속되게 일컫는 말도 된다. "떡이 되도록 술을 마셨다"면 인사불성의 만취상태까지 갔다는 소리다. 그런가 하면 떡은 마약의 은어로 쓰이기도 한다.
의미가 다양한 만큼 떡에 얽힌 속담도 많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는 우연히 운좋은 기회에 하려던 일을 해치울때 쓰는 속담이다. "떡 본 김에 굿한다"는 속담도 있다. 매일 먹는 밥과 달리 떡은 별식이다. 그래서 "밥 먹는 배 따로 있고, 떡 먹는 배 따로 있다"는 속담이 있고, "떡 주고 뺨 맞는다"느니, "떡 달라는데 돌 준다"는 등 세상인심의 야박함을 빗댄 속담도 있다. "떡 해먹을 세상"이니 "떡 해먹을 집안"이라는 욕설도 있다. '이용호 게이트'니 뭐니 해서 요즘처럼 뒤숭숭하고 궂은 일만 계속 일어나는 세상이나 되는 일이 없는 집안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떡을 해놓고 고사라도 지내야 할 정도로 풀리는 게 없다는 의미다.
떡은 절기에 맞춰 먹는 대표적인 절식이다. 설날 가래떡. 대보름 약식. 한식 쑥떡. 단오 수리취편. 유두 증편. 칠석 백설기. 추석 송편. 상달 시루떡 등 우리 조상들은 명절과 절기에 맞춰 갖가지 떡을 만들어 먹었다. 떡의 미덕은 나누는 것이어서 생일떡이든 고사떡이든 이사떡이든 떡을 하면 으레 이웃과 나눠 먹었다.
이웃집에서 떡방아 소리가 들리면 김칫국부터 마신다 해서 전혀 탓할 일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남의 떡으로 설을 쇤다"는 말까지 생겼다.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