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너스> 쿠바여행 뒷이야기
쿠바 격동(激動)의 세월
형 피델 카스트로(1,2) / 동생 라울 카스트로 1, 2
체 게바라(그림) / 체 게바라(실물사진) / 벽면 글씨 ‘승리할 때까지 영원히’
2015년 8월 14일, 쿠바(Cuba)의 수도 아바나(Havana)에 미국 대사관을 재개설(再開設)한다는 기사가 신문에 났다. 1961년 미국과 국교단절이 된지 실로 55년만이다. 기사를 읽으며 중남미 격동의 60년대가 새롭게 뇌리에 떠올라 당시 상황들을 정리하여 회상해본다.
독자 생존을 부르짖으며 비동맹국의 맹주로 자처하던 카스트로(Fidel Castro/1926~)는 결국 고립을 이기지 못하고 55년 만의 화해라고 해야 하나 굴복이라 해야 하나 결국 미국과 다시 수교를 시작하는 것이다.
미국과의 대결은 쿠바의 자존심은 세워줬지만 끝없는 경제침체를 헤어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는데 이번 미국과 화해는 49년 간 장기 집권했던 피델 카스트로가 2008년 2월 동생 라울 카스트로(Raul Castro/1931~)에게 정권을 물려주는데 형에 비하여 온건한 협상파인 동생 라울에 의해 미국과의 화해가 이루어진 것이다.
쿠바의 비극은 1952년으로 거슬러 오르는데, 중남미 경제 헤게모니를 노리던 미국은 쿠바에 쿠데타를 사주하여 친미정권을 세우는데 성공한다. 그리하여 미국 기업들은 50년대 중반까지 쿠바의 모든 경제권을 장악하고 마피아 세력은 호텔업과 향락산업을 차지한다.
1958년, 쿠바의 혁명가 피델 카스트로는 반미감정이 팽배했던 쿠바의 민중들을 끌어 모으고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와 힘을 합쳐 친미정권을 몰아내는 혁명에 성공한다.
카스트로는 주로 미국인들의 소유였던 ‘외국인 소유기업 국유화’ 등의 정책으로 미국과 등을 돌리고 1959년 공산화를 선포한다. 미국의 코앞(플로리다에서 145km)에서 공산정권 수립을 선언하자 크게 자존심이 상한 미국은 카스트로 정권을 무너뜨리고자 피그스만(Bay of Pigs) 침공을 시도하는데....
1961년, 미국은 1.500명의 쿠바 출신들로 구성된 게릴라군을 훈련시켜 피그스만에 공중 투하 시켜 카스트로 정권의 붕괴를 노리지만, 사전 정보누출과 기대했던 쿠바 내 동조도 일어나지 않아 3일 만에...
100명 이상 피살, 1.100명 이상이 포로로 잡히며 미국의 시도는 실패로 끝난다.
1962년, 기고만장한 카스트로는 소련 총리 후르시쵸프와 결탁하여 쿠바에 소련의 핵미사일 기지 4곳을 건설하는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데... 격분한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소련에서 오는 모든 배를 수색하겠으며, 만약 미사일이 발견되면 즉시 격침하겠다.’고 최후통첩을 보내며... 세계 3차 대전(핵전쟁) 발발 일촉즉발의 위기까지 갔으나 결국 소련의 양보(항복)를 받아내어 핵미사일 기지는 철수된다.
당시 쿠바 내 미사일 기지에는 핵미사일이 이미 9기나 배치되어 있었다고 하고 미국 연안에서 미국에 포위된 소련의 핵잠수함의 함장은 이미 전쟁이 시작된 것으로 착각하고 핵어뢰(核魚雷)의 발사를 명령했지만, 부함장 아르키포프(Vasili Alexandrovich Arkhipov)가 발사를 조금 주저하는 바람에...
인류 멸망의 핵전쟁이 일어날 뻔했던 아찔한 순간이었다.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Che Guevara/1928.6.14.~1967.10.9.)는 본명이 에르네스토 게바라(Ernesto Rafael Guevara de la Serna)이다.
진정한 영웅, 용기가 무엇인지 몸소 실천으로 보여 준 사람, 전설 같은 삶, 높은 도덕성, 불꽃 같은 혁명가, 끊임없는 인류애, 전 세계 젊은이들이 열망하는 아이콘..... 체 게바라를 향한 찬사(讚辭)는 끝이 없다.
불꽃같은 혁명의 길을 걸어간 체 게바라의 삶을 잠시 조명해 본다.
그는 의과대학생이던 시절, 남미대륙을 자전거를 타고 여행하며 끊임없이 착취당하는 가난하고 병든 민중들을 보며 안정된 의사로서의 삶을 포기하고 고난의 연속인 혁명가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혁명의 불길을 좇아 볼리비아로, 과테말라로, 멕시코로 달려가 혁명의 선봉에 서던 그는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비로소 쿠바혁명에 성공한다. 혁명 성공 후 쿠바의 국민은행 총재, 산업부 장관, 전권대사 등 정치활동에 잠시 몸을 담지만 자신의 체질에 맞지 않는 것을 알고는 훌훌히 던져버리고 다시 혁명 전선에 뛰어든다.
콩고 혁명에 뛰어들었으나 실패로 끝나자 다시 볼리비아로 건너가 혁명전선에 뛰어드는데 체 게바라가 왔다는 사실 자체가 혁명군들에게는 엄청난 힘이 되었다. 그러나 체 게바라는 그곳에서 결국 체포되고, 다음날인 1967년 10월 9일 처형당한다.
볼리비아 정부는 그의 사망을 확인시키려 시체에서 두 손을 잘라 쿠바에 보냈다고 한다.
진정 불꽃 같은 삶을 산 혁명가의 일생이라 할 것이다.
쿠바의 수도 아바나의 혁명광장 내무부 건물 벽면에는 체 게바라의 캐리커처와 함께 그의 좌우명인 ‘승리할 때까지 영원히’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1. 노르웨이(Norway) 늙은 영감
아바나의 모로 요새공원(Parque Historico Militar Morro/혹은 El Morro) 관광을 위해서는 구도심 중앙공원(Parque Centro)으로 가서 T3 투어(Tour)버스를 타야 한다. 아바나 시내에는 투어버스가 T1, T2, T3가 있는데 모두 혁명광장은 거치지만 관광하는 코스가 달라서 잘 보고 타야 한다.
내가 5일간 머물었던 숙소(Villa Reina)에서 중앙공원까지는 제법 먼 거리다. 첫날 시내 구경을 하면서 택시를 타고 왔을 때 택시비가 20꾹(24,000원)이나 되었는데 나중 알고 봤더니 집 앞에서 택시 합승을 하면 0.8꾹(천원)이면 갈 수 있었다. 아바나에서는 특히 택시비로 바가지를 쓰는 경우가 많다.
아바나 항구에서 가까운 중앙공원은 구도심(Old City)으로, 제법 크고 녹지가 잘 조성되어 있는데 주변은 온통 고색창연한 식민시대 건물들이 들어차 있어 관광객들로 바글거린다. 모로 요새공원을 향하는 투어버스 2층에 앉아 시내투어를 하던 중 옆자리에 앉았던 백인 늙은이가 어느 나라에서 왔냐고 묻는다.
이야기를 하다보니 올해 72세의 노르웨이 영감으로, 아들 가족과 함께 관광 중이라고 한다.
내가 한국에서 왔고 올해 만 71세라고 했더니 반가워하며 자기 딸이 15년쯤 전, 한국에서 열린 잼버리대회(Jamboree:스카우트 야영)에 참가했었다고 한다. 딸이 한국은 매우 아름다운 나라였다고 했다며 죽기 전에 꼭 한번 가보고 싶다고 한다. 나도 노르웨이를 꼭 한번 가보고 싶다고 했더니 우리 나이에 가보기에는 한국이나 노르웨이나 너무나 멀고 먼 나라라고 하며 서로 손을 잡고 웃었다.
영감은 쿠바가 두 번째라며 저 건물은 헤밍웨이가 소설을 쓰며 묵었던 호텔인데 너무 낡아서 재작년에 새로 개축했다는 둥, 저 낡은 건물들은 모두 스페인 식민시절 건물이라는 둥.... 공원에서 조금 벗어난 조금 허름한 호텔을 가리키며 1박에 40꾹(5만 원)이면 잘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외곽의 비야(Villa:여관급)를 30꾹(3만 8천원)에 묵고 있는데 미리 알았으면 여기로 올껄 비쌀까 봐 미리 겁먹었다. 제기럴...
2. 바가지 상혼(商魂)
모로 요새공원은 해안절벽 위에 튼튼하게 지은 높은 담벼락과 깊은 해자, 그리고 수십 개의 크고 작은 대포들이 만을 내려다보며 거치되어 있어 과연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새였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요새에서 걸어 5분 거리에 있는, 깎아지른 절벽 끝에 우뚝 서 있는 등대는 1844년에 세웠다는데 매우 인상적이다.
요새 뒤쪽은 바위 절벽인데 낚시꾼들이 낚시를 드리우고 있고, 끝없이 펼쳐진 푸른 카리브해에는 관광 유람선과 자그마한 낚싯배들이 유유히 떠 있는 환상적인 풍경이다.
바위 절벽 밑 그늘에 신발을 벗어놓고 앉아서 넋을 잃고 바라보노라니 가지가지 상념들로 가득 찬다.
혼자 다니는 여행은 어쩌면 외롭기도 하지만 나름, 낭만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혼자 어슬렁거리고 다니느라 덥고 목도 말라 두리번거리는데 길옆에 즉석에서 망고 속을 파내어 우유를 넣고 갈아주는 손수레 포장마차가 보인다. 망고 우유주스라... 2천 원 정도일꺼라 짐작하고 시켰는데 4꾹(5천 원)을 받아먹는다. 쿠바 물가를 생각하면 엄청난 바가지다. 제기럴....
3. 아름다운 숙소, 비야 레이나(Villa Reina)
정원에서 식사 / 아름다운 정원의 꽃 / 안주인 삘라르(Pilar)
쿠바(Cuba)로 오면서 미리 숙소예약을 하지 않고 왔던 터라 공항에서 택시기사한테 저렴한 호텔을 소개해달라고 했더니, 데려온 숙소가 비야 레이나(Villa Reina)였다. 밤 10시가 넘었던 터라 그냥 짐을 풀고 샤워를 하자마자 잠에 골아떨어졌다. 1박에 30꾹(약 35달러)
중남미 쪽의 숙소는 대체로 호스딸(Hostal), 까사(Casa), 비야(Villa), 호텔(Hotel)로 나누어진다.
호스딸은 도미토리로 큰 방 하나에 침대를 여러 개 놓고 한 방에 서로 모르는 사람들(남녀)이 어울려 자는데, 공동으로 사용하는 샤워실이 딸린 화장실, 세탁실(세탁기에 빨래를 넣고 동전을 넣고)과 공용휴게실이 있고 휴게실이 곧 빨래 건조장이다. 보통 1박에 15,000원 정도.
까사(Casa:집이라는 뜻)와 비야(Villa:별장이라는 뜻)는 가격대가 비슷하고 우리나라 고급 여관정도인데 샤워실이 딸린 독방으로 에어컨, 냉장고 등이 구비되어있고 보통 25,000원에서 40,000원 정도이다.
호텔은 위치와 등급에 따라 천차만별로 50,000원 정도로 시작하여 엄청 비싼 호화호텔까지....
아침에 일어나 보니 내 방은 건물 뒤쪽 정원에 지은 별채로, 커다란 더블 침대에 널찍한 공간은 물론 샤워시설, 에어컨, 냉장고.... 너무나 조용하고 마음에 든다.
특히 문을 열면 열대 꽃들이 활짝 핀 정원과 주물로 만든 예쁜 탁자와 의자가 있어 나는 아침을 식당에서 먹지 않고 항상 정원으로 가지고 오라고 하여 먹었다. 아침식사는 특별히 베이컨과 계란플라이를 넣은 샌드위치 2개, 따뜻한 우유(혹은 과일주스)를 주문했는데 5꾹(6천원)을 받고 식빵과 버터(혹은 꿀)는 항상 푸짐히 곁들여 나오며 커피는 언제든지 꽁짜로 준다. 향기가 진한 원산지 쿠바산 커피가 내 입맛에 딱 맞는다. 안주인인 삘라르(Pilar)가 식탁보를 깔고, 식사를 내오고, 치우고....
2월 초, 한국에서 추위가 기승을 부려 오들거리던 나에게 가지가지 꽃들이 만발한 아름다운 정원은 마치 천국처럼 느껴진다. 정원에 핀 꽃들 사이로 벌새(Humming Bird)가 날아다니기에 물어보았더니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벌새가 산다고 한다. 카메라를 들고 몇 번이나 촬영을 시도했지만 벌처럼 붕~~
재빠르게 날아가 버리는 바람에 사진을 찍는데 실패했다. 40대 느글느글하게 생긴 주인 녀석인 넬슨(Nelson)이나 부인인 삘라르(Pilar)까지 숙박업을 한다는 작자들이 영어를 거의 못하고 나 또한 스페인어를 못하니 대체로 난감이다. 친해진 후 손짓 발짓으로 의사를 소통하는 것도 재미있었는데 넬슨 녀석은 웃통도 훌떡 벗어버리고 안하무인격이다.
동양인 냄새가 풍겨서 물어보았더니 아니나 다를까 할아버지가 중국인으로 성이 웡(Wong/王)이란다.
부인은 혼혈로 물라토(Mulato/흑인+백인)인지 잠보(Zambo/흑인+인디오)인지 검고 큰 눈동자가 매력적이다. 30대 후반인 삘라르는 담배를 피는데, 남편이 담배 피는 걸 싫어한다며 남편이 외출하면 수시로 뒤뜰 정원인 내 방 앞에 와서 나와 맞 담배질... ㅎ
베이컨(바콩), 소금(쏠트/살), 우유(밀크/레치), 커피(까페), 공원(파크/빠르케), 설탕(슈가/아수까르), 꿀(허니/미엘), 물(워터/아구아)... 스페인어를 거의 못하는 나로서는 도대체 의사소통이 안 되는데 다행히 이 집에 장기투숙하고 있는 백인 늙은이가 스페인어 영어 모두 능통하여 많은 도움을 받았다.
영국인이라는 점잖은 늙은이는 고급영어를 정확하게 구사하는데 제기럴... 허연 늙은이가 나보다 나이가 세 살이나 작다고 나보고 형님이란다.
안주인 삘라르와 사진을 찍는데 카메라를 들고 찍어주던 남편 넬슨이 어깨에 손을 올려놓으라고 한다. ㅎ
♤ 환상의 라틴(Latin)음악
정원 바로 옆에서 오후에 타악기 소리와 트럼펫을 비롯한 몇몇 악기들이 흥겨운 라틴음악을 연주하는 소리가 들린다. 가보았더니 좁은 방안에 드럼, 기타, 색소폰, 트럼펫....
쿠바는 어느 곳이나 가는 곳마다 음악의 향연이 펼쳐진다. 흥에 넘치는 라틴음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