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맘때 누구에게 수업을 들을지 그리고 수업때 뭘 배우는지 제일 궁금했던거 같습니다.
지금 학생정보시스템에 못 들어가실꺼 같아서 제꺼 확인하면서 같이 올려드립니다. 참 친절한 하늘.환^^
저는 구약학은 배정훈 교수님, 교회사는 박경수 교수님, 조직신학은 현요한 교수님께 배웠습니다.
궁금하신건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가 답변드릴 수 있는 것은 답변드리겠습니다.
이외 교수님도 댓글달아주시면 저희 스텝중에 배운 분이 성심성의껏 달아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구약학 개론
A반 배정훈 B반 하경택 C반 김진명
세계교회사
A반 서원모 B반 임희국 C반 박경수
조직신학개론
A반 윤철호 B반 김도훈 C반 현요한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OT1011A
[과목명(국문)] 구약학개관 (Introduction to the O.T. Stud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배정훈
[휴대전화] 010-3339-6761
[이메일] chpae25@pcts.ac.kr
[홈페이지]
[수업목표]
정경해석방법에 기초하여 구약성서의 각 문헌들의 역사적이고 문학적인 특성 및 신학을 연구하여 교회 현장에서 메시지를 전하고 성경공부를 인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업내용]
1. 구약학에 해당되는 모든 내용을 개론적으로 익힌다.
2. 구약성경의 큰 흐름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3. 구약 성경의 중요한 구절들을 익힌다.
[수업방법]
교수방법: 강의, 발제 및 토론
1) 매주 학생들은 주어진 교재의 해당부분과 성경귀절을 읽고,
a. 본문에 대한 간단한 요약; b. 두 가지 이상 새롭게 깨달은 내용; c. 두 가지 이상 질문
등을 포함한 주간 보고서를 제출한다. 이 보고서는 각자 구약개론을 충분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함으로서, 교재를 세심하게 읽은 후에 본문을 충분히 연구하여 작성해야 한다. 본문을 있는 그대로 요약하는 것보다는 본문을 자기 언어로 정리하는 것을 요구한다. 느낌이나 질문은 한두 줄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적절한 연구를 동반하여야 한다. 모든 보고서는 5점 만점으로 평가된다.
2) 수업은 질의응답 및 강의, 그리고 성경 요절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3) 중간고사/학기말 고사는 요절 A, B, C 와 수업 중에 다룬 부분에 대하여 시험을 치른다.
[성적평가방법] 중간:25, 기말:25, 출석:10, 과제:30, 수업참여도:10, 기타:
[강의내역(1주)]
과목의 개론: 한국교회의 성서해석
[강의내역(2주)]
구약학 개관 서론 (배정훈, 1-31)
[강의내역(3주)]
오경과 한국신학 (개론 693-720); 창세기(개론 209-231); 거룩과 순종(배정훈, 31-59).
[강의내역(4주)]
신앙사경회
[강의내역(5주)]
구약신학 (개론 65-92); 출애굽기/레위기 (개론 233-273; 배정훈 59-70)
[강의내역(6주)]
구약성서의 역사와 종교 (개론 93-118); 민수기/신명기 (개론 275-328)
[강의내역(7주)]
신명기 역사서 (배정훈, 70-82), 여호수아-사사기 (개론 331-380)
[강의내역(8주)]
중간고사
[강의내역(9주)]
구약성서의 본문 (개론 119-152); 사무엘/열왕기(개론 381-403)
[강의내역(10주)]
역대기 역사 (개론 405-429) 역대기상하/에스라-느헤미야 (배정훈, 82-98)
[강의내역(11주)]
성문서 (개론 433-474; 513-533; 배정훈 99-167); 다니엘서 (배정훈 193-215).
[강의내역(12주)]
예언서 개론/이사야 (개론 537-583; 배정훈 168-186)
[강의내역(13주)]
예레미야/에스겔 (개론 585-633; 배정훈 186-193)
[강의내역(14주)]
소예언서 (개론 635-681)
[강의내역(15주)]
학기말 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는 바뀔 가능성이 있으니 수업 첫날까지 구입하지 마세요.
1. 필독도서
김영진외 공저, 『구약성서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배정훈, 『구약학개관』, 복사물.
2. 참고도서
김영진외 공저, 『구약성서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Childs, B. S. 김갑동 역. 『구약정경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김영진외 공저, 『구약성서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박동현, 『구약성경개관』(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박동현, 『구약학개관』(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앤드루 E. 힐/존 H. 월톤, 유선명/정종성 역, 『구약개론』 (서울: 은성, 1994).
Anderson, B. W. 강성열/노항규 옮김. 『구약성서이해』.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사, 1994.
클라우스 베스터만, 김이곤/황성규 역, 『성서입문』 (서울: 한국 신학 연구소, 1975).
Dillard, Raymond B. 와 Longman III, Tremper, 『최신 구약개론』.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사, 1997.
Gottwald, Norman K. 김상기 역. 『히브리성서: 사회문학적 연구』. 제1/2권.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1989)/1987(1988).
Harrison, R.K. 류호준, 박철현 공역. 『구약서론』(상)(중). 서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박철현, 노항규 공역. 구약서론(하), 1996.
Kaiser, Otto. 이경숙 옮김. 『구약성서개론: 그 연구 성과와 문제점들』. 왜관: 분도출판사, 1995.
Schmidt. Werner H. 차준희. 채홍식 옮김. 『구약성서입문』 I, II, III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2001.
Boadt, L.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Paulist, 1984.
Rendtorff, Rolf.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6.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OT1011B
[과목명(국문)] 구약학개관 (Introduction to the O.T. Stud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하경택
[휴대전화] 010-2558-9116
[이메일] haakit@hanmail.net
[홈페이지]
[수업목표]
구약성서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구약성서의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어 구약성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수업내용]
a. 각 책의 구성과 내용
b. 각 책의 중심주제 고찰
[수업방법]
강의와 수강자들의 발표와 토론을 병행한다.
[성적평가방법] 중간:30, 기말:30, 출석:10, 과제:10, 수업참여도:20, 기타:
[강의내역(1주)]
강의 안내 및 구약성서의 구분법
[강의내역(2주)]
구약성서 해석사
[강의내역(3주)]
창세기-출애굽기 1 (11-52쪽, 5행) 41p
[강의내역(4주)]
봄 신앙사경회
[강의내역(5주)]
출애굽기2-신명기 (52, 6행-93쪽) 41p
[강의내역(6주)]
전기예언서 1 (94-127쪽, 26행) 33p
[강의내역(7주)]
전기예언서 2 (127쪽, 27행-162쪽) 35p
[강의내역(8주)]
예레미야 (201쪽, 5행-231쪽, 24행) 30p
[강의내역(9주)]
에스겔 (231쪽, 25행-264쪽, 11행) 33p
[강의내역(10주)]
이사야 (163-201쪽, 4행) 38p
[강의내역(11주)]
12소예언서 (264, 12행-314쪽) 50p
[강의내역(12주)]
시편-잠언 (315-369쪽, 9행) 54p
[강의내역(13주)]
다섯두루마리(룻,아,전,애,더,단)
- 역대기, 회고와 전망 (369쪽, 10행-414쪽) 45쪽
[강의내역(14주)]
현충일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1)주교재
Rendtorff, R.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Ein kanonischer Entwurf, Band 1: Kanonische Grundlegung.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99 (= The Canonical Hebrew Bible. A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Trans. by David E. Orton. Leiden: Deo Publishing 2005).
2)부교재
박동현. 󰡔구약성경과 구약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99.
Zenger, E. u.a.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Stuttgart u.a.: Verlag W. Kohlhammer 1998 (= 이종한 옮김. 󰡔구약성경개론󰡕. 칠곡: 분도, 2012).
Vanhoozer, K. J. (ed.)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2008 (= 조승희 옮김. 󰡔구약의 신학적 해석: 주석서보다 앞선 구약 각 권 해석 연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Dreytza, M. 󰡔구약성서연구방법론󰡕. 하경택 옮김. 서울: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2005.
3)서평(A4 3매분량)
Rendtorff, R. 󰡔구약정경신학󰡕. 하경택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09.
[기타안내사항]
4)참고문헌
Anderson, Bernhard W. 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Englewood Ciffs, N.J.: Prentice-Hall, 41986 (= 제석봉/이성배 옮김. 󰡔구약성서의 이해. 1,2/3권󰡕. 성바오로출판사, 1983/84; 강성열/노항규 옮김. 󰡔구약성서이해 (상)(하)󰡕.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Brueggemann, W. 󰡔구약신학과의 만남: 구약의 신학적 입문󰡕. 서울: 프리칭아카데미, 2007.
Childs, B. S. 󰡔구약정경개론󰡕. 김갑동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7.
Dillard, R./ Longman III, T.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chigan: 1994 (= 박철현 옮김. 󰡔최신구약개론󰡕.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7).
Dyer, C. H./ Merrill, E. H. 구약탐험. 마영례 옮김. 서울: 도서출판 디모데 2003.
Harrison, R. K. 구약서론 I/II. 류호준, 박철현, 노항규 옮김.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2007.
Merrill, Eugene H. An Historical Survey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2000 (= 김인환 옮김. 󰡔역사적 구약 개요󰡕.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94; 김진영 옮김. 󰡔구약의 역사적 개요󰡕.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Schmidt, W. H. 󰡔구약성서 입문 1-3󰡕. 차준희/채홍식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2001.
Westermann, Claus. Tausend Jahre und ein Tag: Einführung in die Bibel. Stuttgart/Berlin: Kreuz Verlag, 1977 (= 김윤옥, 손규태 공역. 󰡔구약성서의 맥 - 천년과 하루󰡕.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강사문 외 공저. 󰡔구약성서개론(신학연구도서 2)󰡕.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김영진 외. 󰡔구약성서개론: 한국인을 위한 최신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왕대일. 󰡔신앙공동체를 위한 구약성서이해󰡕. 서울: 성서연구사, 1993.
장영일. 󰡔구약신학의 역사적 기초󰡕.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1.
8. 기타안내
공휴일이나 학교행사로 수업을 못할 경우에는 학교 안팎의 특강에 참석하는 것으로 보강을 대신합니다.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OT1011C
[과목명(국문)] 구약학개관 (Introduction to the O.T. Stud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김진명
[휴대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수업목표]
구약성경에 관한 개괄적 이해와 함께 구약학 관련 분야들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통하여 구약과 구약학에 관한 시야를 넓히고 구약 본문 해석을 위한 실력을 기르고자 한다.
[수업내용]
1. 구약성경의 구성과 각 부분에 관한 개관적 이해
2. 구약학 관련 분야들에 관한 전반적 이해
3. 구약성경의 각 부분의 본문에 관한 이해
[수업방법]
강의와 조별토의와 발제 및 개인별 과제를 병행한다.
매 시간 구약성경의 본문 하나를 정하여 본문 풀이 연습을 함께 진행한다.
[성적평가방법] 중간:30, 기말:30, 출석:10, 과제:20, 수업참여도:10, 기타:
[강의내역(1주)]
강의와 교재 안내 / 구약성경의 구성에 관한 이해
[강의내역(2주)]
율법서 이해 <창세기 12:1-3 본문 연구>
[강의내역(3주)]
역사서 이해 <열왕기하 22:8-13 본문 연구>
[강의내역(4주)]
시가서와 지혜서 이해 <시편 1편 본문 연구>
[강의내역(5주)]
예언서 이해 <호세아 6:1-6 본문 연구>
[강의내역(6주)]
구약성경과 고대 근동 연구 <신명기 26:1-11 본문 연구>
[강의내역(7주)]
구약성경과 구약개론 <레위기 25:1-7 본문 연구>
[강의내역(8주)]
중간고사
[강의내역(9주)]
구약성경과 이스라엘 역사 <역대하 28:8-15 본문연구>
[강의내역(10주)]
구약성경과 구약 언어학 <다니엘 1:8-20 본문 연구>
[강의내역(11주)]
구약성경과 성서고고학, 지리학 <창세기 12:1-3>
[강의내역(12주)]
구약성경과 외경, 위경, 중간기 문헌 <에스겔 34:1-6 본문 연구>
[강의내역(13주)]
구약성경과 해석학 / 주석방법론 <출애굽기 15:19-21 본문 연구 >
* 특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강의내역(14주)]
구약성경과 구약신학 <이사야 50:4-9 본문연구>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박동현, 구약학개관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기타안내사항]
수업 계획과 진행 순서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휴강이 발생할 경우 교내 혹은 교외의 구약학 관련 학술 세미나로 대체합니다.
학기중 1회 특강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학수코드] SHT1071A
[과목명(국문)] 세계교회사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es)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서원모
[휴대전화] 010-5013-9504
[이메일] wonmosuh@hanmail.net
[홈페이지] 교수홈페이지
[수업목표]
본 과목은 고대로부터 중세, 종교개혁, 근,현대에 이르는 교회사의 흐름을 개관하고 교회사의 다양한 전통들을 이해하고, 교회사의 흐름에 비추어 자신의 신앙과 전통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내용]
본 과목은 교회사의 흐름을 종합적이며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고대로부터, 중세, 종교개혁, 근,현대에 이르는 교회의 신학전통, 예배전통, 목회/교육/선교의 전통을 개괄하고 주요 이슈들을 정리하며, 교회사의 흐름과 교회 현장을 연결하는데 중점을 둔다.
[수업방법]
수업 전에 교과서와 읽기 자료를 모두 읽어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처음 2시간은 핵심적 내용을 정리하고 질의 사항을 중심으로 토의식으로 진행하며 마지막 1시간은 모둠별로 모여 사료를 중심으로 토론한다. 모둠 모임은 돌아가면서 인도를 한다.
[성적평가방법] 중간:0, 기말:50, 출석:10, 과제:40, 수업참여도:, 기타:0
[강의내역(1주)]
강의소개/ 헬레니즘 세계와 기독교의 탄생/ 원시공동체의 신앙과 삶
(읽기) 베인턴, 제1-2장 (13-59쪽); 플래처, 제1-3장 (9-51쪽) (모둠 모임: 소개)
[강의내역(2주)]
고대교회(1): 박해와 순교, 변증/ 2세기 이단과 공교회의 성립
(읽기) 베인턴, 제3장 (60-95쪽); 플래처, 제4-5장 (52-85쪽); 고대교회 사료(1) (초점: 고대교회의 순교기)
[강의내역(3주)]
고대교회(2): 기독교의 공인과 국교화/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의 정립
(읽기) 베인턴, 제4장 (96-125쪽); 플래처, 제6장 (86-114쪽); 고대교회 사료 (2) (초점: 아타나시오스, 『성육신론』)
[강의내역(4주)]
고대교회(3): 수도운동의 발전/ 라틴교회의 발전과 아우구스티누스/ 게르만족의 침입과 회심
(읽기) 베인턴, 제5장 (126-159쪽); 제8장 (142-162쪽); 고대교회 사료(3) (초점: 아우구스티누스, 『성령과 문자』)
[강의내역(5주)]
중세교회(1): 이슬람과 기독교/ 비잔티움 제국과 교회/ 중세의 선교와 서유럽의 형성
(읽기) 베인턴, 제6장 (160-185쪽); 플래처, 제7장(115-141쪽); 중세교회 사료(1) (초점: 『티마테오스와 칼리프와의 대화』)
[강의내역(6주)]
중세교회(2): 교회와 국가의 투쟁/ 스콜라신학
(읽기) 베인턴, 제7장 (186-226쪽); 플래처, 제9-10장 (163-217쪽); 중세교회 사료(2) (초점: 안셀름, 『인간이 되신 하나님』)
[강의내역(7주)]
중세교회(3): 중세수도원 운동/ 중세말 사회와 교회/인문주의와 르네상스
(읽기) 베인턴, 제8장 (227-258쪽); 플래처, 제11장 (218-242쪽); 중세교회 사료(3) (초점: 아퀴나스, 『신학대전』
[강의내역(8주)]
중간고사
[강의내역(9주)]
종교개혁(1) 종교개혁의 다양성과 통일성/ 루터의 종교개혁
(읽기) 베인턴, 제9장 (291-337쪽); 플래처, 제12장 (243-267쪽); 종교개혁 사료(1) (초점: 루터, 『독일 민족의 귀족에게 호소함』)
[강의내역(10주)]
종교개혁(2): 개혁파 전통의 발전: 츠빙글리와 칼뱅/ 영국의 종교개혁과 청교도/ 프랑스의 종교혁
(읽기) 베인턴, 제10장 (338-386쪽); 플래처, 제14장 (293-315쪽); 종교개혁 사료(2) (초점: 츠빙글리, 『신앙의 주해』)
[강의내역(11주)]
종교개혁(3): 과격파 종교개혁/ 가톨릭 종교개혁과 선교
(읽기) 플래처, 제13장 (268-292쪽); 종교개혁 사료(3); (초점: 그레벨, 『토마스 뮌처에게 보내는 편지』)
[강의내역(12주)]
근대교회(1): 이성의 종교와 마음의 종교/ 미국교회의 발전과 부흥운동
(읽기) 베인턴, 제11장 (387-428쪽); 플래처, 제15장 (316-339쪽); 근대교회 사료(1) (초점: 스패너, 『경건한 열망』)
[강의내역(13주)]
근대교회(2): 근대의 선교운동/ 산업화와 기독교/
(읽기) 베인턴, 제12-13장 (429-485쪽); 플래처, 제17-18장 (363-419쪽); 근대교회 사료(2) (초점: 웨슬리, 추후 결정)
[강의내역(14주)]
근대교회(3): 가톨릭교회의 갱신과 교회일치운동 (초점: 세계교회협의회, 『하나의 신앙고백』)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롤란드 베인턴. 『세계교회사』. 이길상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2.
(부교재)
이형기. 『세계교회사』. 2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윌리스턴 워커. 『기독교 교회사』. 송인설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후스토 L. 곤잘레스. 『기독교사상사』. 이형기, 차종순 역. 3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윌리엄 C. 플래처, 『기독교 신학사』. 박경수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후스토 곤잘레스. 『초대교회』, 『중세교회』, 『종교개혁』, 『근대교회사』 서영일 옮김. 은성,1987-88.
(도움이 되는 다른 책들)
볼프강 좀머, 테트레프 클라르. 『교회사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홍지훈, 백용기 역. 개정증보판.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8.
로버트 C. 월톤, 『차트 교회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필립 샤프, 『교회사 전집』. 8권. 고양: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4.
한스 큉, 『그리스도교』. 이종한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2002.
아우구스트 프란츤. 『세계교회사』. 최석우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2001.
칼 호이시. 『세계교회사』. 손규태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4.
(펭귄교회사 시리즈)
헨리 채드윅. 『초대교회사』. 박종숙 옮김. 펭귄교회사 1.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R.W. 서던. 『중세교회사』. 이길상 옮김. 펭귄교회사 2.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오언 채드윅. 『종교개혁사』. 서요한 옮김. 펭귄교회사.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제럴드 크랙, 알랙 비들러. 『근현대교회사』. 송인설 옮김. 펭귄교회사 4.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기타안내사항]
1. 『고대교회의 순교기』(3월 12일): pdf 자료
2. 아타나시오스, 『성육신론』 (3월 19일): 기독교고전총서 제3권
3. 아우구스티누스, 『성령과 문자』 (4월 1일): 어거스틴 지음, 공성철 옮김. 『성령과 문자』 . 공성철 옮김. 서울: 한들출판사, 2000. / 필립 샤프 편, 『어거스틴의 은총론』 차종순 옮김. 제2권, 19-125쪽.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4. 『티마테오스와 칼리프와의 대화』(4월 8일): pdf 자료.
5. 안셀무스, 『인간이 되신 하나님』(4월 15일): 안셀름. 『인간이 되신 하나님』. 이은재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1.
6. 아퀴나스, 『신학대전』 (4월 22일): 기독교고전총서 제10권
7. 루터, 『독일 민족의 귀족에게 호소함』(4월 29일): 존 딜렌버거 편집. 『루터저작선』. 이형기 옮김. 480-568쪽.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8. 츠빙글리, 『신앙의 주해』 (5월 6일): 기독교고전총서 제19권
9. 그레벨, 『토마스 뮌처에게 보내는 편지』 (5월 13일): 기독교고전총서 제20권
10. 스페너, 『경건한 열망』(5월 20일): 필립 슈페너. 『경건한 열망』. 모수환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8.
11. 웨슬리, (5월 27일) 추후 결정
12. 세계교회협의회, 『(세계교회가 고백해야 할)하나의 신앙고백』 (6월 3일)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기독교고전총서] (전 20권)
1. 초기 기독교 교부들
2. 알렉산드리아 기독교: 클레멘스와 오리게네스
3. 후기 교부들의 기독론
4. 초기 라틴 신학
5. 아우구스티누스: 전기 저서들
6.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신앙편람
7. 아우구스티누스: 후기 저서들
8. 중세 초기 신학
9. 스콜라 신학 선집: 안셀름부터 오캄까지
10. 신학대전: 자연과 은총에 관한 주요 문제들
11. 사막 교부들의 금언집
12. 중세 후기 신비주의
13. 개혁의 주창자들: 위클리프부터 에라스무스까지
14. 루터: 로마서 강의
15. 루터: 초기 신학 저술들
16. 루터와 에라스무스: 자유의지와 구원
17. 멜란히톤과 부처
18. 칼뱅: 신학 논문들
19. 츠빙글리와 불링거
20. 성령주의와 아나뱁티스트 종교개혁자들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학수코드] SHT1071B
[과목명(국문)] 세계교회사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es)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임희국
[휴대전화]
[이메일] hklim@pcts.ac.kr
[홈페이지] 장로회신학대학교 홈페이지에
[수업목표]
2000년 그리스도교의 ‘역사흐름’을 파악하고, 교회사를 보는 ‘눈’을 가지도록 함.
[수업내용]
교회사를 네 '시기'(고대, 중세, 종교개혁, 근/현대)로 나누어서, 각 시기마다 다루어야 할 내용을 '주제별'로 파악하고자 한다.
[수업방법]
강의 위주
*이번 학기의 과제는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이 쓴 <고백록>을 독후감제출. 중간고사 이후부터 시작합니다.
[성적평가방법] 중간:30, 기말:30, 출석:30, 과제:10, 수업참여도:, 기타:
[강의내역(1주)]
강좌 소개와 수업안내
고대교회사 : 그리스도교의 시작과 발전
[강의내역(2주)]
고대교회사 :
공교회(Catholic Church)의 형성
그리스도교와 로마제국
[강의내역(3주)]
고대교회사 :
수도원의 시작
에큐메니칼회의, 삼위일체교리와 그리스도 양성교리
[강의내역(4주)]
봄 신앙사경회 (사경회 특강 참석으로 수업 대처)
[강의내역(5주)]
중세교회사 :
게르만족과 슬라브족의 선교
[강의내역(6주)]
중세교회사 :
스콜라주의, 교황과 황제
[강의내역(7주)]
중세교회사 :
수도원의 발전
중세 후기의 교회와 사회
[강의내역(8주)]
중간고사
[강의내역(9주)]
종교개혁사 :
종교개혁의 배경, 시작과 발전
독일의 종교개혁(루터), 스위스 취리히의 교회개혁(츠빙글리), 성만찬논쟁
[강의내역(10주)]
종교개혁사 :
스위스 제네바의 교회개혁(칼뱅), 영국의 교회개혁(성공회, 초기 청교도운동)
가톨릭교회의 교회개혁
[강의내역(11주)]
종교개혁사 :
영국의 교회개혁(성공회, 초기 청교도운동)
가톨릭교회의 교회개혁
[강의내역(12주)]
근세 및 현대교회사 :
17세기: 절대주의 시대의 교회, 청교도
[강의내역(13주)]
근세 및 현대교회사 :
18세기 : 경건주의, 계몽주의
프랑스 혁명시대의 교회
[강의내역(14주)]
근세 및 현대교회사 :
독일의 산업화, 사회봉사선교(innere Mission)
해외 선교운동, 세계교회 에큐메니칼운동
[강의내역(15주)]
학기말 시험
[주교재 및 참고문헌]
교재 : 볼프강 좀머, 데트레프 클라르 지음, 교회사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홍지훈, 김문기, 백용기 공역, 한국신학연구소, 2008(개정 증보판).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편, 16세기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유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박경수,「교회사클래스」, 대한기독교서회, 2010.
이형기, 세계교회사 I, II.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대한예수교장로회 기획국편, 21세기 한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대한기독교서회 2008.
W. Walker,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강근환외 3인 번역, 세계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Kirchen- und Theologiegeschichte in Quellen, Bde. I-IV, Neukirchen-Vluyn 1991.
참고문헌:
Kenneth S. Latourette, Anno Domini, St. Gallen 1949.
Kenneth S. Latourette, A History of Christianity, 윤두혁역, 기독교사 상, 중, 하, 생명의 말씀사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I-VIII, Eerdman 1910.
B. Moeller, Geschichte des Christentums in Grundzuegen, 5. Aufl., Goettignen; Zuerich 1992.
[기타안내사항]
*강의 내역이 학사일정(사경회, 학술대회 )에 따라 조금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번 학기의 과제는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이 쓴 <고백록>인데 중간고사 이후부터 시작합니다.
어거스틴지음, 선한용 옮김, <성어거스틴의 고백록>, 대한기독교서회, 2003.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학수코드] SHT1071C
[과목명(국문)] 세계교회사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es)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박경수
[휴대전화] 010-4222-1955
[이메일] parkg@pcts.ac.kr
[홈페이지] 학교 교수홈페이지
[수업목표]
고대, 중세, 종교개혁, 근,현대에 이르는 교회사의 흐름을 개관하고 교회사의 다양한 전통들을 이해하고, 교회사의 흐름에 비추어 자신의 신앙과 전통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내용]
교회사의 흐름을 종합적이며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역사적 접근방법과 아울러 교회사 속에 나타난 다양한 논쟁의 주제들에 대한 신학적 접근도 포함할 것이며, 교회사의 흐름과 교회 현장을 연결하는데 중점을 둔다.
[수업방법]
강의, 발표, 토론, 영상, 서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강의의 목표를 달성한다.
[성적평가방법] 중간:30, 기말:40, 출석:10, 과제:20, 수업참여도:, 기타:
[강의내역(1주)]
교회사에 대한 서론적 고찰 및 강의 소개
[강의내역(2주)]
초대교회1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1-2장
[강의내역(3주)]
초대교회2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3-4장
[강의내역(4주)]
사경회
[강의내역(5주)]
초대교회3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5장
[강의내역(6주)]
중세교회1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6장, 특강 1
[강의내역(7주)]
중세교회2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7-8장
[강의내역(8주)]
중간고사
[강의내역(9주)]
종교개혁1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9-10장
[강의내역(10주)]
종교개혁2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11-12장, <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 서평
[강의내역(11주)]
개교기념일
학술대회 혹은 특강 참석 A4 1쪽으로 정리
[강의내역(12주)]
종교개혁3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13-14장
<교회의신학자 칼뱅> 서평
[강의내역(13주)]
근현대교회1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15-16장
[강의내역(14주)]
근현대교회2
독서과제: 교회사클래스 17-18장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및 부교재>
박경수,「교회사클래스」, 「교회의 신학자 칼뱅」, 「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대한기독교서회)
롤란드 베인튼, 「세계교회사」(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7).
윌리엄 C. 플래처, 「기독교 신학사」 박경수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이형기, 「세계교회사」1-2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윌리스턴 워커, 「기독교 교회사」, 송인설 옮김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3).
후스토 곤잘레스,「초대교회」, 「중세교회」, 「종교개혁」, 「근대교회사」 서영일 옮김 (은성,19987-88).
<도움이 되는 다른 책들>
E.M. 번즈 외, 「서양문명의 역사」 1-2권 (서울: 소나무).
배영수 편, 「서양사강의」 (서울: 한울아카데미).
로버트 C. 월톤, 「차트 교회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필립 샤프, 「교회사 전집」 1-8권 (고양: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4).
한스 큉, 「그리스도교」이종한 옮김 (분도출판사, 2002).
아우구스트 프란츤, 「세계교회사」최석우 옮김 (분도출판사, 2001).
<펭귄교회사 시리즈>
헨리 채드윅, 「초대교회사」 박종숙 옮김, 펭귄교회사 1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R.W. 서던, 「중세교회사」 이길상 옮김, 펭귄교회사 2.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오언 채드윅, 「종교개혁사」 서요한 옮김, 펭귄교회사 3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제럴드 크랙, 알랙 비들러, 「근현대교회사」 송인설 옮김, 펭귄교회사 4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9).
[기타안내사항]
1. 독서보고서를 7회 A4 2-3장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2. 서평은 2회 A4 4장 정도의 분량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3. 기타 사항은 수업시간에 논의하여 결정합니다.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ST1011A
[과목명(국문)] 조직신학개론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윤철호
[휴대전화] 010-3388-0826
[이메일] chyoun@pcts.ac.kr
[홈페이지]
[수업목표]
성서에 기초한 기독교 전통과 오늘의 경험과의 상관관계 안에서 기독교의 주요한 교의학적 주제들과 내용들에 대하여 배우고 성찰한다.
[수업내용]
신학의 과제, 계시, 성서, 하나님, 창조, 인간, 섭리, 죄와 악, 신정론, 그리스도와 구원, 성령과 기독교인의 삶, 교회, 선포와 성례전과 목회사역, 하나님 나라와 영생
[수업방법]
강의 및 세미나
[성적평가방법] 중간:, 기말:80, 출석:10, 과제:10, 수업참여도:, 기타:
[강의내역(1주)]
과목소개, 신학서론
[강의내역(2주)]
계시
[강의내역(3주)]
성서
[강의내역(4주)]
사경회
[강의내역(5주)]
하나님
[강의내역(6주)]
창조
[강의내역(7주)]
인간
[강의내역(8주)]
섭리, 죄와 악, 신정론
[강의내역(9주)]
그리스도와 구원
[강의내역(10주)]
성령과 기독교인의 삶
[강의내역(11주)]
개교기념일
[강의내역(12주)]
교회
[강의내역(13주)]
선포, 성례전, 목회사역
[강의내역(14주)]
종말론
[강의내역(15주)]
기말시험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밀리오리, <기독교조직신학개론> 신옥수 백충현 옮김. 새물결플러스.
푈만, <교의학> 이신건 옮김. 신앙과지성사.
피터 하지슨, 로버트 킹 엮음 <현대기독교 조직신학> 윤철호 옮김. 한국장로교출판사.
참고문헌
윤철호, <성서신학설교>, 장신대출판부.
______, <신학과말씀>, 장신대출판부.
______, <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 장신대출판부.
______, <21세기 한국교회와 하나님 나라를 위한 실천신학> 장신대출판부.
[기타안내사항]
과제물로는 본인의 <성서신학설교> 또는 <신학과 말씀>에서 5개의 주제(각 주제당 4-5)를 선택하여 A4 5매 내외의 독후감을 써서 기말시험 이전까지 제출한다.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ST1011B
[과목명(국문)] 조직신학개론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김도훈
[휴대전화]
[이메일]
[홈페이지]
[수업목표]
기독교의 전통적인 교의학적 주제들과 내용들을 공부하고, 그 전통을 잘 계승 할뿐만 아니라, 오늘의 교회와 사회의 현실과 세계관과의 상관성 속에서 그것들을 적절하게 재해석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기독교의 신앙과 신학의 전통에 대한 전망을 모색해 본다
[수업내용]
1. 조직신학의 방법, 과제, 자료, 규범
2. 조직신학의 기본 주제: 계시, 신론, 그리스도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등
[수업방법]
강의 및 토론
[성적평가방법] 중간:, 기말:70, 출석:10, 과제:20, 수업참여도:, 기타:
[강의내역(1주)]
8월 25일
1.강의 안내.
2.조직신학의 과제, 자료, 규범
[강의내역(2주)]
9월 1일
계시와 성서(계시에 대하여)
1. 계시의 정의와 과제
2. 성서론: 성서의 권위, 다양성, 통일성, 해석의 원리 및 방법
[강의내역(3주)]
9월 8일
사경회
[강의내역(4주)]
9월 15일
신론:
1.하나님의 존재
2.속성
3.예정
[강의내역(5주)]
9월 22일
신론:
1.하나님의 섭리
2.악의 문제:신정론
[강의내역(6주)]
9월 29일
신론-창조론(1)
1. 창조행위, 무로부터의 창조, 창조의 모델
[강의내역(7주)]
10월 6일
신론-창조론(2)
1.오늘날 환경위기의 실상
[강의내역(8주)]
10월 13일
기독교사상문화연구부 학술대회
학술대회가 없을 경우에는 수업
창조론:
1.오늘날 환경위기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대안
2. 교회의 과제
[강의내역(9주)]
10월 20일
창조론:
1.오늘날 환경위기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대안
2. 교회의 과제
3. 도킨스 및 창조와 진화
1). 과학과 신학의 대화:도킨스에 대하여
2). 창조와 진화
[강의내역(10주)]
10월 27일
그리스도론: 1. 그리스도론의 십자가의 의미, 2. 종교다원주의
[강의내역(11주)]
11월 3일
성령론: 성령의 인격과 사역
[강의내역(12주)]
11월 10일
교회론:
교회의 정의, 표지
교회의 사명 및 과제
[강의내역(13주)]
11월 17일
성례전:세례와 성만찬
[강의내역(14주)]
11월 24일
종말론:
1. 종말론:기독교의 희망
2. 개인과 역사와 우주의 종말에 대하여
3. 바른 종말론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Daniel L. Migliore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장경철 옮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필요시 강의프린트물 배부
참고문헌:
*강영안, 신을 모르는 시대의 하나님, IVP
*S. Grenz,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신옥수 역, 조직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장로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김명용, 이 시대의 바른 기독교 사상,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1.
*이문균, 신앙과 삶 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 알아보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5
*유해무, 개혁교의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기타안내사항]
1.상세한 참고문헌과 과제물은 첫시간에 안내함
2. 학교의 일정상 수업이 없을 경우 학술대회로 보강을 대체함
===============================================================
2013-1학기
[과정] 신대원
[학과(전공)] 신학과
[학수코드] SST1011C
[과목명(국문)] 조직신학개론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이수구분] 필수 [학점] 3 [시간] 3
[교수성명] 현요한
[휴대전화]
[이메일] hyun@pcts.ac.kr
[홈페이지]
[수업목표]
신학도들로 하여금 신학이 무엇이며, 조직신학이 무엇인지 그 성격과 방법을 이해하게 하고, 성경이 가르쳐주는 계시에 근거하여 기독교 신앙 내용 전반에 대한 개관적 이해를 가지도록 한다. 이것은 조직신학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를 위한 기초이며, 신학함의 기본자세를 가다듬기 위함이다.
[수업내용]
조직신학의 정의와 임무, 방법과 표준, 자료, 그와 관련하여 계시론과 성서론을 포함하는 신학서론을 비롯하여,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 조직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오늘의 현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개괄적으로 다룬다.
[수업방법]
교수의 강의와 학생들의 발표 및 토의
학생들은 매주 미리 제시된 강의교재를 읽고 반드시 예습을 해 와야 한다.
또한 매주 예습 시에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 교리편에 실려 있는 "12신조," "요리문답,"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대한예수교장로회 신앙고백서," "21세기 대한예수교장로회 신앙고백서"에서 그 날 다루는 주제에 해당하는 부분을 반드시 함께 읽는다.
매주 예습 확인 퀴즈가 있음.
[성적평가방법] 중간:, 기말:60, 출석:10, 과제:30, 수업참여도:, 기타:
[강의내역(1주)]
과목 소개 및 수업 계획
조직신학의 정의와 방법1
조직신학이란 무엇인가?
[강의내역(2주)]
조직신학의 정의와 방법2
조직신학의 위치, 정의, 신앙의 성격, 신학적 언어, 학문적 중립성 문제
등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강의내역(3주)]
신학의 자료 (계시론, 성서론)
계시의 개념, 계시의 모델들, 자연신학 문제, 계시와 이성, 신구약 성서, 하나님의 말씀, 성서와 전통, 성서 해석 원리, 성서 영감론과 역사비평, 성서해석 원리 그리고 경험의 문제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강의내역(4주)]
교내사경회
[강의내역(5주)]
신론 (하나님의 속성, 삼위일체)
신존재증명, 하나님의 속성, 삼위일체론 모델들, 왜곡된 하나님 이해들, 삼위일체 신앙의 의미 등을 개괄적으로 탐구한다.
[강의내역(6주)]
창조론
창조주 하나님 신앙의 의미, 창조론 모델들, 창조세계 보존, 창조론과 현대과학 등의 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 본다.
[강의내역(7주)]
하나님의 섭리와 악의 문제
섭리에 대한 믿음과 악의 실재, 신정론 모델들, 최근의 신정론, 하나님과 인간의 고난
[강의내역(8주)]
인간과 죄
창조 세계 안에서 인간,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타락과 죄, 원죄 교리의 의미, 그리스도 안에서 새존재 등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탐구한다.
[강의내역(9주)]
그리스도론
그리스도론의 제 문제, 그리스도의 인격에 관한 전통적 교리들,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고전적 교리들, 역사비평과 역사의 예수 문제, 부활 이해 모델들, 십자가와 폭력 문제, 등에 대해 탐구한다.
[강의내역(10주)]
성령과 그리스도인의 삶
은혜와 공로 그리고 성령, 은혜에 의한 칭의, 성화론 이해 모델들, 선택의 은혜, 사회적 성화에 대해 탐구한다.
[강의내역(11주)]
개교기념일 휴무
5월8일 국제학술대회 참석으로 대체
[강의내역(12주)]
교회론
교회론 이해 모델들, 교회의 4 가지 표지들, 종교개혁자들의 2가지 표지들, 새로운 표지 등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 본다.
[강의내역(13주)]
은혜의 수단
말씀과 성례전, 성찬론 이해 모델들, 안수 받은 직무의 의미 등에 대해 살펴 본다.
[강의내역(14주)]
종말론
세계와 삶에 있어서 희망의 문제, 종말론 이해 모델들, 천년왕국설, 지옥, 연옥, 천국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 본다.
[강의내역(15주)]
기말고사
[주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는 담당교수의 강의안 및 Daniel L. Migliore 『기독교조직신학개론』. 신옥수, 백충현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2.
* 참고도서
Berkhof, Louis. 『조직신학』상하권, 권수경, 이상원 역. 서울: 은성, 1992.
Erickson, Milard J. 『복음주의 조직신학』상중하. 현재규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Hodgson, Peter C. 『현대 기독교 조직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McGrath, Alister E.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1994.
Pöhlmann, Horst. 『교의학』이신건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김명용. 『이시대의 바른 기독교사상』.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
이종성. 『신학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조직신학 용어와 신학자 사전
1) 신학 용어 해설집
Harvey, Van A. A Handbook of Theological Terms.. New York: Collier Books, 1964.
-------------. 『신학용어해설』. 박양조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84.
McKim, Donald K.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Louisville, Kentucky, John Knox Press, 1996.
-------------. 『현대신학용어해설』. 서울: 보이스사, 1987.
Musser, Donald W. & Price, Joseph L. ed. A New Handbook of Christian Theology. Nashville: Abingdon, 1992.
Richards, Larry. 『신학용어해설사전』.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3.
Ramm, Bernard. A Handbook of Contemporary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66.
2) 신학자 소개서
Bowden, John. Who's Who in Theology. London: SCM Press, 1990.
Douglas, J. D. Who's Who in Christian History. Wheaton, Ill.: Tyndale House Publishers, 1992.
Elwell, Walter A. ed. Handbook of Evangelical Theologians. Grand Rapids: Baker Books, 1993.
Peerman, Dean G. & Marty, Martin E. ed. A Handbook of Christian Theologians. 신 경수 역. 『기독교신학자 핸드북』.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기타 참고 도서는 강의 시간에 소개
3) 쉬운 조직신학
정성욱. 『10시간 만에 끝내는 스피드 조직신학』. 서울: 홍성사, 2005.
장경철. 『신학으로의 초대』. 서울: 두란노, 2009.
장경철. 『믿는다는 것의 행복』. 서울: 두란노, 2007.
[기타안내사항]
1) 독서과제 1
박일민, 『개혁교회의 신조』 (서울: 성광문화사, 1998) 또는 이형기, 『세계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 (서울: 장로교출판사, 1991) 중 한 권에서 대한예수교장로장로회총회 헌법 책에 실려 있는 본 교단 인정 신조들의 배경사 및 해설을 읽는다. 읽은 내용을 A4 2-3쪽 정도로 요약하여 제출한다. (마감은 3월 말)
2) 독서과제 2
주교재 외에 한 권으로 된 다른 조직신학개론서를 1권 읽고, 그 내용을 주교재와 비교하기. A4 2-3 쪽 정도.
첫댓글 우~와~~대박입니다~~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 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근데 먼저 반을 알아야겠네요? ㅎㅎ ABC반은 언제 알게 되나요?
편성내용 글 올렸습니다 확인하심 되요^^
단순한 질문일지도 모르나 .. ^^;.
제가 4년제 대학을 다닌 적이 없던 관계로 .. 수강신청이란것을 해본적이 없네요 ... ^^;
신대원 수강신청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 보통 언제쯤 시작하죠??
어떤 과목들을 골라야 하는지 .. 각 교수님들 마다 수업방식의 차이가 많은지 .. 궁금하네요 ^^;;;..
필수과목은 선생님이 정해져 있습니다.
수강신청은 학생정보시스템에 들어가셔서 하셔야 하고요
학생정보시스템은 학번을 부여받고 할 수 있어요.
아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