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팔파 베일 (Alfalfa Bale)
|
알팔파 베일 이란? 6~10년 다년생 두과목초로서 미국 및 캐나다의 서부지역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작물이다. 목초의 여왕 으로 불려질 만큼 조사료 중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으뜸이다. 1~2번초는 개화 초기에, 그 이후에는 만개기에 예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국내 공급되는 것은 이중으로 압축한 베일(50Kg)을 1/2(25Kg)로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알팔파 베일의 특성 By-Pass율이 높은 단백질 공급원인 알팔파는 단일 조사료원으로써 전체 요구되는 섬유소의 2/3, 조단백의 1/2, 에너지의 1/3, 칼슘의 3/4을 제공하며 칼륨의 우수한 공급원이기도 하다. 또한 비타민A의 전구물질인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높아 수태율 향상 및 번식기간 단축에 도움을 주며, 세포막 구성물질인 리그닌의 함량이 낮고 소화율이 높다. 이외에도 각종 필수 무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엔실리지와 곡류의 급여로 발생할 수 있는 영양적 결핍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
 |
|
건물 |
TDN |
CP |
EE |
CE |
Ca |
P |
Ash |
ADF |
NDF |
NEL |
NFC |
By-pass |
89 |
58 |
17 |
1.9 |
30 |
1.4 |
0.24 |
9 |
36 |
50 |
1.32 |
241 |
22 | |
|
알팔파 베일은 주로 헤이(Hay)로 공급이 되나 헤이에서 종실을 수확한 후 남은 것을 짚(straw) 형태로 공급되기도 한다. 알팔파 스트로(짚)는 화본과 스트로와 성분이 유사하며 기호성이 좋다. 알팔파를 재배지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는데 미국 북부에서 재배된 것을 PNW, 미국 남부에서 재배된 것을 PSW라 한다.
또한 일반적인 베일이 50kg 정도인데 비해 40kg정도로 압축포장한 것을 미니 베일이라 하며 400~500kg 정도로 포장한 것을 빅베일이라 한다.
|
원산지 원산지는 서남아시아로서 목초의 여왕이라 불려질 만큼 목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초종이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알팔파는 Medicago sativa M. falcata 및 M.media에서 선발 또는 교잡육종 된 것이다.
성 장 일반적으로 4가지형으로 구분되는데 직근형, 세근형, 지하경형, 포복경형등 뿌리로 구분된다. 지하경형은 광범위하게 퍼지는 줄기 밑동에 의하여 식물체가 퍼져나가며 포복경형은 주근으로부터 수평으로 지근이 뻗어나가고 근경으로부터 새눈이 나오고 이 새눈이 독립체를 이룬다. 지하경형과 포복경형은 일반적으로 생육이 강하며 다른 근계로 분류 된것보다 기후데 대한 적응성이 크다. 알팔파의 뿌리는 모래땅에서는 3∼5cm 정도까지 뻗는다. 뿌리는 토양 깊속한 곳에서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며 특히 가뭄철에 대비한 목초로 유용하다. 알팔파는 영년생 목초로서 실생된 것은 강하지 못하고 포복경형 같은 것에서 분주 된 것이 강하다. 품종에 따라 줄기에 털이 밀생하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며, 잎은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엽은 장난형 또는 장원형으로 끝부분이 톱니 모양을 이루며 잎자루 기부에 큰 턱잎이 있다.
|
 |
|
재 배 토양조건이나 기후조건에도 적응도가 넓으나, 최적 토양조건은 석회질이 풍부하고 토심이 깊은 양토이다. 가뭄에 강하지만 수분이 부족한 토양에서는 관수를 하여야만 생산량이 많고 알칼리토양에 강하지만 너무 강한 알칼리땅에서는 생육이 좋지 않고 내염성도 강한 편이다. 산성토야에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고, 알맞은 산도(ph)는 6.0정도이나 마그네슘이 충분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는 산성토양에서도 강한 편이다. 생육 최성기에 침수가 된다거나 토양수분이 많을 때는 생육이 약해지므로 토양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게 만드는 것이 알팔파 재배에 성공의 길이다. 그러나 생육을 시작하기 전 약 2주간의 짧은 기간동안 침수되는 것은 별로 피해를 입지 않는다. 뿌리내의 탄수화물함량 저하는 생육에 영향을 미치며, 뿌리가 충실치 않으면 2회 예취하기가 어렵다. 늦가을까지 이용하는 것은 뿌리조직에 저장양분의 저하로 월동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못되므로 최소한 25cm정도는 생장된 상태로 월동하게 하여야 충분히 영양분을 축적하여 강건하여 진다. 만약 늦가을까지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뿌리내의 영양저장상태에 따라 영양이 적을때는 월동전후 동사를 하게 됨으로 최소한 늦가을 서리가 오기 전 4∼6주전까지 예취를 끝내야한다. 겨울철의 뿌리썩음병, 줄기끄으름병, 잎반점병, 엽부병, 역병과 같은 병은 알팔파가 강건하게 생육하는데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
이 용 ◈ 건초 년간 4회 정도 이용할 때에 2회는 건초로 예취하는 것이 수량도 많고 양질의 건초를 만들 수 있다. 줄기는 직립으로 생육하며, 수분함량이 적어 수확하기가 용이하다. 알팔파는 양분축적에 대단히 민감하므로 늦은 가을철 수화 소위“쇠퇴위험기”에는 예취를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년중 계속적으로 높은 수량을 올리기 위해서는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여 혼파하는 것이 좋다.
◈ 방목 및 청초 과방목에는 약하나 기호성이 좋다. 재생력이 강하고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채초용 초지에 많이 재배되고 있다. 방목으로 이용할 때에는 방목높이를 10∼15cm 이하로 하면 재생이 좋지 않다. 포복경형 알팔파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야 한다. 알팔파를 단파할 때에는 서릿발 피해를 입기 쉬우므로 화본과를 50%정도 혼파하면 그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유리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