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紗帽) : 벼슬아치들이 쓰던 검은 사붙이로 만든 예모(禮帽)
관대(冠帶) : 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국불천위의 장손은 종군(宗君)이라 하고 제향때에는 비록관직이 없을지라도 사모 관대(紗帽冠帶)로 3품관의 옷을 입었으며, 초헌관은 반드시 종군이 하도록 되어 있다.

불천위 : 지난 날 나라에 끼친 큰 공으로 사당에 영구히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
즉 학덕이 높은 현조(賢祖)이거나 국가 사회에 공이 커서 시호를 받았거나, 서원에 배향되었거나, 쇠락한 가문을 일으킨 중흥조 등 영세불가망(永世不可忘)의 조상으로 몇백년 까지라도 제향을 끊을 수 없는 현조를 말한다. 종류에는 국가가 지정한 국불천위, 유림에서 지정한 향불천위, 또는 사문중에서 지정한 사불천위도 있다. - 예법전서 P.342 이남철 편저
* 당상관의 옷 : 1~3 품 북청색 유문사의 옷
4~9 품은 북청색 무문사의 옷
품계는 사모, 흉배, 띠 등으로 구분
대표적인 관복은 흉배가 달린 흑 단령으로 학은 문관, 호랑이는 무관을 표시하고, 그 수효에 의해 당상 당하관을 가렸다.
* 사모는 1~3품은 협각사모(挾角紗帽)
4~9품은 단각사모(單角紗帽)
흉배는 옥과 같은 색인데, 사(紗) 혹은 단(緞)에 수를 놓아 사용하였다.
띠(冠帶)는 금관조복 경우와 같은데
1품은 서대(犀帶) 2품은 삽금대(鈒金帶) 종2품은 소금대(素金帶) 또는 여지금대((荔枝金帶)
정3품은 삽은대...
당상관복에는 흉배모양은 두마리 학의 쌍학흉배가 기품이 있고 늠름한 2마리의 학과 산, 물결 파도, 불로초등 무늬가 아름답게 소놓아졌다.
--------------------------------------------------------
220mm에서320mm까지 천연가죽신 맞춤제작
[연지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