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명통회 3권 三命通會 卷三
【卷三】목차
01. 論十干禄(논십간록) 02. 論金煞(논금살) 03. 論驛馬(논역마) 04. 總論禄馬(총논록마) 05. 論天乙貴人(논천을귀인) 06. 論三奇(논삼기) 07. 論天月徳(논천월덕) 08. 論太極貴(논태극귀) 09. 論學堂詞館(논학당사관) 10. 論正印(논정인) | 11. 論徳秀(논덕수) 12. 論劫煞亡神(논겁살망신) 13. 劫煞一十六般(겁살일십육반) 14. 亡神十六般(망신십육반) 15. 論羊刃(논양인) 16. 論空亡(논공망) 17. 論元辰(논원진) 18. 論暗金的煞(논암금적살) 19. 論災煞(논재살) 20. 論六危(논육위) | 21. 論勾絞(논구교) 22. 論孤辰寡宿煞(논고진과숙살) 23. 論天羅地網煞(논천나지망살) 24. 論十悪大敗煞(논십악대패살) 25. 論干支諸字雜犯神煞(논간지제자잡범신살) 26. 總論諸神煞(총논제신살) 27. 寅申巳亥四宮互換神煞(인신사해사궁호환신살) 28. 子午卯酉四宮互換神煞(자오묘유사궁호환신살) 29. 辰戌丑未四宮互換神煞(진술축미사궁호환신살) 30. 戰鬥伏降刑衝破合煞(전두복항형충파합살) |
ㅡㅡ해석 3-1
論十幹祿 1.십간록 론
祿,爵祿也,當得勢而享,乃謂之祿。自始分十幹、十二支時,便以甲乙配同寅卯、居東;丙丁配同巳午,居南;庚辛配同申酉,居酉;壬癸配同亥子,居北。
祿(녹)은 爵位(작위)祿(록)이다 응당 勢(세)를 얻어 누리는 것이니 이는 祿(녹)이라 한다. 스스로 시작은 十干과 十二支의 時를 나누고, 편히 甲乙로 寅卯를 같이 짝하며, 東(동)에 거한다; 丙丁은 巳午를 같이 짝하고, 南에 居한다 ; 庚辛은 申酉를 같이 짝하고, 西에 거한다; 壬癸는 亥子를 같이 짝하여 北에 거한다.
十幹就支神為祿,謂祿隨旺行,所以甲祿寅,乙祿卯,庚祿申,辛祿酉,壬祿亥,癸祿子,丙祿巳,丁祿午,戊寄巳,己寄午,謂巳午乃火旺之鄉,子隨母得祿之義。
十干은 支神을 취해 祿이 되고, 이 祿은 旺을 쫓아 가고, 그래서 甲은 寅을 록으로, 을은 卯를 록으로, 庚祿(록)은 申, 辛祿은 酉로, 壬祿은 亥로, 癸祿은 子로, 丙祿은 巳로, 丁祿은 午로, 戊祿은 巳에 의탁하며 己祿은 午에 의탁하며, 이 巳午는 火旺의 향이고, 子息은 母를 쫓아 祿을 얻는 뜻이다.
*12운성의건록이 된다.
內有辰戍醜未,辰戌為魁罡,名曰邊鄙惡地,祿元不寄;醜未乃天乙貴人出入之門,祿元避之,所以四宮無祿。又曰四季有雜氣,為祿不專,故不取。
안에서 辰戌 丑未가 있고, 辰戌은 魁剛(괴강)이 되고 이름 왈 邊方(변방)의 나쁜 땅이며 祿元(녹원) 불기이다; 丑未는 天乙貴人 출입하는 門이며,
祿元을 피하고, 그래서 四宮은 祿(녹)이 없다. 또 왈 四季節(사계절)은 雜氣가 있어, 祿은 오로지 없게 되므로, 취가 없다.
ㅡ원문은 아래ㅡ
甲祿(갑록)은 寅(인)에 있어 만일 甲(갑)이 丙寅(병인)을 보고 그렇게 되면 甲木(갑목)과 寅中(인중)무토 이래 甲(갑)과 土(토)가 되는데 능히[克(극)] 丙水(병수)가 養命(양명)의 근원 財物(재물)이 된다 말하자면 寅中(인중)丙火(병화)는 寅中(인중)戊土(무토)를 생하고 水(수)는 甲(갑)을 생하는데 水(수)는 어디서오는 水(수)인가 바로 寅亥(인해)合木(합목)하는 合祿(합록)에서 오는 것이라 이래서 丙水(병수)가 그 甲土(갑토)를 생하는 것이 되어선 재물이 된다 이를 福星(복성)祿(록)이라 한다
戊寅(무인)은 火土(화토)相生(상생)이라 이를 伏馬祿(복마록)이라 하여 다 吉(길)하다
庚寅(경인)은 破祿(파록)이라 하고 半吉(반길) 半凶(반흉)하며
壬寅(임인)은 正(정)祿(록)이라 해서 절로공망을 둘른 것이라 필히 僧徒(승도)가 된다
甲寅(갑인)은 長生(장생)록이라 하고 大吉(대길)하다
甲祿寅。如甲見丙寅,甲土克丙水為財,為福星祿;戊寅火土相生,為伏馬祿,俱吉。庚寅謂之破祿,半吉半凶。壬寅謂之正祿,帶截路空亡,必為僧道。甲寅謂之長生祿,大吉。
乙祿(을록)은 卯(묘)에 있으며
乙卯(을묘)를 보는 것이 喜(희)神(신)旺祿(왕록)이라 하여 주로 길하다
丁卯(정묘)는 절로공망이라 하여 주로 凶(흉)하다
己卯(기묘)는 進神(진신)녹이라 하고
辛卯(신묘)는 破祿(파록)이라 하고 또 交神(교신)이 되며 半吉(반길) 半凶(반흉)하다
癸卯(계묘)는 太乙(태을)을 띠 하였으며 死祿(사록)이 되며 貴(귀)하여도 마침내 가난해 질것이다
乙祿卯。見乙卯謂之喜神旺祿,主吉。丁卯為截路空亡,主凶。己卯,進神祿;辛卯,破祿,又為交神,半吉半凶。癸卯帶太乙,死祿,雖貴終貧。
丙祿(병록)은 巳(사)에 있으며
己巳(기사)를 보면 九天(구천)庫祿(고록)이라 하여 주로 吉(길)하고
辛巳(신사)는 截路空亡(절로공망)이 되며
癸巳(계사)는 伏貴神祿(복귀신록)이 되며 半吉(반길) 半凶(반흉)하다
乙巳(을사)는 旺馬祿(왕마록)이 되고
丁巳(정사)는 倉庫(창고)祿(녹)이라서 다 吉(길)하다
丙祿巳。見己巳,九天庫祿,主吉。辛巳,截路空亡。癸巳,伏貴神祿,半吉半凶。乙巳,旺馬祿。丁巳,庫祿,俱吉。
丁祿(정록)은 午(오)에 있으며
庚午(경오)를 보면 截路空亡(절로공망)이라 흉하고 壬午(임오)는 덕이 合祿(합록)되었다 하고
甲午(갑오)는 進神(진신)祿(록)이 되어 다 흉하다
丙午(병오)는 喜神祿(희신록)이 되고 羊刃(양인)을 사귀는 것이라서 半吉(반길)하다
戊午(무오)는 羊刃(양인) 祿(록)이 엎드린 것이라 해서 凶(흉)함이 많다
丁祿午。見庚午,截路空亡,凶。壬午為德合祿,甲午為進神祿,俱凶。丙午為喜神祿,交羊刃,半吉。戊午,伏羊刃祿,多凶。
戊祿(무록)은 巳(사)에 있으며
己巳(기사)를 보면 九天(구천) 倉庫(창고)祿(록)이라 해서 주로 길하다 截路空亡(절로공망)이기도 하다
癸巳(계사)는 貴神祿(귀신록)이 된다 所謂(소위) 天乙(천을) 貴人(귀인)이 된다
戊癸(무계)는 合(합)하여 관직자리가 무겁게 된다
乙巳(을사)는 驛馬(역마)가 同鄕(동향)하는 祿(록)이고 정사는 왕성한 倉庫(창고)록이라서 다 길하다
戊祿巳。見己巳,九天庫祿,主吉。,截路空亡。癸巳,貴神祿,戊癸化合,有官位重。乙巳,驛馬同鄉祿。丁巳,旺庫祿,俱吉。
己祿(기록)은 午(오)에 있으며
庚午(경오)를 보면 截路空亡(절로공망)이 되고
壬午(임오)는 死鬼(사귀)록이 되어 다 흉하다
甲午(갑오)는 進神(진신)合祿(합록)이라 顯達(현달)之象(지상)이요
丙午(병오)는 喜神祿(희신록)이고
戊午(무오)는 伏神(복신)羊刃(양인)祿(록)이라서 흉하다
己祿午。見庚午,截路空亡。壬午,死鬼祿,俱凶。甲午,進神合祿,顯達之象。丙午,喜神祿。戊午,伏神羊刃祿,凶。
庚祿(경록)은 申(신)에 있으며
大敗(대패)祿(록)이라 하고 截路空亡(절로공망)이라서 다 흉하다
丙申(병신)은 大敗(대패)祿(록)이라서 成敗(성패)가 많고
戊申(무신)은 伏馬(복마)록이라서 遲滯(지체) 됨이 많고 만일 福星(복성)을 두면 貴吉(귀길)해진다
庚申(경신)은 長生(장생)록이니 大吉(대길)하다
庚祿申。見壬申,為大敗祿。截路空亡祿,俱凶。丙申,大敗祿,多成敗。戊申,伏馬祿,多滯,若值福星,貴吉。庚申,長生祿,大吉。
辛祿(신록)은 酉(유)에 있으며
癸酉(계유)를 보면 伏神(복신)록이 되어 水火(수화)를 相犯(상범)함이라 흉하다
乙酉(을유)는 破祿(파록)이며 成敗(성패)가 있고
丁酉(정유)는 空亡(공망)貴神(귀신)록이라 丁(정)木(목)은 기운을 받고 辛(신)水(수)는 沐浴(목욕)이니 주로 姦淫(간음)事(사)가 일어나고 喜神(희신)을 두어 길하다
己酉(기유)는 進神(진신)록이며
辛酉(신유)는 正祿(정록)이라 다 길하다
辛祿酉,見癸酉,伏神祿,水火相犯,凶。乙酉,破祿,成敗。丁酉,空亡貴神祿,丁木受氣,辛水沐浴,主姦淫事;值喜神,吉。己酉,進神祿。辛酉,正祿,俱吉。
壬祿(임록)은 亥(해)에 있으며
丁亥(정해)를 보면 貴神(귀신)合祿(합록)이 되고
乙亥(을해)는 天德(천덕)록이 되고
己亥(기해)는 旺祿(왕록)이 되며
辛亥(신해)는 馬(마)와 같이 鄕(향)하는 祿(록)이 되어서 다 大吉(대길)하다
惟獨(유독) 癸亥(계해)는 大敗(대패)록이라서 가난하고 淺薄(천박)하다
壬祿亥,見丁亥,貴神合祿。乙亥,天德祿。己亥,旺祿;辛亥,同馬鄉祿,俱大吉。獨癸亥,大敗祿,貧薄。
癸祿(계록)은 子(자)에 있으며
甲子(갑자)를 보면 進神(진신)록이 되며 주로 登科(등과)하여 顯達(현달)함으로 나아가고
丙子(병자)는 羊刃(양인)록을 사귄다 하며 福星(복성)을 띠한다면 귀하고 權力(권력)있다
戊子(무자)는 羊刃(양인)이 貴祿(귀록)과 합하여 엎드렸다 해서 半吉(반길)하고
庚子(경자)는 印綬(인수)록이라 해서 길하다
壬子(임자)는 羊刃(양인)이 바로한 祿(록)이라서 凶(흉)하다
癸祿子,見甲子,進神祿,主登科進達。丙子,交羊刃祿,帶福星,貴有權。戊子,伏羊刃合貴祿,半吉。庚子,印祿,吉。壬子,正羊刃祿,凶。
生成(생성)록이 있으니 甲乙(갑을)人(인)은 甲寅(갑인)을 얻고 乙卯(을묘)를 얻는 종류이다
名位(명위)록이 있으니 甲寅(갑인)은 丙寅(병인)을 보는 종류이다
有生成祿,甲乙人得甲寅、乙卯之類。有名位祿,甲人見丙寅之類。
참록이 있으니 甲寅(갑인)이 丙(병) 혹 己(기)를 보는 거와 乙(을)人(인)이 己(기) 혹 午(오)를 보는 종류이니 다 貴格(귀격)이다
有真祿,甲人見丙或己,乙人見己或午之類,皆為貴格。
進退(진퇴) 真祿(진록)이 있으니
戊辰(무진)은 丁巳(정사)를 보고
戊午(무오)는 丁巳(정사)를 보며
丙辰(병진)은 癸巳(계사)를 보며
丙午(병오)도 癸巳(계사)를 보며
癸亥(계해)는 甲子(갑자)를 보며
癸丑(계축)은 甲子(갑자)를 보며
壬戌(임술)은 癸亥(계해)를 보며
壬子(임자)도 癸亥(계해)를 보면 나아가면 평리하고 물러나면 어렵게 되는 것이니 거듭 福神(복신)을 두른다면 가히 貴命(귀명)을 짓는다 하여 그러나 거듭 보는 것은 두려워 한다
有進退真祿,戊辰見丁巳、戊午見丁巳,丙辰見癸巳、丙午見癸巳,癸亥見甲子、癸醜見甲子,壬戌見癸亥、壬子見癸亥,進則平易,退則艱難,更帶福神,可作貴命,怕重見。
祿(록)에 있어 會合(회합)이 있으니
甲祿(갑록)이 寅(인)에 있어 庚戌(경술)의 종류를 얻는 거와 같다 食神(식신)을 띠하는 祿(록)이 있으니
壬(임)食(식)은 甲(갑)인데 甲寅(갑인)을 얻고
癸(계)食(식)은 乙(을)인데 乙卯(을묘)를 얻고
戊(무)食(식)은 庚(경)인데 庚申(경신)을 얻고
己(기)食(식)은 辛(신)인데 辛酉(신유)를 얻고
그러면 주로 吉(길)하다
有祿值會合,甲祿寅而得庚戌之類。有食神帶祿,壬食甲而得甲寅,癸食乙而得乙卯,戊食庚而得庚申,己食辛而得辛酉,主吉。
食神(식신)合祿(합록)이 있는데
甲(갑)食(식) 丙(병)하며 丙申(병신)과 丙寅(병인)을 얻고
乙(을)食(식) 丁(정)인데 丁未(정미)와 丁卯(정묘)를 얻고
庚(경)食(식) 壬(임)인데 壬辰(임진)과 壬子(임자)를 얻고
辛(신)食(식) 癸(계)인데 癸巳(계사)와 癸丑(계축) 八位(팔위)를 얻는 것은 다 주로 길하다
有食神合祿,甲食丙得丙申、丙寅,乙食丁得丁未、丁卯,庚食壬得壬辰、壬子,辛食癸得癸巳、癸醜八位,俱主吉。
祿(록)에 있어 머리에 재물이 있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채색을 놓는다 하는 록이 된다 이것을 花紋(화문)殺(살)이라 한다
甲(갑)人(인)이 戊寅(무인)을 보고 乙(을)人(인)이 乙卯(을묘)를 보는 종류로 주로 사람이 富裕(부유)하며 명망이 있다
祿(록)에 있어 鬼(귀)를 머리로 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赤口煞(적구살)이라 한다
甲(갑)人(인)이 庚寅(경인)을 보고 乙(을)人(인)을 辛卯(신묘)의 종류를 보는 것과 같다 주로 口舌(구설)과 刑責(형책)이 있다
旬中(순중)에 祿(녹)이 있으니 甲申(갑신)이 庚寅(경인)을 보고 戊午(무오)가 丁巳(정사)를 보는 종류로 주로 맑고 꽃이 피어 要職(요직)에 있다
有祿頭財,為縟 화문 놓을 욕화문 놓다, 무늬, 채색, 번다(煩多)하다煞, 甲人見戊寅,乙人見乙卯之類,主人富有聲望。有祿頭鬼,為赤口煞,甲人見庚寅,乙人見辛卯之類,主口舌刑責。有旬中祿,甲申見庚寅、戊午見丁巳之類,主清華要職。
天祿(천록)貴神(귀신)이 있으니 만일 丁(정)人(인)록이 午(오)에 있는데 찾기를 午(오)上(상)에 이르러 丙(병)字(자)를 얻고 丙(병)貴(귀)는 酉(유)亥(해)에 있는데 辛酉(신유)를 얻고 辛亥(신해)라면 辛(신)貴(귀)는 거듭 午(오)에 貴人(귀인)되는 종류니 入格(입격)極品(극품)이라 한다
有天祿貴神,如丁人祿在午,遁至午上得丙字,而丙貴在酉亥,得辛酉、辛亥則辛貴,複見於午之類,入格極品。
干支(간지) 合祿(합록)이 있으니 만일 甲祿(갑록)이 寅(인)에 있음에 甲寅(갑인) 己亥(기해)를 얻고 乙祿(을록)이 卯(묘)에 있음에 乙卯(을묘)를 얻고 庚戌(경술)을 얻는 종류이니 주로 官職(관직)이 높으며 무겁다
互換(호환)되는 貴祿(귀록)이 있으니 庚寅(경인)이 甲申(갑신) 日時(일시)를 보는 종류이다
朝元祿(조원록)이 있으니 寅(인)人(인)이 甲(갑)日時(일시)를 보는 종류이다 혹 胎中(태중)에 朝會(조회)하면 더욱 貴(귀)하다
有干支合祿,如甲祿寅,得甲寅,己亥, 乙祿卯,得乙卯、庚戌之類,主官職崇重。有互換貴祿,庚寅見甲申日時之類。有朝元祿,如寅人見甲日時之類,或朝於胎中,尤貴。
朝元(조원)夾合(협합)이 있으니 만일 癸巳(계사)가 戊辰(무진) 戊午(무오)를 보면 兩戊(양무)가 더불어 癸(계)를 합하고 巳(사)를 夾(협)하는 것을 말하는데 戊(무)祿(록)은 巳(사)의 종류인지라 주로 封爵(봉작)을 받게 된다
록에 있어 入祿堂(입록당)이라 하는 게 있는데 理愚歌(리우가)에 하길 祿(록)이 祿堂(록당)에 든다하여 모름지기 크게 謝恩肅拜(사은숙배)할 일이 있다 하니 李虛中(이허중)이 말하길 甲(갑)人(인)이 甲戌(갑술)을 얻고 甲(갑)으로써 歲幹(세간)을 삼는다면 甲(갑)의 본연의 자리는 찾되 戌(술)에 이르러 祿堂(록당)이라 한다
有朝元夾合,如癸巳見戊辰、戊午,兩戊與癸合夾巳,戊祿巳之類,主封爵。有祿入祿堂,《理愚歌》雲:“祿入祿堂須大拜”,李虛中以甲人得甲戌,以甲為歲幹,則甲之本位遁至戌,謂之祿堂。
辛(신)壬(임)이 두 자리가 있으니 辛(신)은 辛卯(신묘) 辛丑(신축)에 있고 壬(임)에는 壬寅(임인) 壬子(임자)에 있고 五行(오행)이 克(극)함이 없으며 諸位(제위)가 서로 도우면 發福(발복)함이 필히 크다
辛壬有二位,辛有辛卯、辛醜, 壬有壬寅、壬子,五行無克,諸位相助,發福必大。
古人(고인)이 말하길
祿(록)前(전) 앞 두 神(신)이 背(배)가 되고 祿(녹)뒤 두 神(신)이 向(향)이 된다 하고 建祿(건록)과 向(향)과 近(근)과 合(합) 넉자가 貴(귀)가 된다 하니 建(건)은 向(향)만 못하고 近(근)은 合(합)만 못하고 巳(사)字(자)中(중)에 두 가지만 얻는 것이라도 貴(귀)가 된다 만일 甲(갑)祿(록)이 寅(인)에 있는데 寅(인)으로써 建祿(건록)을 삼는데 丑(축)이 向(향)이 되고 卯(묘)가 近(근)이 되며 亥(해)가 合(합)이 된다 남은 것도 이를 미루어서 살필 것이다
古人雲:祿前二辰為背,祿後二辰為向。沈芝取建、向、近、合四字為貴,建不如向,近不如合,四字中得兩字者,為貴。如甲祿寅,以寅為建,醜為向,卯為近,亥為合,餘准此。
남은 것은 다 一位(일위)에 三合(삼합) 六合(육합)上(상)에서 見刑(견형) 見貴(견귀)를 꺼리는 것이니
甲戌(갑술)로써 말해보건데 鬼(귀)가 丑(축)上(상)에 있는지라 곧 가히 두려워하게 된다 丑刑戌(축형술)함으로써 이다
未(미)에 있으면 꺼리지 않는데 戌刑(술형) 未(미) 함으로써다
乙酉(을유)로써 말하건데 鬼(귀)가 巳(사)上(상)에 있어 害(해)로움 되니 三合(삼합)이 서로 모여서 있는 것이다
辰(진)에 있으면 福(복)이 減(감)해지고 六合(육합)을 相親(상친)한 것이 된다
무릇 建祿(건록)이라 하는 것은 주로 사람이 몸이 肥大(비대)하고 기운이 實(실)하여 체격이 맑지 못하고 일생동안 安逸(안일)하며 財物(재물)이 풍족하다
餘皆一位忌三合六合上見刑見鬼,以甲戌言,鬼在醜上,則可畏,以醜刑戌;在未則不忌,以戌刑未。以乙酉言,鬼在巳上為害,以三合相會, 在辰則減福,以六合相親。
夫建祿者,主人肌 살 기, 근육, 피부, 몸, 신체기厚氣實,體格不清,一生安逸足財,生旺(생왕)하면 이롭고 자연 死絶(사절)되면 기운이 濁神(탁신)이어서 神(신)이 게을러 진다 부지런하게 生(생)함을 爲(위)하고 吝嗇(인색)하며 함부로 鄙陋(비루)하게 나댄다
元嗔(원진)과 아우르면 賭博(도박)으로 財物(재물)을 얻고 거듭 因(인)하여 失敗(실패)도 보며 官符(관부)와 더불어 아우르면 官門(관문)으로 인하여 재물을 얻고 혹 많은 爭訟(쟁송)을 일으키며 혹 劫煞(겁살)과 아우르면 賤(천)한 재주를 좋아하여 적은 商人(상인)이 되고 의롭지 못한 행동으로 橫財(횡재)를 하며 天中(천중)殺(살)과 아우르면 많이 遺失(유실)되고 재물이 깨어진다
祿(녹)貴(귀)와 더불어 아우르면 만이 賃貸(임대)業(업)과 거간꾼이 되어서 재물을 얻으며 죽음에 이르도록 통하지 못할까 생각하여 오직 재물만을 생각하는 사람이다
利生旺;自然死絕則氣濁神慢,孳孳 부지런할 자부지런하다, 붇다, 늘리다, 불어나다, 낳다, 새끼를 낳다為生,吝嗇猥 함부로 외;함부로, 뜻을 굽히어, 적어도, 진실로, 뒤섞이다, 통합하다
鄙。與元辰並,因樗가죽나무 소태나무 저蒲 강가 바닷가 조수가 드나드 는 곳 포 =도박得財,複因此敗。與官符並,因官門得財,或多爭訟。與劫煞並,好賤技小商,不義橫財。與天中並,多遺失破財。與祿鬼倒食並,多因賒세넬사 외상 사貸牙儈거간군 괴 得財,至死不通,惟財是念之人。
또 말한건데
倉庫(창고)라 하는 것은 祿(녹)이 모이는 곳이다.
만일 甲乙(갑을)이 未(미)에 있고 丙丁(병정)이 戌(술)에 있으며 戊己(무기) 壬癸(임계)가 辰(진)에 있으며 庚辛(경신)이 丑(축)에 있는 거와 같다.
만일 甲乙(갑을) 亥(해)가 많아서 未(미)를 얻음 이에 祿(녹)이 풍족한 사람이다.
合(합)이라 하는 것은 祿(녹)이 橫財(횡재)를 바라는 것이니 만일 甲(갑)祿(녹)이 寅(인)에 있는데 亥(해)를 얻으면 明合(명합)이라한다.
寅(인)이 없어도 亥(해)를 얻으면 暗合(암합)이라 해서 비록 祿(녹)을 보지 안해도 역시 말하길 祿(녹)을 보았다 한다.
많이 주로 갑자기 오는 福(복)이 있다한다.
끼어 갖는다 하는 것은 祿(녹)의 높음을 말하는 것이니
만일 甲(갑)祿(록)은 寅(인)에 거하는데 寅(인)을 보지 않고 丑(축)을 보며 卯(묘)가 兩方(양방)에 있어 이를 虛空(허공)夾(협)이라 한다.
만일 甲人(갑인)이 寅(인)을 보고 또 丑(축)을 보며 卯(묘)가 兩方(양방)에 있어 拱夾(공협)을 할 것 같으면 일러 實(실)함을 拱夾(공협)했다 한다.
그러나 實(실)한 拱夾(공협)이 許(허)한 拱夾(공협)만 같지 못한다. 주로 大富貴(대부귀)한다.
又曰:庫者,祿之聚,如甲乙在未,丙丁在戌,戊己壬癸在辰,庚辛在醜。如甲乙亥多而得未,乃祿厚豐足之人。合者,祿之橫,如甲祿寅而得亥,謂之明合;無寅得亥,謂之暗合,雖非見祿,亦曰見祿,多主儻빼어날 갑자기 당來之福。拱者,祿之尊,如甲祿居寅,不見寅而見醜,卯在兩傍,謂之虛拱;如甲(갑)人見寅又見醜,卯在兩傍拱之,謂之實拱,然拱實不若拱虛,主大富貴。
무릇 人命(인명)이 祿(녹)을 띠 하면 혹 吉(길)하기도 하며 혹 凶(흉)하기도 하며 혹 貴(귀)하기도 하며 혹 淺薄(천박)하기도 하야 온전하게 기대고 부친다고 할 수가 없고 편벽되어 다 길하다고는 할 수가 없다.
凡人命帶祿,或吉或凶,或貴或賤,未可全靠서로어길고 기대고 붙칠고 便為吉論。
天乙(천을) 妙旨(묘지)에 하길 임금을 보지 못함 祿馬(록마)가 의지할데가 없다 한다.
오행의 惡(악)함을 탐구하고 고찰하야 天元(천원)이 파리하고 연약한 것은 재앙되지 않으며 地氣(지기)가 굳어 외양간 처럼 된다면 족히 기쁘다 할 것이다.
源髓歌(원수가)에 하길 祿馬(록마)가 거듭 일반적으로 많은 說(설)이 있으니 自然(자연) 衰(쇠)하고 자연 죽으며 兼(겸)하여 敗絶(패절)도 한다하니 만일 吉(길)함이 없고 살이 더하야 도울시에는 祖上(조상)의 業(업)을 破(파)하고 浮萍草(부평초)같은 劣等(열등)자가 됨을 알 것이다.
가히 먼저 五行(오행)을 논하여 보고 뒤로 祿馬(록마)를 볼 것이니 五行(오행)의 生旺(생왕)이 중요한 것이고 祿馬(록마)衰絶(쇠절)되는 것이 두려운 것이다.
司馬季主(사마계주)에 하길 祿(녹)이 많고 馬(마)가 적으면 하여금 주로 身役(신역) 정신이 고달프며 祿(녹)이 적고 馬(마)가 많으면 잘 조절이 되어 좋게 짐을 진다 한다.
《天乙妙旨》雲:“君不見,祿馬貴人無准승인 견주다 비기다 의거하다 준托손으로밀어서열다 밀다 탁,考究五行之惡,天元羸弱未為災,地氣堅牢우리 외양간 로足歡樂。”《源髓歌》雲:“祿馬更有多般說,自衰自死兼敗絕,若無吉煞加助時,定知破祖多浮劣조업을파하고 부평초 열등자가 됨을 알것이다 。”可見先論五行,後看祿馬,五行要生旺,祿馬怕衰絕。司馬季主雲:祿多馬少,使主神勞;祿少馬多,能操善負。
***-----------
삼명통회 6. 삼기 7. 천월덕
《珞錄子》낙록자가 하길 奇(기)의 거동을 犯(범)하게 되면 書冊(서책)은 쌓 안은 群衆(군중)에서 뛰어난 그릇이라 하고 遁甲(둔갑)하여 찾길 三奇(삼기)를 펼치고 六儀(육의)를 거스린다 하며 命(명)이 甲子(갑자) 갑旬(순) 두 순으로부터 나선 甲戊庚(갑무경)을 만나면 거듭 三(삼)기를 범한 威容(위용)이라 한다
雲:犯奇儀,蘊저축 간직 藉서적 책 문서 장부 抱出群之器。遁甲》曰:布三奇,逆六儀。? 命出甲子、甲申二旬遇甲戊庚,是重犯奇儀也。
무릇 삼기라 하는 것은 주로 사람의 정신이 특출 난 것이니 생각하는 것이 민첩하고 탁월하다
기이함을 좋아하고 큼을 숭상하며 널리 배워 재능이 많고 천을 귀인을 둘른 자는 勳業(훈업)이 群雄(군웅)에서 뛰어나니 또 천월 이덕을 두른다면 凶(흉)災(재)가 범하지 않는다한 다
凡命遇三奇,主人精神異常,襟懷 襟 옷깃 금옷깃, 가슴, 마음, 생각, 재빠르다, 민첩하다 금회 卓越,好奇尚大,博學多能。帶天乙貴者,勳業超群;帶天月二德者,凶災不犯。
六儀(육의)룰 둘른자는 지혜가 출중하며 삼합을 둘어 입국을 한자는 국가의 기둥과 초석이 될 것이며 官符(관부)劫煞(겁살)을 두른 자는 識者(식자)의 그릇이 크고 멀다 할 것이다
帶六儀者,才智出類。帶三合入局者,國家柱石,帶官符劫煞者,器識宏宏 클 굉크다, 넓다, 광대하다, 두루, 널리 굉遠。
공망생왕을 띠한자는 탈속을 한 사람이고 부귀해도 음탕치 않고 威武(위무)로도 굽힐수 없는 자이다
원진 함지 충파 천라지망을 둔자는 쓸데가 없다
삼기를 논할 적엔 태세가 월일시에 둘러선 드러낼 것을 그렇게 하지 못하였다면 고독하다
帶空亡生旺者,脫塵離俗,富貴不淫;威武不屈,值元辰、咸池、衝破、天羅地網者,為無用。論三奇,太歲不帶而月日時帶著,孤獨。
시에 말하길
십간신이 을병정 이면 神童(신동)이 아니면 及第(급제)로다 名聲(명성)을 널리 전파하니 日時(일시)가 祿馬(록마)이면 公卿(공경)殺(살)이라 한다
武(무)가 바꾸어지고 文(문)이 덜려선 나가선 聖王(성왕)을 밝게 도우는 賢臣(현신)이라한다
詩曰:?十幹神乙丙丁,神童及第播聲名;日時祿馬公卿煞,換武除文佐聖明。
십간신 갑무경이 장생을 겸하고 兵部(병부)의 명호를 얻는다하고 만일 無祿(무록)이 馬(마) 없음을 겸한다면 재물을 蓄積(축적)하는 사람이라 하고
哲人(철인)말하기를 三奇(삼기)는 모름지기 두 번 중첩하여서 만나면 바야흐로 영화롭고 복이 있는 사람이라 한다
十幹神甲戊庚,兼得長生丙府名;若然無祿兼無馬,只是財中蓄積人。철인왈 曰 奇須是重逢貴,方是榮華福壽人;
다만 공망이 있음 삼기가 귀한 땅이 없다하며 빈궁하천하여져선 남의 천대를 받는다한다
철인말하길 을병정과 갑무경은 上局(상국)이 될려면 상생이 거듭 되어야지만 봉래산 신선객만 됨만 아니라 응하길 금박을 드린 전각과 옥돌의 층계를 래왕하게 된다한다
只有空奇無貴地,貧窮下賤被欺淩。
? 철인왈 曰(왈)丙丁、甲戊庚,上局相生生複生,不是蓬萊三島客,也應金殿玉階行。
? 철인이 말 하기를
삼기발화하면 공을 행랑복도에 새기는 관직을 갖게될 것이고 혁혁한공훈늘 새길 것이라 그 이름난 신선이 辛壬癸(신임계)에 많이 탄생하고 三奇(삼기)로서 玉(옥)의 帳簿(장부)에 消息(소식)을 전하게 된다하니 경박하게 세속의술사가 평할수 없는 것이다 제詩(시)에 三奇(삼기)를 보건데 喜忌(희기=희신이 되었는가 기신이 되었는가)를 보라 하고 있다
철인왈 曰:識岩廊官 암랑관 공이 있어선 복도 행랑에 기록 되는 관이라 赫奕,名仙多誕 癸壬辛,三奇玉藉傳消息,輕薄時師莫與評。?諸詩觀三奇,喜忌見矣。
論天月德[월덕] 천덕 월덕을 논한다. 무릇 德이라 하는 것은, 사물을 이롭게 하고 사람을 구제하며, 凶을 가리고 善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天德[천덕]은 周天 三百六十五度二十午分半(365도 25분 반)을 十二宮[십이궁]으로 나누어 每宮마다 30度를 차지하게 하면 합계가 360도가 된다. 그 나머지 5度 25分 半을 十二位宮에 散在[산재]시킨것을 말한다.
甲 庚 丙 壬, 乙 辛 丁 癸, 乾 坤 艮 巽을 神藏殺沒[신장몰살](신장살몰)이라 하는데 每宮은 각각 44도를 얻게 된다.
子午卯酉[자오묘유] 中에는 甲庚丙壬(子中有壬, 卯中有甲, 午中有丙, 酉中有庚)이 있고,
辰戌丑未[진술축미] 中에는 乙辛丁癸(을신정계)(丑中有癸, 辰中有乙, 未中有丁, 戌中有辛)가 있고,
寅申巳亥 中에는 乾坤艮巽(寅中有艮, 巳中有巽, 申中有坤, 亥中有乾)이 있으니 神藏殺沒[신장몰살]이라 하고 이 十二宮[십이궁]을 돌면서 능히 凶을 善으로 만드니 이를 天德[천덕]이라 한다.
月德[월덕]은 三合[삼합]이 비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니 日月會合[일월회합]의 辰[신]이다.
申子辰[신자진][신자진]은 酉(유)에 모여 庚(경)에서 出(출)하고 壬(임)으로 入垣(입원)하며,
亥卯未[해묘미](해묘미)는 午(오)에 모여 丙(병)에서 出(출)하고 甲(갑)으로 入垣(입원)하며,
寅午戌[인오술]은 卯(묘)에 모여 甲(갑)에서 出(출)하고 丙(병)으로 入垣(입원)하며,
巳酉丑[사유축](사유축)은 子(자)에 모여 壬(임)에서 出(출)하고 庚(경)으로 入垣(입원)하니,
따라서 壬 甲 丙 庚을 月德[월덕]이라 하고,
辰未戌丑 네 개의 月의 天德[천덕]은 月德[월덕]과 同一하다.
모두 日[일]이 비치고 月[월]이 臨[임]하는 宮[궁]이니, 무릇 하늘이 빛나면 땅의 煞들이 모두 制服되니 가히 凶을 돌려서 吉을 만드는 것이라 한다.
壺中子(호중자) 하길,
天德[천덕](천덕)은 陽(양)의 德(덕)이다.
正月(정월)은 乾卦(건괘)의 앞(前) 一辰(일신)으로부터 시작하여 順行[순행]하니 正月(정월) 亥(해), 二月(이월) 子(자), 三月(삼월) 丑(축), 四月(사월) 印(인), 五月(오월) 卯(묘), 六月(육월) 辰(진), 七月(칠월) 四(사), 八月(팔월) 午(오), 九月(구월) 未(미), 十月(십월) 辰(신), 十日십일월 酉(유), 十二月 戌(술)이 된다.
月德[월덕]은 陰의 德이다.
正月은 坤卦의 뒤(後) 一辰으로부터 시작하여 順行하니 正月 未, 二月 申, 三月 酉, 四月 戌, 五月 亥, 六月 子, 七月 丑, 八月 寅, 九月 卯, 十月 辰, 十一月 巳, 十二月은 午가 된다한다.
五星(오성) 論,
天月德[월덕]은 본래 나중에 나온 說로써, 以前에는 天月德[월덕]貴人[천월덕귀인]이라 하여 干支(간지)를 구분한다.
閻東叟(염동수) 하길,
貴神[귀신]이 자리하면 모든 殺들이 伏藏(복장)하고, 二德이 있으면 凶의 무리들이 解散(해산)한다.
무릇 命中에 凶殺이 있다 하여도 이 二德의 도움을 얻으면 凶이 甚(심)하지 아니하다.
德은 마땅히 日上에서 보아야 하며, 時上에서 剋 ․ 衝 ․ 刑 ․ 破를 범하지 아니 하여야 吉[길]하다 한다.
사람이 이 二德을 얻으면 一生이 安逸(안일)하고 刑을 범하지 아니하며 도둑을 만나지 아니하고, 凶禍[흉화]를 만나도 자연히 消散(소산)될 것이며, 三奇 天乙貴가 함께하면 더욱 吉하다. 혹 財 ․ 官 ․ 印綬 ․ 食神이 德에 해당하면 福이 倍가 될 것이다.
貴格에 해당하면 壯元及第(장원급제)하여 임금의 총애와 신임을 얻을 것이요, 혹 조상의 蔭德(음덕)을 입으면 역시 顯達[현달]할 것이다.
賤格에 해당하면 一身은 따뜻하고 배불리 지내며 福과 壽는 누릴 수 있으나, 蹇滯함이 있으니 곤궁함을 잘 견디어 내야 君子의 풍모를 잃지 않을 것이다.
三命鈐(삼명검) 云,
天德[천덕]은 五行福德의 辰이니 만약 사람이 天德[천덕]을 만나면 台輔(태보 - 官職 名)의 지위에 까지 오를 것이며, 다시 月德[월덕]이 兼하여 있으면 더욱 좋으니 설령 凶殺이 있다 하여도 淸顯(청현)하리라.
子平賦(자평부) 云,
印綬가 天德[천덕]을 同位에서 얻으면 官刑不犯하고, 늙을 때까지 災殃이 없으니 이것은 天德[천덕]이 月德[월덕]보다 낫다는 것이다.
大統歷(대통력)을 살펴보면 天月德[월덕]合(천월덕합)이 있으니, 이는 五行相契(오행상계)의 辰이다.
月德[월덕]合이란 正月에 丙과 辛이 合을 하고, 二月에 甲과 己가 合을 하고, 三月에 壬과 丁이 合을 하고, 四月에 庚과 乙이 合을 하는 것을 말하며, 나머지도 이에 의하리라.
天德[천덕]合이란 正月에 丁과 壬이 合을 하고, 二月에 坤과 巽이 合을 하고, 三月에 壬과 丁이 合을 하고, 四月에 辛과 丙이 合을 하는 것을 말하며, 나머지도 이에 의하리라.
月空(월공)이란 것이 있으니, 寅午戌[인오술] 月에 壬, 亥卯未[해묘미] 月에 庚, 申子辰[신자진] 月에 丙, 巳酉丑[사유축] 月에 甲이 月空이다.
月厭(월염)이란 것이 있으니, 正月에는 戌, 二月 酉, 三月 申, 四月 未, 五月 午, 六月 巳, 七月 辰, 八月 卯, 九月 寅, 十月 丑, 十一月 子, 十二月은 亥가 月厭이 된다.
月煞(월살)이란 것이 있으니, 寅午戌[인오술] 月에 丑, 亥卯未[해묘미] 月에 戌, 申子辰[신자진] 月에 未, 巳酉丑[사유축] 月에 辰이 月煞이다.
歲干德[세간덕](세간덕)이라는 것이 있으니, 甲己는 甲에, 乙庚은 庚, 丙辛은 丙, 丁壬은 壬, 戊癸는 戊에 歲干德[세간덕]이 있으니 역시 甲 ․ 庚 ․ 丙 ․ 壬을 干德으로 취하고, 月干德도 歲干德[세간덕]과 동일하다.
天赦日(천사일)이라는 것이 있으니, 春生 戊寅, 夏 甲午, 秋生 戊申, 冬 甲子가 天赦日이 된다. 天赦日은 사계절 하늘의 氣를 오로지 하여, 萬物을 生育하고, 罪를 용서하고 過誤를 赦免(사면)하는 것이다.
만약 人命에 月德[월덕], 德秀, 月合[월합], 月空이 한곳으로 모이게 되면 四大吉時가 되고, 더하여 生日이 天赦日에 해당되면 더욱 妙하다.
이것들 외에 또 天喜神(천희신)이라는 것이 있으니, 春戌, 夏丑, 秋辰, 冬未가 天喜神이다. 天喜神을 만나는 者는 주로 기쁨과 즐거움(歡欣 : 환흔)이 있다.
旌德煞(정덕살)이라는 것이 있으니, 寅午戌[인오술]에 丙 日 ․ 時, 亥卯未[해묘미]에 甲 日 ․ 時, 申子辰[신자진]에 壬 日 ․ 時, 巳酉丑[사유축]에 庚 日 ․ 時가 정덕살이다.
旌鉞煞(정월살)이라는 것이 있으니, 寅午戌[인오술]에 寅時, 亥卯未[해묘미]에 亥時, 申子辰[신자진]에 申時, 巳酉丑[사유축]에 巳時가 旌鉞煞이고, 또한 寅午戌[인오술]이 辛을 보거나, 亥卯未[해묘미]가 己를 보거나, 申子辰[신자진]이 丁을 보거나, 巳酉丑[사유축]이 乙을 보는 것 역시 旌德이라 말하리라.
經에 이르기를,
一神의 主가 旌德이 되면, 五世가 貧窮(빈궁)치 않을 것이며, 旌鉞煞이 함께하면, 將相 三公의 지위에 까지 이르게 될 것이고, 德과 鉞이 함께하면 貴하지 아니하면 富하다고 하리라.
또 일종의 정월살이 있으니, 寅卯辰 人이 癸酉를 보고, 巳午未 人이 癸卯를 보고, 申酉戌 人이 戊子를 보고, 亥子丑 人이 戊午를 보는 것이다. 이는 誅戮(주륙)의 神이니, 庶人은 徙配(사배)당할 것이요, 本命을 剋하고 주로 惡死할 것이다.
또 일종의 삼공살이 있으니, 寅午戌[인오술] 人 壬子요, 巳酉丑[사유축] 人 丙午, 申子辰[신자진] 人 乙卯, 亥卯未[해묘미] 人 辛酉가 일종의 三公殺이다. 三公殺은 四方의 기를 오로지 하는 곳에 자리하고 있어, 三公殺이 生年을 剋하면 五行 毒氣가 된다. 庶人이 犯하면(譯者 註 : 삼공살이 생년을 극하면) 非橫惡死[비영횡사]하나, 만약 旌鉞이 三公殺과 同位에서 함께하면 特殊한 貴가 있다.
이젯 날 運命을 말하는 자는, 月德[월덕]은 論하나 제반 神殺은 論하지 아니하니 이는 偏見(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論天月德夫德者,利物濟人、掩凶作善之謂也。天德者,謂周天有三百六十五度二十五分半,除十二宮分野,每宮各占三十度,共計三百六十度,外有五度二十五分半,散在十二佐宮甲、庚、丙、壬、乙、辛、丁、癸、乾、坤、艮、巽,謂之神藏煞沒。每宮各得四十四分,所以子午卯酉中有甲庚丙壬,辰戌醜未中有乙辛丁癸,寅申巳亥中有乾坤艮巽,此十二位宮,能回凶作善,乃曰天德也。月德者,乃三合所照之方,日月會合之辰,申子辰會酉出,庚入垣於壬;亥卯未[해묘미][해묘미]會幹出,丙入垣於甲;寅午戌會卯出,甲入垣於丙;巳酉醜會子出,壬入垣於庚,故壬甲丙癸謂之月德,而辰未戌醜四月,天德亦同屬焉。蓋日月照臨之宮,凡天曜地煞,盡可制服,故可回凶作吉。閻東叟雲:貴神在位,諸煞伏藏;二德扶持,眾凶解散。凡命中帶凶煞,得此二德扶化,凶不為甚;須要日上見,時上不犯克沖刑破,方吉。凡人得之,一生安逸,不犯刑,不逢盜,縱遇凶禍,自然消散。與三奇、天乙貴同並,尤為吉慶。或財官、印綬、食神、變德,各隨所變,更加一倍之福。入貴格,主登科甲,得君寵任;或承祖蔭,亦得顯達。入賤格,一生溫飽,福壽兩全;縱有蹇滯,亦能守分固窮,不失為君子。女命得之,多為貴人之妻。《三命鈴》雲:天德者,五行福德之辰,若人遇之,主登臺輔之位,更有月德並者,尤好;縱有凶煞,亦主清顯。《子平賦》雲:印(인)綬得同天德,官刑不犯,至老無殃?是天德勝月德也。考大統曆,有天月德合,乃五行相契之辰。月備合,如正月丙與辛合,二月甲與己合,三月壬與丁合,四月庚與乙合,餘照此。天德合,如正月丁與壬合,二月坤與巽合,三月壬與丁合,四月辛與丙合,餘照此。
有月空,如寅午戌[인오술][인오술]月壬,亥卯未[해묘미][해묘미]月庚,申子辰月丙,巳酉醜月申。有月厭,正月戊,二月酉,三月申,四月未,五月午,六月巳,七月辰,八月卯,九月寅,十月醜,十一月子,十二月亥。有月煞,寅午戌[인오술][인오술]月醜,亥卯未[해묘미][해묘미]月戌,申子辰月未,巳酉醜月辰。有天赦日,春戊寅,夏甲午,秋戊申,冬甲子,乃四時專氣,生育萬物,宥罪赦過。如人命聚一月德秀合空及四大吉時生,更遇天赦日,尤妙。此外又有天喜神,春戊,夏醜,秋辰、冬未,遇者主歡欣。有旌德煞,如寅午戌[인오술][인오술]、丙日進,亥卯未[해묘미][해묘미]、甲日時,申子辰、壬日時,巳酉醜、庚日時。有旌鉞煞,如寅午戌[인오술][인오술]、寅時,亥卯未[해묘미][해묘미]、亥時,甲子辰、申時,巳酉醜、巳時。又,寅午戌[인오술][인오술]見辛,亥卯未[해묘미][해묘미]見己,申子辰見丁,巳酉醜見乙,亦謂之旌德。經雲:정무神主旌德,五世不貧窮;內有旌鉞煞,將相及三公。人命(인명)鉞相會,不貴即富。又有一種旌鉞煞,寅卯辰人見癸酉,巳午未人見癸卯,申酉戌人見戊子,亥子醜人見戊午,乃四時專主誅戮之神,庶人主徒配;克本命,主惡死。又有一種三公煞,寅午戌[인오술][인오술]人壬子,巳酉醜人丙午,申子辰人乙卯,亥卯未[해묘미][해묘미]人辛酉,乃坐四方專氣來克生年,為五行毒氣,庶人犯之,主非橫惡死。若旌鉞更與三公煞會同一位,主殊貴。今之談命者論月德而諸煞不論,自是偏見,因並及之 *** 삼명 논 태극귀 論太極貴(一名 科名星)○論太極貴太極者,太初也,始也,物造于初為太極,成也,收也,物有所歸曰極。造化始終相保,乃曰太極貴也。甲乙木先造乎子,坎水助而生,後終乎午,離火焚而死。丙丁火先喜出乎震,卯也,後喜藏乎兌,酉也。庚辛金得寅,乃金生乎艮,見亥乃金廟乎乾。壬癸水先得則生,後得巳而納。經曰:地陷東南,四瀆俱流巽位,皆有始有終之意。己,土也,喜生乎申,得辰戌醜未為正庫。
太極이라는 것은 太初이고 시작이다
아무것도 없는 태초에서부터 만물이 생성되었으니 太가 된다.
極은 成(성)이요 收(수)이다. 다시 되돌아가는 바가 되니 極[극]이라 하는 것이다.
시작에서부터 끝날 때까지 서로 도와가며 造化[조화]를 이루니 太極이라 하나니라.
甲乙 木은 子 즉, 坎(감) 水의 도움을 받아 生한 연후에 午 즉, 離(리) 火를 生하여 주고 死하리라.
丙丁 火[병정화]는 먼저 震(진)으로부터 出[출]함을 좋아하니 震은 곧 卯이고, 다음 兌(태)로 藏(장)함을 기뻐하니 兌는 곧 酉이라 하리라
庚辛[경신] 金은 寅을 얻어야 長生이 되니 艮方으로부터 生함을 받고, 亥는 金의 祠堂(사당 - 제사지내는 곳)이 되니, 亥는 곧 乾方이라하리라.
壬癸 水는 먼저 申을 얻어 生함을 받은 후에, 巳에 그 모습을 감춘다.
經 曰, 地陷東南(지함동남)이라 땅은 동남쪽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어, 동서남북의 도랑(瀆)이 모두 巽방으로 흘러가니, 이는 처음(始)과 끝(終)이 있다는 의미이다.
戊己土[무기토]는 申[신]을 生[생]함을 기뻐하고, 辰戌丑未[진술축미][진술축미]는 바른 창고가 된다.
坎 - 감괘 감. 팔괘의 하나 방위로는 정북(正北), 물질로는 물(水)에 배합된다 .
離(이)괘는 남방에 해당 불에 배합 하리라 .
兌卦(태괘) 태. 연못(澤)을 상징하며 서방(西方)에 해당하리라.
太極貴는 天干의 陰陽 구분 없이 甲乙木[갑을목]은 子 午[자오] 丙丁火[병정화]는 卯 酉[묘유]
戊己土[무기토]는 辰 戌 丑 未[진술축미]
庚辛金[경신금]은 寅 亥[인해]
壬癸水[임계쉬는 巳 申[사신]이 太極貴가 된다.
《理愚歌》雲:;庫全時為至貴,位班上列據權衡。
?命入格,更有福氣貴神扶,豈不為美。
理愚歌 云[리우가에 하길], 四庫[사고]가 完全[완전]하면 貴[귀]에 이르게 되니, 반상의 윗자리에 오르게 되고 權衡(권형)을 다스릴 것이다.
人命[인명]이 入格 [입격]하고 福氣와 貴神의 도움이 있으면 어찌 아름답지 아니하겠는가?
有文昌貴,甲乙蛇口乙豬頭,丙狗丁龍戊向猴;己午庚寅辛未貴,六壬卯位癸逢牛。
有文昌貴(문창귀), 甲人蛇口乙豬頭(갑인사구 을저두 를 말하고). 丙狗丁龍(병구 정룡). 戊向猴(무향후). 己午庚寅辛未貴(기오 경인 신미 귀). 六壬卯位癸逢牛(육임묘위에서 축을 만나는 말한다 ).
有文譽貴,如甲子人見壬戌、丙寅,祿前祿後一般神,必作公卿冠世人;立性天聰名譽播,富貴榮華事業新。
有文譽貴(문예귀), 甲子人見 壬戌 丙寅 甲子(갑자)生(생)人(인)은 壬戌(임술), 丙寅(병인)을 보고,록을 전후한 일반신이니 필경은 공경과 같은 官(관)을 쓰는 사람이 일어난다 하늘의성품을 새워서 거른게되니 그런천성이착하다는말이리라 명예가 사방으로 전파된다 부귀영화하고 일마다 새롭게 한다
祿前祿後一般神. 必作公卿冠世人. 立性天總名譽播. 富貴榮華事業新.
문성귀인이 있는데
甲午(갑오) 乙巳(을사) 丙申(병신)종류가 유의 三臺(삼대)가 되고 丁巳(정사)辛亥(신해)를 구한다
경술과 경인 등이 십이문성이 癸卯(계묘)에서 놀게 된다
有文星貴,甲馬乙蛇丙戊猴,酉台丁己亥辛求;庚逢戌狗逢虎,十位文星癸兎遊。
천인귀라 하는게 있는데
갑자는 寅(인)중에 있고
乙亥(을해)역시 같으며
丁酉(정유)는 戊申(무신)에 잇으며
丙(병)戌(술) 己未(기미)에 있으며
庚辛(경신)은 사족에 있다하니 辛巳(신사)를 말하는 것이고
癸卯(계묘)는 더불어 壬辰(임진)을 말하는 것이고,
이는 이름 하길 天印(천인) 영귀 라한다 황제에게 封爵(봉작)을 받는다한다
有天印貴,甲子在寅中,乙逢亥亦同;丁酉戊申位,丙戌己羊宮;庚辛馬蛇足,癸卯與壬龍;此號 天印貴,榮達受皇封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태극귀
===============
9.학당 《珞錄子》낙록자가 하길 奇(기)의 거동을 犯(범)하게 되면 書冊(서책)은 쌓 안은 群衆(군중)에서 뛰어난 그릇이라 하고 遁甲(둔갑)하여 찾길 三奇(삼기)를 펼치고 六儀(육의)를 거스린다 하며 命(명)이 甲子(갑자) 갑旬(순) 두 순으로부터 나선 甲戊庚(갑무경)을 만나면 거듭 三(삼)기를 범한 威容(위용)이라 한다
雲:犯奇儀,蘊저축 간직 藉서적 책 문서 장부 抱出群之器。遁甲》曰:布三奇,逆六儀。? 命出甲子、甲申二旬遇甲戊庚,是重犯奇儀也。
무릇 삼기라 하는 것은 주로 사람의 정신이 특출 난 것이니 생각하는 것이 민첩하고 탁월하다 기이함을 좋아하고 큼을 숭상하며 널리 배워 재능이 많고 천을 귀인을 둘른 자는 勳業(훈업)이 群雄(군웅)에서 뛰어나니 또 천월 이덕을 두른다면 凶(흉)災(재)가 범하지 않는다한 다
凡命遇三奇,主人精神異常,襟懷 襟 옷깃 금옷깃, 가슴, 마음, 생각, 재빠르다, 민첩하다 금회 卓越,好奇尚大,博學多能。帶天乙貴者,勳業超群;帶天月二德者,凶災不犯。 六儀(육의)룰 둘른자는 지혜가 출중하며 삼합을 둘어 입국을 한자는 국가의 기둥과 초석이 될 것이며 官符(관부)劫煞(겁살)을 두른 자는 識者(식자)의 그릇이 크고 멀다 할 것이다 帶六儀者,才智出類。帶三合入局者,國家柱石,帶官符劫煞者,器識宏宏 클 굉크다, 넓다, 광대하다, 두루, 널리 굉遠。
공망생왕을 띠한자는 탈속을 한 사람이고 부귀해도 음탕치 않고 威武(위무)로도 굽힐수 없는 자이다 원진 함지 충파 천라지망을 둔자는 쓸데가 없다 삼기를 논할 적엔 태세가 월일시에 둘러선 드러낼 것을 그렇게 하지 못하였다면 고독하다
帶空亡生旺者,脫塵離俗,富貴不淫;威武不屈,值元辰、咸池、衝破、天羅地網者,為無用。論三奇,太歲不帶而月日時帶著,孤獨。
시에 말하길 십간신이 을병정 이면 神童(신동)이 아니면 及第(급제)로다 名聲(명성)을 널리 전파하니 日時(일시)가 祿馬(록마)이면 公卿(공경)殺(살)이라 한다 武(무)가 바꾸어지고 文(문)이 덜려선 나가선 聖王(성왕)을 밝게 도우는 賢臣(현신)이라한다
詩曰:?十幹神乙丙丁,神童及第播聲名;日時祿馬公卿煞,換武除文佐聖明。
십간신 갑무경이 장생을 겸하고 兵部(병부)의 명호를 얻는다하고 만일 無祿(무록)이 馬(마) 없음을 겸한다면 재물을 蓄積(축적)하는 사람이라 하고 哲人(철인)말하기를 三奇(삼기)는 모름지기 두 번 중첩하여서 만나면 바야흐로 영화롭고 복이 있는 사람이라 한다
十幹神甲戊庚,兼得長生丙府名;若然無祿兼無馬,只是財中蓄積人。철인왈 曰 奇須是重逢貴,方是榮華福壽人;
다만 공망이 있음 삼기가 귀한 땅이 없다하며 빈궁하천하여져선 남의 천대를 받는다한다 철인말하길 을병정과 갑무경은 上局(상국)이 될려면 상생이 거듭 되어야지만 봉래산 신선객만 됨만 아니라 응하길 금박을 드린 전각과 옥돌의 층계를 래왕하게 된다한다
只有空奇無貴地,貧窮下賤被欺淩。? 철인왈 曰(왈)丙丁、甲戊庚,上局相生生複生,不是蓬萊三島客,也應金殿玉階行。
? 철인이 말 하기를 삼기발화하면 공을 행랑복도에 새기는 관직을 갖게될 것이고 혁혁한공훈늘 새길 것이라 그 이름난 신선이 辛壬癸(신임계)에 많이 탄생하고 三奇(삼기)로서 玉(옥)의 帳簿(장부)에 消息(소식)을 전하게 된다하니 경박하게 세속의술사가 평할수 없는 것이다 제詩(시)에 三奇(삼기)를 보건데 喜忌(희기=희신이 되었는가 기신이 되었는가)를 보라 하고 있다
철인왈 曰:識岩廊官 암랑관 공이 있어선 복도 행랑에 기록 되는 관이라
赫奕,名仙多誕 癸壬辛,三奇玉藉傳消息,輕薄時師莫與評。?諸詩觀三奇,喜忌見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