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충해명 |
피해수종 |
방제시기 |
피해 및 생활사 |
방제법 |
젓나무잎 응애 |
가문비나무, 젓나무, 소나무, 주목, 편백, 밤나무, 잣나무, 참나무류 |
4~10월 |
- 연 5~6회 발생 - 4~10월까지 불규칙적으로 발생 - 잎표면에 기생하면서 잎을 황변 |
-살비제(다니톨, 토큐, 샤란, 켈센 등)를 1000배로 희석하여 7-10일 간격으로 잎에 충분히 묻도록 2-3회 살포 -약제의 연용을 피한다. |
점박이 응애 |
복숭아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초본류 |
〃 |
- 연 8~10회 발생 -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 |
벚나무 응애 |
벚나무, 사과나무 |
〃 |
- 연 5~6회 발생 - 6~7월이 발생 최성기 - 잎 뒷면에 기생하여 흡즙 하므로 피해 잎은 흰점이 생기며 황갈색으로 변함 | |
소나무 왕진딧물 |
소나무류 |
〃 |
- 5~6월경에 가지에 기생 - 성충과 약충이 군서하면서 흡즙 가해하여 생장을 저해하고 수세를 약화, 고사시킴 |
- 포스팜제, 메타유제, 아시트유제 등을 약충, 성충 발생기에 1000배로 희석하여 잎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 |
밤나무 왕진딧물 |
밤나무, 참나무류, 가시나무류 |
〃 |
- 4~11월 3회 발생 - 신초에 군서하면서 흡즙 가해 | |
느티나무 알락진딧물 |
느티나무, 개암나무, 느릅나무 |
〃 |
- 4월경에 부화한 약충은 담황색으로 잎 뒷면에 기생하며 흡즙 가해하여 잎이 황화, 조기 낙엽 | |
붉은테두리 진딧물 |
복숭아나무, 벚나무, 팥배나무, 매화 |
〃 |
- 3~9월 피해 발생 - 4~5월경에 기주식물의 신초 선단부에 군서하여 흡즙 가해하여 신초의 생장이 저해 | |
목화 진딧물 |
무궁화, 살구나무 등 핵과류 |
4~10월 |
- 4월에 부화하여 10월까지 발생 - 무궁화에 주로 발생하며, 신초의 잎 뒷면에 군서, 흡즙 가해 | |
조팝 진딧물 |
조팝나무, 사과나무, 팽나무, 분꽃 |
〃 |
- 성충과 유충이 신초부와 새로 나온 잎에 군서하여 흡즙 가해하므로 신초의 생장이 저해 | |
느티나무 외줄진딧물 |
느티나무 |
5~6월 10월 |
- 4월에 부화한 약충이 10월까지 가해 - 느티나무 잎에 표주박 모양의 녹색 충영을 형성하며 수액을 흡즙 가해 |
병충해명 |
피해수종 |
방제시기 |
피해 및 생활사 |
방제법 |
솔껍질 깍지벌레 |
소나무류 |
5~6월 |
- 5~6월에 부화한 약충은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 피해잎은 갈색 반점이 생겨 잎이 갈변하며, 잔가지가 고사 |
- 4월말~6월초에 메치온유제를1000배로희석하여살포하거나, 12월에 피해목의 지상 50cm 수간 부위에 직경 1cm, 길이 7cm의 구멍을 뚫고 흉고직경당 포스팜 액제 0.61.0cc를 주입 |
단풍나무 깍지벌레 |
단풍나무류, 참나무류, 사과나무, 회양목 |
5~6월 |
- 5월 하순에 부화한 약충이 가을까지 가지의 분지부나 줄기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
- 메치온유제, 디메토유제, 메캄바유제 등을 1000배로 희석하여 약충, 성충 발생기에 710일 간격으로 잎에 충분히 묻도록 2-3회 살포 |
이세리아 깍지벌레 |
주목, 배나무, 감나무, 목련 |
6, 8, 10월 |
- 연 23회 발생 - 약충으로 월동하며, 6, 8, 10월에 피해가 크며, 약충이 신초에 군서하며 흡즙 가해 | |
왕공 깍지벌레 |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자귀나무 등 |
5~6월 |
- 5~6월에 부화한 약충은 기주식물의 가지의 분지부나 엽병기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 |
소나무 가루깍지벌레 (소나무 굴깍지벌레) |
소나무류, 잣나무 |
5~6월 8~9월 |
- 5~6월, 8~9월에 대발생 - 신초나 2년생가지 침엽 사이 신초부에서 흡즙 가해하여 생장을 저해 | |
등나무 가루깍지벌레 |
벚나무, 배나무, 주목, 사과나무, 삼나무, 팽나무 |
6~7월 |
- 6~7월에 출현한 약충은 줄기와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 2차적으로 그을음병 유발 |
- 메치온유제, 니메토유제, 메카밤유제 등을 1000배로 희석하여 약충, 성충 발생기에 710일간격으로 잎과 가지에 충분히 묻도록 2-3회 살포 - 활엽수의 경우 잎이 트기전에 기계유제, 석회유황합제를 가지에 고루 묻도록 살포 |
거북밀 깍지벌레 |
벚나무, 배나무, 참나무류, 사과나무 감나무, 회양목, 구상나무, 단풍나무, 모과나무, 살구나무, 버즘나무 |
6월 |
- 7월에 출현한 약충은 기주의 가지나 잎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하여 수세를 약화 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 - 최근 피해가 급증 | |
쥐똥밀 깍지벌레 |
쥐똥나무, 이팝나무, 물푸레나무 |
6~7월 |
- 6~7월 출현한 부화약충이 가지에 정착후 백색 밀납을 분비하여 몸을 덮고, 흡즙 가해하여 수세를 약화 |
병충해명 |
피해수종 |
방제시기 |
피해 및 생활사 |
방제법 |
솔잎 혹파리 |
소나무류 |
5월말 7월초 |
- 5~7월 중순에 잎에 산란하여 피해 - 유충이 솔잎 기부에 충영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수액을 흡즙 가해하여 생장을 저해 |
- 성충산란기에 메프유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잎에 충분히 묻도록 710일 간격으로 2-3회 수간에 살포 - 유충기에 포스팜 원액을 수간주사 |
느티나무 벼룩바구미 |
느티나무 |
4월이후 |
- 4월경에 성충이 출현하여 잎표면에 구멍을 뚫고 흡즙 하고 유충은 잎의 가장자리를 식해하여 잎을 갈변 |
- 유충가해기에 메프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 |
복숭아 명나방 |
밤나무, 상수리나무, 복숭아나무, 벚나무, 자두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소나무, 잣나무, 섬잣나무, 구상나무 |
4~6월 7~8월 |
- 잡식성 해충으로 연 2회 발생 - 5~6월, 7~8월에 발생하여 잎을 식해하여 가해 | |
은무늬 굴나방 |
자두나무, 사과나무, 자작나무, 벚나무, 복숭아나무 |
4월이후 |
- 잎 속에 잠입하여 표피세포 밑을 가해하므로 피해 부위가 희게 변색되고 낙엽 |
- 메프, 파프, 디프제를 1000배로 하여 잎에 충분히 묻도록 2-3회 살포 |
회양목 명나방 |
회양목 |
4~5월 |
- 4월경부터 유충이 발생하여 잎을 식해 가을까지 계속 | |
미국 흰불나방 |
포플러류, 버즘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등 대부분의 활엽수 160여종 |
5~10월 |
- 연 2회 발생 - 5~6월, 7~10월까지 발생하여 잎을 모조리 식해하여 대발생시 피해가 큼 | |
차주머니 나방 |
참나무류, 포플러류, 느릅나무, 벚나무, 낙우송, 배나무, 사과나무, 은행나무 등 |
4월이후 |
- 유충으로 월동하여 3~4월부터 6월까지 잎을 식해하고 2차 발생하여 가을까지 잎을 식해하여 피해 |
병충해명 |
피해수종 |
방제시기 |
피해 및 생활사 |
방제법 |
극동 등애잎벌 |
철쭉류, 영산홍 |
5~9월 |
- 유충은 5~9월에 철쭉류 잎을 가해하고 잎 뒤에 군서 - 잎 전체를 식해하며 신초의 수피도 식해 |
- 유충이 나타나는 시기에 디프, 메프, 파프제 등을 1000배로 희석하여 잎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 |
개나리 잎벌 |
개나리 |
4월 |
- 성충은 4월에 우화하여 개나리 잎을 식해하여 그 피해가 큼 | |
진달래 방패벌레 |
진달래, 철쭉 |
5월 |
- 연 45회 발생하는데 4월경부터 잎 뒷면에 군서하면서 흡즙 가해하여 잎 표면을 황변 |
- 디프, 메프, 파프제 등을 1000배로 희석하여 23회 살포 |
방패벌레 |
배나무, 황매화, 자두, 버즘나무, 아그배나무, 벚나무 |
5~9월 |
- 연 3~4회 발생하고 5월부터 10월까지 잎에 기생, 흡즙, 가해하여 잎 표면을 희게 변하게 함 | |
박쥐나방 |
버드나무, 포플러류, 버즘나무, 단풍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 물푸레, 편백, 은행, 자작나무, 오리나무, 무궁화 |
5~10월 |
- 유충은 초본의 줄기 속을 식해하고 성충은 나무로 이동하여 줄기를 먹어 들어가면서 똥을 밖으로 배출하고 충공은 혹처럼 보이며, 갱도를 뚫으면서 식해해서 도복이나 고사하여 피해가 큼 |
- 피해목에 메프 수화제를 주입하여 방제 |
복숭아 유리나방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사과나무 등 과수류 |
7~8월 |
- 부화유충이 4~7월까지 줄기나 가지의 수피밑의 형성층을 식해 수세를 약화시켜 고사시킴 - 7~8월경에 우화 |
-메프유제를 100-250배로 하여 성충기, 우화기에 수간에 살포하거나 석회유황합제를 수간에 발라주어 산란을 예방 |
알락 하늘소 |
뽕나무, 버드나무, 버즘나무, 은단풍나무, 오리나무, 포플러 |
6~7월 |
- 유충이 수간의 아래쪽에서 목질 속으로 파먹어 들어가 톱밥을 배출하고 6~7월경 성충이 탈출하는데 수세가 쇠약해지고 고사, 도복 |
- 유충, 성충발생기에 스미치온과 다이아톤을 각각 200-250 배액으로 하여 10일 간격으로 3-5회 수간에 살포. |
뽕나무 하늘소 |
뽕나무류, 느릅나무류, 버드나무류, 포플러류 배나무, 녹나무 |
7~8월 |
- 유충은 기주식물의 줄기와 가지속으로 구멍을 뚫고 들어가 피해가 큼 - 성충은 7~8월에 출현하여 수피를 물어뜯고 목질부 표 면에 산란하여 피해 | |
솔수염 하늘소 |
소나무, 젓나무, 개잎갈나무 |
6~7월 |
- 4월경 유충은 형성층과 목질부를 식해, 성충은 5~7월에 수피를 갉아 먹음 | |
향나무 하늘소 |
측백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
3~4월 |
- 유충이 수피 밑의 형성 층을 갉아 먹어 나무를 급속히 고사시킴 - 성충으로 피해목에서 월동 한 후 3~4월에 탈출하여 산란 |
병충해명 |
피해수종 |
방제시기 |
피해 및 생활사 |
방제법 |
소나무 노랑점바구미 (소나무 좀) |
소나무,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가문비나무, 곰솔 |
4~6월 (3~4월) |
- 수세가 약한 나무의 줄기나 가지의 형성층을 유충이 식해하여 고사 - 월동한 성충이 4월경에 월동체에서 나와 수피에 구멍을 뚫고 산란하여 피해 |
- 유충, 성충 발생기에 스미치온과 다이아톤을 각각 200-250배액으로 하여 수간에 살포 |
향나무 녹병 장미과식물 적성병 |
향나무, 장미과 식물 |
4~5월 7월 4~6월 |
- 장미과 식물에는 6~7월에 붉은 별무늬병을 일으키고 향나무에서는 8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발생 - 향나무 줄기를 뚫고 월동한 포자는 4월에 황색모양의 돌기로 부풀어 장미과 식물로 전염되어 잎에 붉은 반점을 일으키는 적성병이 됨 |
- 방제시기에 만코지 수화제, 동수화제 계통의 살균제 등을 500배1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거나 4-4식 보르도액을 살포 |
갈반병 (반점병,탄저병, 윤문병,잎녹병) |
철쭉류, 배롱나무, 동백나무, 무궁화, 참나무류, 단풍나무, 가중나무, 버즘나무, 명자나무, 포플러류, 플라타너스, 개암나무 |
6~10월 |
- 자낭균이 잎에 침입하여 황색 반점을 발생시키며 진전되면 갈변하여 갈색반점이 되어 미관을 저해 | |
소나무 잎마름병 |
소나무류 |
4~10월 |
- 봄에 띠 모양으로 황색의 반점들이 침엽 윗부분에 형성되고 나중에 갈변하면서 점들이 합쳐짐 - 병든 잎은 조기 낙엽 | |
소나무 재선충병 |
소나무, 곰솔, 잣나무, 낙엽송 |
5~9월 |
-매개충(솔수염하늘소)의 이동으로 확산 ?자력이동: 100m이내 ?강한비산능력: 최장 3km 이동가능 -크기가 1mm내외의 선충으로 나무조직내의 양분 이동통로를 차단 -한번 감영되면 100%고사로 치명적 -피해지역: 경남, 부산, 경북, 전남 등 이외지역에도 피해확산 우려 -감염목 무단이동으로 확산(수목 및 목재) |
-피해목제거 (9월~익년 4월) ?파쇄, 훈증, 소각 -피해목 이동금지 -매개충(솔수염하늘소) 확산 방지를 위한 약제살포 ?메프유제 5% 33배액 희석 ?매개충 우화기 5~8월 3회 실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