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군사 - 군)
9획 車(수레 거)
덮어서(冖 :덮을 멱) 차(車)까지 위장한 군사니
◆ 뜻풀이 : ①군부(軍部) ②군대(軍隊) ③육군(陸軍)의 최고(最高) 편성(編成) 단위(單位). 군단(軍團)의 위 ④중국(中國) 주(周)나라 때의 병제(兵制)로서, 사(師)(2천 500명) 5개를 합(合)친 편성(編成) 단위(單位). 곧 병력(兵力) 1만 2천 500명, 천자(天子)는 6군(軍), 대국(大國)은 3군, 중국(中國)은 2군, 소국(小國)은 1군을 두었음
◆ 같은 뜻을 가진 한자(유의자)
兵:병사 병/ 卒: 마칠 졸, 버금 쉬 /戎: 병장기 융,오랑캐 융/ 旅: 나그네 려(여)
◆ 이형동의자(이체자) : 军 군사 군 (간자)
◆ 회의문자:군사들은 적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주위 환경에 어울리게 무엇으로 덮어 위장.
◆ 전차(車) 주위를 둘러싸고(쌀포몸(勹☞싸다)部☞包(포)의 생략형(省略形)☞에워쌈) 싸운다는 뜻이 합(合)하여 '군사'를 뜻함. 軍(군)은 전차 여러 대를 줄로 늘어놓은 陳形(진형), 옛날엔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에 세 사람의 무사(武士)가 타고 열 사람의 보병이 딸려 하나의 車(차)를 이루고, 이를 百乘(백승)ㆍ千乘(천승) 등으로 세어서 군대(軍隊)의 규모의 크기를 나타내었음.
나중에 보병이 직접 싸우는 전법으로 변하자 그 군사의 모임이나 싸움을 軍(군)이라 일컫게 되었음
초창기 글꼴을 보면, ‘두루-균’(勻)과 ‘수레-거’(車)가 합했다.
균(勻)은 팔을 벌려 둥그렇게 감싸는 모습이다.
거(車)는 수레를 위에서 내려 본 모습인데, 양쪽 바퀴가 상하 일(一)자로 나란히 그려져 있고, 그 사이에 수레의 몸체가 있다. 세로로 그어진 ‘뚫을-곤’(丨)은 바퀴 축을 그린 것이다. 따라서 군(軍)은 수레로 둥그렇게 둘러쳐 진지를 만들고 주둔한 모습이다.
중국 춘추시대 이전에는 귀족만이 무장할 수 있었고, 귀족들은 기본적으로 전차(戰車)를 타고 싸웠다. 전쟁이 나서 야영(夜影)할 때 진지를 구축하려면 시간이 걸리므로 마차를 부대 주변으로 빙 둘러 담장으로 삼고 그 안에 주둔하게 된다.
군(軍)은 바로 그런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러므로 군(軍)의 본뜻은 ‘전차를 둥그렇게 둘러쳐 진지를 구축하고 주둔하다’이며, 이로부터 ‘군대, 부대, 진지, 사병’ 등의 뜻이 나오게 되었다.
군대(軍隊), 군사(軍事), 국군(國軍), 육군(陸軍), 공군(空軍), 해군(海軍) 등이 그런 뜻으로 쓰였다.
군(軍)에서 삽입된 수레는 전차이므로 기동력이 생명이다. ‘날랠-착’(辶=辵)을 추가하여 ‘움직일-운’(運)으로 만든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