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삼도장골댁8남매
 
 
 
카페 게시글
‥시골이야기‥ 스크랩 대봉감나무 식재방법과 재배법을 소개합니다
화순댁 추천 0 조회 151 12.11.09 10:5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대봉감나무재배 포토영상앨범=

 

 

=대봉감나무 묘목=

 

 

=좋은 감나무 묘목 선별법=

1-접목대목은 감나무접목 묘목보다 먹감나무 접목 묘목을 구입한다

2-접목 2년생으로 키는 1.5m 내외 밑둥은 어른 엄지손가락  정도의 튼튼한 묘목이 좋다

3-한묘목장에서 자라고 크기나 두께가 고른 것을 선별하여 구입한다

 

감나무 심기와 재배법

 

 

 

 

 

1-대봉감나무의 식재시기는 남부지방 기준으로 2월말에서 3월말 까지가 적절하다

2-2년생 감나무 묘목을 구입하여 줄기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70cm~1m 정도에서

전정가위로 자른후 구덩이는 너무 깊게 파지 않는다

3-구덩이에 식재할때는 접목한 부분이 반드시 지상부에 드러나도록 묻어준다

4-물을 줄때는 뿌리부분까지 구멍을 뚫어 흠뻑 많이 주고 어느정도 물이

흡수되고 난뒤에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충분히 ?아주고 접목부분의

비닐을 풀러 준다. 접목부분이 땅에 묻히거나 물기가 많을시는

묘목 폐사의 주원인이 되므로 주의하고 식재이후에는 물을 주지 말아야 한다 

5-식재간격은 30% 정도의 폐사율을 감안하여 최소 1.5m이상의 간격은 유지해 주어야 한다

6-전정과 관리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람

키낮은 감나무 과수원 만들기

 

=낙과의 원인과 예방법=

 

 

 

 

 

 

 

 

 

 

 

 생리적 낙과(生理的 落果)

(1) 낙과의 원인

 생리적 낙과는 과다 착과를 방지하고 수체 유지를 위한 일종의 자연조절현상이라 할 수 있으나

수정불량과 수체 내 저장 양분의 부족의 영향을 크게받는다.

낙과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수분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종자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

○ 강우와 일조부족에 의해 동화량이 부족할 때

○ 토양이 과습하여 뿌리의 호흡이 불량해져서 활력이 저하될 때

○ 결실량이 과다하여 과실에 영양공급이 부족할 때

○ 나무세력이 강하여 새 가지의 영양생장이 계속될 때

 

(2) 생리적 낙과의 파상

해에 따라 다르나 개화 종료 후 6월상.중순에 낙과가 시작된다.

개화 후 3주 사이에 가장 많은데 그후 6월하순~7월상.하순에도 낙과하는 경우가 있다.

심할 때는 80~90%가지 낙과하여 수확이 크게 감소하기도 한다.

 

(3) 낙과 방지 대책

부유와 같은 단위결과성이 약하고 종자 형성력이 강한 품종은 수분이 잘 이루어지도록 수분수를 적절하게 심고

 개화전에 벌통을 반입하거나 인공수분을하는 것이 낙과방지에 효과적이다.

수세가 약하거나 생장과 결실의 균형이 불안정한 나무에 대해서는 개화 전에 봉오리를 따주고 인공수분시킨다.

 과원 내 일사량(日射量)이 부족하면 동화 양분의 생성과 전류(轉流)가 적어져 낙과가 유발되므로

통풍과 채광이 잘 되도록 정지.전정 및 수형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나무세력이 안정되도록

전정량,시비량, 착과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절한다.

또한 배수를 철저히 하여 포장이 과습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 참조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