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익 경영을 위한 "제품별 표준원가계산 컨설팅 안내"
한국경영회계연구원
CONTENTS
1. 표준 원가계산 컨설팅의 개요
1. 제조기업의 표준 원가계산을 통한 의사결정/1
2. 제조기업의 제품별 표준 원가계산 문제 해결/2
2. 표준원가 컨설팅의 개념과 목적
1. 표준 원가의 개념/3
2. 표준 원가의 목적/4
3. 표준원가 용어와 차이 분석
1.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5
2.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분석/6
3. 재료 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분석/7
4.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8
5. 노무비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분석/9
6. 고정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10
7. 고정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분석/11
4. 표준원가 컨설팅 수행
1. 원가의3요소 > 요소별 필수 자료/12
2. 표준원가 경영지도의 업무 절차와 내용/13
3. 표준원가 컨설팅의 단계별 흐름/14
4. 표준원가 솔루션 제공 및 사후관리/15
5. 컨설팅 수수료 안내/16
6. 표준원가 컨설팅 수행일정/17
1. 표준 원가계산 컨설팅의 개요
Ⅰ. 표준원가계산 컨설팅의 개요
1. 제조기업의 표준 원가계산을 통한 의사결정
Content Explanation
① 제품 주문의 수락여부 결정
생산수주에 따른 손익분기점이 나오는 제품과 나오기 힘든 제품을 선별하여 주문의 수
락 또는 거절을 할 수 있는 자료가 실시간 나올 수 있게 합니다.
② 생산라인 개선 도모
특정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원가손실의 원인과 대안을 찾아볼 수 있는 자료가 실시간 나 올 수 있도록 하여 라인 별 원가개선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합니다.
③ 원˙부자재 구입가격 결정
재품원가에 투입되는 재료비 요소가 많을 경우 합리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여 원˙부자재 구입 가격의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합니다.
④ 자가제조 또는 위탁제조여부 결정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을 통하여, 자가제조가 유리한지 또는 위탁제조가 유리한지를 결정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⑤ 제품의 합리적 가격 결정
제품생산과 판매에 따른 변동비와 고정비등을 회수하고, 기업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도록 목표 생산량과 목표이익을 제시 할 수 있는 실시간 시뮬레이션이
가능 하도록 합니다.
2. 제조기업의 제품별 표준 원가계산 문제 해결
A. 지속적인 원가경영지도
원가개선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정기적인 방문 및 전화 상담등을 병행
B. 원가낭비 요인의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정기적인 원가계산을 통한 원가 요소별 및 생산 부문별 원가낭비의 요인을 발견 및
제거 방안 제시
C. 제품의 합리적 판단 결정을 위한 방안 제시
기업의 형편에 맞는 제품별 합리적인 판매가격 결정을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해 드립니다.
D. 원가계산 자동화를 위한 솔루션 제공
원가계산이 실시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엑셀과 DB를 연동한 원가사무자동화 프로그램
을 제공
Solution
전문인력 부족에 따른 문제 해결
우리나라 모든 중소기업의 공통된 전문인력 부족에 따른 원가계산 문제를 솔루션 제공을 통하여 해결해 드립니다.
원가낭비 요소 파악의 어려움 문제 해결
어느 생산부문에서? 어느 원가요소에서? 불필요한 원가문제가 발생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정기적인 원가진단분석을 해 드립니다.
제품의 합리적 가격결정의 어려움 문제 해결
제품생산과 판매에 따른 각종 원가와 비용등을 회수하고도 보상받을 수 있는 적정 이윤을 얻기 위한 합리적 제품의 판매가격을 손익분기점 분석을 통하여 제시해 드립니다.
2. 표준원가 컨설팅의 개념과 목적
1. 표준 원가의 개념
그렇다면 표준원가 계산이란 무엇인가요?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원가를 표준가격과 표준 수량을 미리 결정하여 계산합니다.
실제 발생원가와 비교하여 차이가 난다면 그 이유를 분석하기 위함입니다.
2. 표준 원가의 목적
실제발생원가를 기존에 설정한 표준원가로 일치시켜 나아가면 개선후실제발생원가가 됨
개선후 실제발생원가가 최적원가로 줄여 나아가면 원가개선을 통한 절감 이익이 발생 함
3. 표준원가 용어와 차이 분석
1.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
1. 실제 발생 원가 (AQ X AP)
2. 기준 원가 (AQ X SP)
3. 표준 원가 (SQ X SP)
가격차이: 1 - 2
총 차이: 1 - 3
능률차이: 2 - 3
용어설명
AQ(Actual Quantity):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원 · 부재료 투입 수량
SP(Standard Price): 과거 원 · 부재료 구입에 따른 평균 구입가격
SQ(Standard Quantity):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BOM상의 원 · 부재료 소요 수량
2.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수량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수량 초과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수량 초과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수량 초과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수량 초과
e. 기계고장으로 인한 수량 초과
2) 가격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구매부서의 구매 협상력 부재로 인한 가격 인상
b. 인플레이션 효과로 인한 가격 인상
c. 자재 공급처의 독점 공급으로 인한 가격 인상
d. 통제 불능 원가에 해당하는 자재에 속함으로 인한 가격 회피 불능 원가
3. 재료 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 재료 투입시점과 구입시점에서의 분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원 · 부자재를 구입시점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 가격차이를 구입시점에서 분리하여야지만 구매담당자가 즉시 반영하여 수정 명령
을 내릴 수 있어 좋고, 생산투입시점에서 재료원가 계산과정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4. 노무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
1. 실제 발생 원가 (AH X AR)
2. 기준 원가 (AH X SR)
3. 표준 원가 (SH X SR)
가격차이: 1 - 2
총 차이: 1 - 3
능률차이: 2 - 3
용어설명
AH(Actual Hours):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실제 노무 투입시간
SR(Standard Rates): 과거 노무 투입에 따른 시간당 평균 노동 임률
SH(Standard Hours):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소요되는 표준 노무시간
5. 노무비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능률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e. 기계고장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2) 가격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임금협상으로 인한 임률의 인상
b. 장기 근속자의 증가로 인한 임률의 인상
c. 경력 사원의 채용으로 인한 임률의 인상
d. 전체 생산 인력의 과잉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6. 고정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용어설명
1. 실제 발생 원가 (AH X AP)
2. 기준 원가 (MH X SP)
3. 표준 원가 (SH X SP)
가격차이: 1 - 2
총 차이: 1 - 3
능률차이: 2 - 3
용어설명
AH(Actual Hours):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실제 노무 조업시간
MH(Maximum Hours): 허용 한도내의 최고 조업 가능 시간
SH(Standard Hours): 실제 제품 생산에 따른 표준 조업시간
SP(Standard Price):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액
7. 고정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조업도 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e. 기계고장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2) 배부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인상
b. 경비지출 관리 소홀로 인한 비용 초과 발생
c. 노동시간 또는 기계가동시간등의 전월 대비 증가로 인한 비용 초과 발생
d. 전체 생산 인력의 과잉으로 인한 비용 초과 상승 발생
4. 표준원가 컨설팅 수행
1. 원가의 3요소 > 요소별 필수 자료
표준 재료비: 표준 재료비 분석을 위한 필수 자료
- BOM(Bill Of Material): 제품 1단위당 또는 공정별 원 · 부재료 소요량 분석표
- 원 · 부재료 수불부
- 제조 공정도
표준 노무비: 표준 노무비 분석을 위한 필수 자료
- 공정별 노무 투입에 따른 표준 공수 및 표준 임률 집계표
- 월별 노무비 지급 대장
표준 제조경비: 표준 제조경비 분석을 위한 필수 자료
- 계정별 고정 제조간접비 발생 내역
- 고정 제조간접비 배부 기준 설정을 위한 생산 작업일지
2. 표준 원가 경영지도의 업무 절차와 내용
제품별 표준 원가계산을 위한 업무 절차
Step1. 기초자료 조사
Ⅰ. 표준원가계산을 위한 각종 상담 및 방문 설문 조사
Ⅱ. 원가 요소별 자료분석 및 인터뷰
Step2. 원가진단 분석보고서 작성
Ⅰ. 요소별 표준원가계산 분석 보고서 작성
Ⅱ. 부문별 원가계산 및 원가배부 기준 설정
Step3. 원가진단 결과 브리핑
Ⅰ. 표준원가진단에 따른 결과 브리핑
Ⅱ. 원가진단 결과 보고에 따른 사후 대처방안 논의
Ⅲ. 합리적 제품 가격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Step4. 원가계산 자동화 솔루션 제공
Ⅰ. 원가계산 자동화를 위한 맞춤형 엑셀연동 프로그램 개발공급
Ⅱ. 원가계산 자동하 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사용방법 지도
Step5. 사후원가 경영지도
Ⅰ. 사후 지속적인 원가개선을 위한 경영지도 고문 계획 설정
Ⅱ. 부문의 신설 및 신제품 개발 등 각종 원가변수에 따른 상황 별 원가경영지도 솔루션 제공
3. 표준원가 컨설팅의 단계별 흐름
01. kick-Off
˚컨설팅 착수에 따른 계약 및 Kick -Off실시
˚피 컨설팅 기업의 자료 수집
-
- 재료 수불부
- 부문별 생산 작업일지
- 연도별 및 월별 임금대장
- 공정도 및 제품리스트 등외
˚계약서
˚제품별 원가계산 컨설팅 제안서 등
02. Counsel Interview
˚수집된 기초자료에 대한 확인 및 담당직원과의 인터뷰
˚분석에 따른 추가서류 등 자료보충 요청
˚생산 부문별 상담 및 인터뷰 분석 보고서 작성
˚원가분석에 따른 추가 요청서
03. Cost Analysis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제품별 원가 분석 및 진단보고서 작성
˚원가진단 및 분석 보고내용
- 각 원가 요소별 표준원가에 대한 차이분석
˚원가요소별 표준원가 차이분석
04. Cost Briefing
˚분석된 제품별 표준원가보고서를 통한 브리핑
˚원가 시뮬레이션 분석과 원가 경영 방향 설정을 위한 회의 및 토론
˚원가진단 발표용 보고서
4. 표준원가 솔루션 제공 및 사후관리
05. Cost Solution
˚원가 진단 後 원가계산 자동화를 위한 엑셀연동 프로그램 제공
˚원가계산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지도 및 교육
˚원가계산 프로그램 Ver1.0
06. After Adviser
˚원가계산 자동화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작업
˚원가진단에 따른 사후관리 차원에서의 고문 원가 경영지도
- 표준원가 vs 사후원가 분석
- 원가진단 수행 後 부문별 평가
- 현재위치에 따른 개선사항
- 원가지도 後 부문별 점검 현황 분석
- 원가진단 수행 後 부문별 업무체크
6. 표준원가 컨설팅 수행일정
본 컨설팅은 Kick-Off일로부터 약 10Weeks(공휴일 제외)에 걸쳐 다음과 같이 추진될 예정이오며, 업무량에 따라 이보다 단축 되어질 수 있습니다.
Ⅰ. Kick-Off(2주간 소요 예상)
1. 컨설팅 착수에 따른 계약 및 Kick-Off 실시
2. 피 컨설팅 기업의 자료 수집 및 인터뷰
Ⅱ. Counsel Interview(3주간 소요 예상)
1. 수집된 기초자료에 대한 확인 및 담당직원과의 인터뷰
2. 표준원가계산을 위한 각종 자료 수집 및 검토
Ⅲ. Cost Analysis(5주간 소요 예상)
1. 수집된 자료를 통한 표준원가진단
2. 부문별 원가배부 기준 설정 및 배부
3. 제품별 표준원가설정 및 차이분석
4.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한 내부 회의 및 검토
Ⅳ. Cost Briefing(1일 소요)
1. 제품별 표준원가 브리핑
2. 표준원가 경영의 방향 설정을 위한 회의 및 토론
제품별 표준원가계산 컨설팅이란?
오랜 경험과 축적된 노하우로 중소제조기업이 차별화된 맞춤형 표준원가계산 컨설팅을 수행함에 따라 원가의 낭비요인 발견 및 합리적인 원가절감 방안과 제품별
판가의 결정 방안등을 제시해 드리는 원가경영지도를 목표로 하는 컨설팅을 말합니다.
○ 각 팀별 표준원가에 필요한 자료들을 예시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매팀]
○ 20X1 ~ 20X2년 현재까지의 원 · 부자재 구매내역
일자 / 구매처명 / 구매 품목명 / 구입수량 / 구입가격
☞ 구매처별 구매 가격의 변동 상황을 확인해 보기위함이며, 품목별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
[자재팀]
○ 20X1 ~ 20X2년 원 · 부자재 수불부
-입고내역-
일자 / 구매처명 / 원·부자재 명 / 입고수량 / 입고단가 / 입고금액
-출고내역-
일자 / 출고처명 또는 제품명 / 원·부자재 명 / 출고수량 / 출고단가 / 출고금액
-재고내역-
일자 / 원·부자재 명 / 재고수량 / 재고단가 / 재고금액
☞ 원·부자재의 구입시점 및 투입시점에 따른 제품별 표준원가 차이분석을 산정하기 위함
[생산관리팀]
1. 20X1 ~ 20X2년 공정별 또는 제품별 생산 작업일지
2. 공정별 또는 제품별 공통원가 및 간접부문의 간접원가 배부계산표
-공통원가-
일자 / 계정과목명 / 금액 / 배부기준
-간접원가(보조부문 발생원가)-
일자 / 보조부문명 / 배부기준 / 계정과목 / 금액
※ 간접원가는 공통원가와 달리 계정별 배부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문별 배부기준을 설정하는 것임
3. 노무비 임금 대장
일자 / 부문명(직접부문 및 간접부문 구분) / 고정노무비(기본급 + 월 고정수당) / 변동노무비(초과근무수당 + 휴일근무수당 등)
☞ 제품별 노무비의 투입시점에 따른 표준원가 차이분석 및 고정 제조간접비의 차이분석을 산정하기 위함
○ 표준원가와 관련한 문의와 컨설팅 문의는 다음의 연락처로 전화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문의처 : (주)한국경영회계연구원
(공공기관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제조기업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종합병원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032-240-6335
대표원장 조현석 ☎ 010-2246-3953
#원가관리 #제조기업 #재고자산 #조현석 #원가회계 #제조원가명세서 #원가계산 #원가분석 #원가진단
#원가진단사 #제품별원가계산 #공정별원가계산 #표준원가 #원가컨설팅 #CAMS #원가관리사 #전산원가사
#공공기관원가계산 #제조기업원가계산 #종합병원원가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