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IT용어]미세먼지를 읽는 단위…㎛·㎍·PM
● ㎛는 미세먼지 크기 나타내…1㎛=0.001㎜ 해당
● 10㎛는 미세먼지, 2.5㎛ 초미세먼지…작을수록 유해
● ㎍/m³는 미세먼지 농도…마스크는 KF 수치 살펴야....
1. 미세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로,
입자의 지름이 10 ㎛ 이하인 먼지(PM-10, 미세먼지)와 지름이 2.5㎛ 이하인 먼지)PM-2.5, 초미세먼지)로 구분
2. 미세먼지 발생원 = 미세먼지 발생원은 자연적 발생원과 인위적 발생원으로 구분
- 자연적 발생원 : 흙먼지, 바닷물에서 생기는 소금, 식물의 꽃가루 등
- 인위적 발생원 : 화석원료를 사용할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날림먼지,
공장 내 분말형태의 원자재-부자재, 취급공정에서의 가루성분, 소각장 연기 등.
3. 미세먼지 성분구성 = 미세먼지를 이루는 성분은 미세먼지가 발생한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여러 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화학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ㅣ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성분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