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우후죽순 수많은 약사 유튜버들이 생기고 있다. 왜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1) 미디어 시장에서 유튜브의 성장 => 유튜버 자체의 수가 증가하게 된 것.
=> 그 중에 약사 유튜버 또한 포함된 것.
2) 약사로서 환자들에게 정보 전달의 목적으로 직접 강연을 다니는 것보다 접근성이 더 좋음.
3) 유튜브 내의 컨텐츠에서 약의 전문가로서 컨텐츠의 경쟁력을 지님.
4) 유튜브의 광고효과가 뛰어나기 때문.
13-2 약대생이 유튜버를 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본인이 한다면 어떤 유튜브를 할 것인가?
개인의 선택. 그러나 공부하는 학우들에게 피해가 가면 안됨.
+ 예비약사로서 약에 대한 공부 소홀히 하면 안됨.
▶본인의 유투브)
(1) 약대에 입학 후의 학교생활 소개.
(2) 본인이 다니는 학교 홍보
(3) 약대 입시에 대해 소개.
* 주의해야할 점 : 면허가 없는 대학생 신분이기에, 약사가 되기 이전임. 약의 관련 설명 안됨.
왜냐하면 부정확한 지식전달의 가능성(불법)
13-3 유명 약사유튜버가 있음으로 인해서 약사 입장에서 어떤 장단점이 있을지 말해보시오
▶장점
(1) 사람들이 잘 모르는 약사의 직능을 알림으로써 약사의 인식개선.
(2) 약에 관해 궁금한 정보를 유튜브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음.+
(3)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타이레놀의 품귀 현상을 같은 성분이 들어간 타 브랜드의 해열진통제를 소개한 사례.
=> 유튜브를 통해 약품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제공, 이해도 높임.
+) 약국에서 타이레놀만 찾는 사람들에게 많은 선택지 제공하여 상황해결.
=> 약사의 역할 홍보
+) (건기식 홍보 => 매출 증가 => 궁극적으로 건기식 시장 확대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음)
▶단점
(1) 제약회사가 약사 유튜버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각종 협찬과 유료광고 제안을 통해 상업적으로 활용.
=> 영양제 같은 것을 추천할 때에도 특정 상표가 아닌 성분들로 추천해야 함!
(2) 개인의 의견(약의 전문가이므로 입증되지 않은 의견이라 언급하면 안됨!!)으로 영향을 끼쳐 2차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
(3) 영향력 있는 개인의 불찰로 인해 약사 전체의 이미지가 떨어질 수 있음.
(4) 환자들이 유튜브만 믿고서 로컬약국에 진입하므로, 복약 순응도가 떨어질 수 있음.
결론: 따라서 약사는 약의 전문가로서 소명의식을 갖고 단순히 수익과 비즈니스에 종점을 둔 콘텐츠가 아닌 국민보건의식 향상에 이바지하는 전문 보건의료인으로의 역할을 잊지 말고 건전한 콘텐츠 제작에 힘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