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로부터 한양 서촌은 명현(名賢)들이 모여 살던 '학문의 고장'이다.
서촌 남쪽 끝자락 정동은 조선성리학의 맥을 잇는 걸출한 인물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퇴계 이황의 집터를 지나 서울시립미술관 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조선시대 5현의 한 사람으로 예학의 태두인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과
그 아들로 예학의 대가인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1574~1656)이 태어난 곳을 만난다.
김장생은 조선중기의 정치가이며 예학사상가다.
김장생은 인목대비 폐모논의가 일어나고 북인이 득세하자 낙향해 예학연구와 후진양성에 몰두했다.
그의 제자는 아들이자 학문의 정통을 이은 김집과 송시열을 비롯해서 송준길·이유태·강석기·장유·이후원·신민일 등
후일 서인과 노론계의 대표적 인물들은 거의 망라돼 있다.
선조 말과 광해군대에 주로 지방관을 역임하였으며 1613년(광해군 5)에는 서얼들이 일으킨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벌의 위기를 맞았으나 무혐의로 풀려났고 그 후 관직을 포기, 연산으로 낙향하여 예학연구와 후진양성에 몰두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여러 관직을 제수했으나 번번히 사양하였다.
그는 율곡 이이 선생의 적통을 이어받아 조선 예학을 정비한 한국 예학의 종장(宗匠)이다.
임진왜란과 호란 이후 조선의 국가정신과 사회발전의 방향을 정립한 주인공이다.
김장생의 삶과 사상은 17세기 이후 한국 도학자들의 예론과 의리 실천의 전형을 이룬 인물로 평가한다.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은 유학의 시작이자 끝이라 할 수 있는 예학을 집대성한 대학자로 존경받고 있다.
이들 부자는 사후에 해동18현(海東18賢)에 추앙되어 공자를 모신 사당인 문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얻었다.
문묘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훌륭한 유학자를 영구히 기리기 위해
국가에서 제사지내는 제도이다.
해동 18현이란 설총 최치원 안향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를 말한다.
우리 나라 역사상 학문과 도덕이 깊어 온 백성이 나라의 스승으로 우러러 받드는 명현(名賢)들이다.
문묘 배향은 일문 일대만이 아니라 대대손손의 영광이자 자랑이었다.
문묘에 배향된 18현 중 한 가문에서 2명이 배향되기는 은진 송씨(恩津 宋氏)의 송시열 송준길과 광산 김씨(光山 金氏)뿐이다.
부자가 나란히 배향되기는 김장생 김집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또 송시열과 송준길은 모두 김장생이 키워낸 수제자들이다.
부자와 사제가 모두 문묘에 배향(配享)되어 사계 선생의 학문과 도덕이 얼마나 큰가를 짐작할 수 있다.
김장생은 13세 때는 구봉(龜峯) 송익필에게 사서(四書)와 근사록(近思錄)을 배웠으며,
20세 때부터는 율곡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율곡은 진정한 선비의 필수조건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경세의 능력’(才)과
벼슬에 나아가고 물러나는 ‘출처의 마땅함’(宜)을 아는 지조 있는 인물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착하고 어진 인간성을 지니는 한편, 세상을 걱정하고 정치 경세에 실력을 갖춘 인재가 되기를 가르쳤다.
그러한 인재가 되려면, 자기의 사리사욕을 다스릴 줄 알고, 세상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책임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먼저 반드시 몸과 마음을 바르게 다스려 한결같이 예를 따른 뒤에야
자신의 사욕을 제거하여 절제하고 예에 따라 생활할 수 있다고 가르쳤다.
예를 행하는 과정에서 개개인이 양심과 정의를 따르는 도심(道心)을 회복하여 실천하게 되고
결국에는 건강한 가정과 사회와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바로 율곡학파의 학풍이다.
이러한 실천규범으로서의 예를 더욱 강조한 학자가 바로 김장생과 김집 부자이다.
김장생은 율곡의 문하에서 공부하다가 그의 나이 31세에 관직에 나갔다.
관직에 뜻을 두기보다는 학문과 저술활동과 후진을 기르는 일에 전념했다.
김장생은 특히 예론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모든 인간이 어질고 바른 마음으로 서로를 도와가며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개개인의 행동방식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질서가 필요하다."그가 예론을 중요하게 여긴 이유이다.그것을 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장생의 사상에 있어 어짐(仁)과 바름(義)은 도덕과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이며,
예는 올바른 마음과 어진 마음을 드러내는 태도와 절차이다.
때문에 예는 어질고 바른 것이어야 하지만 어질고 의로운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예라는 방법을 통하여 표현되어야 했던 것이다.
"고금의 예설(禮說)을 취하여 뜻을 찾아내고 참작하여 분명하게 해석했으므로
변례(變禮)를 당한 사람들이 모두 그에게 질문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김장생을 기록하고 있다.
김장생은 예가 다스려지면 국가가 다스려지고 예가 문란해지면 국가가 혼란해진다고 하여
예를 국가 치란(治亂)의 관건으로 보았다.
김장생의 정치사상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治國)이란 인간사회의 조화를 성취한다는 목표가 가장 우선되는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사람들을 가르쳐 예절 바르게 살아가도록 한다는 예교(禮敎)와 다른 사람을 다스린다는 정치를
일원화시킨 것이다.
아들 김집은 부친인 김장생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그는 8살에 송상현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으며 가학을 이어받았다.
18세 때 진사에 2등으로 합격하였으나, 문장학을 좋아하지 않고 성현의 학문에 전심하였다.
그는 관직에 나아가 정치에 노력하기도 했으나 항상 고향에 은거하며 학문에 뜻을 두었다.
1610년(광해군 2)에 헌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광해군의 문란한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은퇴하였다.
인조반정 후에야 부여현감과 임피현령을 지냈다.
그 뒤 전라도사․선공감 첨정 등에 거듭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거나 곧 사직하였다.
김집은 기호학파의 성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김집은 율곡 이이, 구봉 송익필, 사계 김장생 등의 학문을 이어 우암 송시열․동문당 송준길․
초려 이유태․미촌 윤선거․시남 유계․돈암 선우협․명재 윤증 등에게 학문을 전수하는 중간 역할을 하였다.
김집이 김장생의 뒤를 이어 당시대 예학의 기초를 제공한 <의례문해(疑禮問解)>를 교정하고
<의례문해속(疑禮問解續)과 <고금상례이동의(古今喪禮異同議)>를 편찬하였다.
그는 당시 예학의 학문적 기초를 다지고 모든 선비들로 하여금 예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예학의 종장(宗匠)으로 추대되었다.
율곡의 전통 학문을 이어 예학의 근원인 성리학에 전념하여 성리학과 예학을 겸비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효종실록은 1659년 윤 3월 28일자 기사에서 왕이 김장생등을 제향하는 서원에 액호를 내린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김장생 김집을 함께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額號)를 돈암(遯巖)이라고 내리고,
이이·이색·김정·송인수를 함께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를 신암(莘菴)이라고 내리고,
김인후를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를 필암(筆巖)이라고 내리고,
송인수·정렴을 함께 제향하는서원의 액호를 노봉(魯峯)이라고 내리고,
이황·정구를 함께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를 연경(硏經)이라고 내리고,
이이를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를 송담(松潭)이라고 내리고,
노신의 사우(祠宇)의 액호를 당주(溏洲)라고 내리고,
이항복을 제향하는 서원의 액호를 화산(花山)이라고 내리라고 명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