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존경하는 대통령 링컨
임두환
화사한 봄날, 금쪽 같은 세 살배기 손자 지훈이를 데리고
아파트주변을 거닐었다.
엄마아빠가 맞벌이라서 짬이 날 때면 함께 놀아주어야 했다.
예뻐서도 그렇지만 아내가 손자를 돌보느라 팔다리와 어깨가 아프다며
한의원을 찾고 있어서였다.
오늘도 여느 때나 다름없이 어린이놀이터를 지나려는데 한쪽 모퉁이에
헌책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다.
버리기는 아깝고 필요한 사람이 있으면 가져가라는 배려리라….
호기심으로 뒤적이다 보니 눈에 띄는 책이 있었다.
내가 어렸을 때부터 존경해오던 에이브라함 링컨에 대한 책이었다.
책이름은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이었다.
제목부터가 마음에 끌려 집어 들었다.
살펴보니, 누군가 세트(set)로 책을 구입하고서 책장도 넘기지 않은 듯했다.
에이브라함 링컨 대통령은 학생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존경의
대상이었으리라.
나 역시 중학교 다니던 시절, 링컨 대통령의 전기(傳記)를
읽고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어린 시절 삶의 처지가 그랬고, 나도 노력하면 링컨 대통령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겠구나 싶어서였다.
링컨은 1860년 5월 16일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후보로 선출,
그 해 11월 6일에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후보 더글러스 상원의원과
겨루어 압도적인 표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가 바로 미국 16대 대통령 에이브라함 링컨이다.
보통 우리는 링컨이 노예를 해방시킨 대통령으로 알고 있지만,
‘남과 북’ ‘흑인과 백인’으로 분열되었던 미국을 하나의
국가로 만든 진정한 통일대통령이다.
미국 초대 대통령부터 42대 클린턴 대통령까지 41명의 대통령을 지도력,
위기관리 능력, 정치력, 인사관리, 도덕성으로 나누어 평가했는데
1위가 링컨, 2위가 루스벨트, 3위가 워싱턴이고 4위는
제퍼슨이며 클린턴은 23위였다.
그리고 미국 대통령 중 ‘독서광’ 10위로는 1위 링컨, 2위는
워싱턴, 3위 제퍼슨, 그다음으로 루즈벨트, 아이젠하워 순이었다.
링컨 대통령은 1809년 2월 5일 나무와 숲이 울창한 시골마을이었던
켄터키 주의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나 토끼 사슴
다람쥐들과 친구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비록 집은 가난했지만 정직하고 성실한 아버지와 인자하고
신앙심 깊은 어머니 밑에서 그런 대로 행복하게 지냈다.
링컨은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딛고 넘어지면 일어나고, 넘어지면
또다시 일어나서 오뚝이처럼 일어선 7전 8기의 사나이였다.
링컨은 어렸을 때부터 독서광 또는 책벌레로 불렸다.
학교 교육을 정식으로 받지 못했던 그는 독학으로 해결해야 했다.
한마디로 주경야독이었다.
링컨은 책을 읽는 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좋은 문장이 나오면
메모를 해놓고 글을 잘 쓰기 위해서 문법공부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는 17세에 ‘절약’ 이라는 수필을 써서
오하이오 주 신문에 발표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지 않는가.
링컨은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역사 과학 문학 종교 등
모든 분야에 몰두하였다.
링컨에게 신앙심과 자신감을 심어준 것은 어머니 낸시였다.
자연의 세계에 눈뜨게 했고,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사고로
사물을 바라 볼 수 있도록 했다.
어머니는 무엇보다 링컨의 마음속에 신앙심과 꿈을 심어주었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
런 어머니가 링컨이 10세 때 풍토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그 뒤 1819년 12월 2일 새어머니가 들어왔다.
외로워 할 링컨에게 희망의 끈을 놓지 않도록 정성을 다해주었던
새어머니였다.
참으로 본받아야할 인물이었다.
링컨의 생애는 ‘실패와 불행’이라는 글자가 귀찮을 정도로 따라다녔다.
그는 크고 작은 선거에서 무려 일곱 번이나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고,
사업에도 두 번이나 실패하여 빚을 갚는데 만도 무려 17년의
세월이 걸렸다.
10세 때 친어머니를 잃었고, 20세에는 누이 사라마저 세상을 떠났다.
27세 때는 결혼을 약속했던 연인이 불치의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42세와 53세에는 둘째아들 에드워드(5살)와 셋째아들
윌리엄(12살)을 잃는 아픔을 겪어야했다.
그가 겼었던 사업과 선거의 실패를 열거해 보면, 1831년 23세에
사업실패, 1832년 24세에 주의원 낙선, 1833년 25세에 사업실패,
1838년 30세에 의회 의장직 낙선, 1840년 32세에 대통령 선거위원 낙선,
1844년 36세에 하원의원 공천 탈락, 1855년 47세에 상원의원 낙선,
1856년 48세에 부통령 낙선, 1858년 50세에 상원의원 낙선이라는
고배를 마셨다. 링컨이 걷던 길은 실패와 불행으로 인하여 수없이
중단될 뻔하였다.
그러나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기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이
될 수 있었다.
참으로 7전 8기 오뚝이인생이었다.
언제나 링컨의 마음에는 친어머니 낸시의 신실한 믿음의
뿌리가 밑받침되었던 것이다.
앞으로도 역사가 존재하는 한 에이브라함 링컨은 세계 젊은이들의
멘토일 것이다.
링컨은 16대 미국대통령으로 취임하는 자리에서
“이 낡은 책은 바로 어머님께서 저에게 물려주신 성경입니다.
저에게 물려주신 이 낡은 성경책으로 말미암아 대통령이 되어
여기 이 자리에 서게 되었습니다.
저는 성경말씀대로 이 나라를 통치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대통령에 취임하고서는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이 되었다.
내 인생에 있어서도 굽이굽이마다 어려움이 있었다.
어려서는 가난에 시달려야 했고, 중년에는 가방 끈이 짧은 탓으로
남몰래 눈물을 흘려야 했던 게 한두 번이 아니었다.
중학생 때는 공부를 잘하고 싶었지만 참고서가 없다보니
노력을 해도 당해낼 재주가 없었다.
하는 수 없이 옆자리 K친구의 가방을 뒤져 영어참고서를 훔쳤다.
학교에 가지고 나갈 수 없었기에 집에서만 보아야 했다.
또 한 번은 서점에서 책을 보는 체하다가 참고서를 책가방에
슬쩍 넣고서 나가려는데 주인아저씨가 부르지 않는가.
“학생, 이리 와봐! 가방에 넣은 것 있지? 학생이 물건을 훔치면 되나?
이번에 한 번은 봐주지만 다음에는 용서 못한다.”
하시며, 내 마음을 알아챘는지 크게 꾸중도 않고 보내주었다.
지금도 그 당시를 떠올리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우리 인생의 앞날은 아무도 모른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대본도 리허설도 없지 않는가.
그러나 오직 한 가지, 희망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미천한 자리에서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딛고 넘어지면 일어나고,
또 넘어지면 또 일어나서 오뚝이처럼 살았던 링컨 대통령,
그는 내가 성장하는 동안 작은 마음속에 보이지 않는 ‘
나침반’이었고, 나의 ‘큰 바위 얼굴’이었다.
첫댓글 링컨은 노예 해방 지도자이며
그리고 남북 전쟁의 승리로 이끈
위대한 인물이었지요
저도 링컨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