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온역(瘟疫)의 열독(熱毒)을 변별(辨)하여 치료(治)하다
온역(瘟疫)은 본래 곧 상한(傷寒)이지만, 또한 조금 차이(異)가 있다.
춘하(春夏)에 많이 발생(發)할 뿐 아니라, 또한 시기(時氣)에 두루 행(行)하므로 인하여 대인(大)과 소인(小)이 증상이 서로 비슷하고(:相似) 반드시 일수(日數)가 족(足)하기를 기다린 연후(然後)에라야 한(汗)을 얻어 풀리니, 이것이 온역(瘟疫)의 증(證)이다.
비록 고법(古法)에서 말하기를 "온병(溫病)은 삼양(三陽)에 있는 경우에 많고, 삼음(三陰)에 있는 경우는 적다."고 하였지만, 이에 또한 구애(:拘泥)되면 안 된다.
만약 음증(陰證)에 음맥(陰脈)이 나타나면 이는 곧 삼음(三陰)의 병(病)이다. 마땅히 크게 변별(辨)하여 이를 치료(治)하여야 한다.
一. 온역(瘟疫)이 삼양(三陽)에 있으면 당연히 그 경(經)을 변별(辨)하여야 한다.
만약 맥부(脈浮) 두동(頭疼) 발열(發熱) 신통(身痛)하면 태양(太陽)의 증(證)이니, 마땅히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의 가감(加減)으로 이를 치(治)하여야 한다.
만약 맥장(脈長) 비건(鼻乾) 불면(不眠)하면서 조(躁)하면 양명(陽明)의 병(病)이니 마땅히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이나 혹 십미삼소음(十味蔘蘇飮)의 가감(加減)으로 이를 치(治)하여야 한다.
만약 맥(脈)이 현(弦)하면서 삭(數)하고 흉협(胸脇)이 통(痛)하면서 이롱(耳聾)하면 소양(少陽)의 증(證)이니 마땅히 소시호탕(小柴胡湯)의 가감(加減)으로 이를 치(治)하여야 한다.
이러한 삼양(三陽)의 치료(治)를 생각하건대, 이는 곧 고방(古方)에서의 온(瘟)을 치(治)하는 대략(大略)이다.
그러나 이 증(證)에는 한열(寒熱) 허실(虛實)이 없지 않으니, 당연히 치료(治)에 있어서 앞과 같이 잘 살펴야 하지만 이에 구애(拘)되어도 안 된다.
一. 온역(瘟疫)의 초기(初起)에 두동(頭疼) 신통(身痛)하고 증한(憎寒) 발열(發熱)하며 맥(脈)이 긴삭(緊數) 홍활(洪滑)하면서 특별한 다른 증(證)이 없으면 먼저 정시호음(正柴胡飮)이나 혹 패독산(敗毒散)이나 혹 십신탕(十神湯)이 마땅하다.
만약 온역(瘟疫)의 초기(初起)에 음(陰)이 많고 양(陽)이 적으며 맥증(脈證)에 허(虛)가 없으면 신출산(神朮散)이 마땅하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흉격(胸膈)이 만민(滿悶)하면 소시호탕(小柴胡湯)에 지실(枳實) 귤홍(橘紅)을 가한 것으로, 열(熱)이 내(內)에 있으면 황연(黃連)을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서월(暑月)에 시행(時行)의 온역(瘟疫)으로 표리(表裏)에 모두 열(熱)이 심(甚)하여 마땅히 청화(淸火) 해독(解毒)하여야 하면 강활승마탕(羌活升麻湯)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에서 화성(火盛)으로 맥(脈)이 홍대(洪大)하면서 열조(熱躁)가 심(甚)하면 삼황석고탕(三黃石膏湯)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열독(熱毒)이 상부(上浮)하여 두면(頭面)이 모두 종(腫)하고 목(目)을 개(開)할 수 없으며 구건(口乾) 설조(舌燥)하고 인후(咽喉)가 불리(不利)하면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맥(脈)이 홍대(洪大)하고 번조(煩躁) 열갈(熱渴)하면 백호탕(白虎湯)으로 하여야 한다. 혹 구토(嘔吐)를 겸(兼)하면 중경죽엽석고탕([仲景]竹葉石膏湯)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발광(發狂) 섬어(譫語)하고 맥(脈)이 홍대(洪大) 활실(滑實)하면서 대변(大便)이 비결(秘結)하여 불통(不通)하면 대승기탕(大承氣湯)이나 혹 계자청음(鷄子淸飮)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내외(內外)에 모두 실사(實邪)가 있어 대변(大便)이 불통(不通)하고 마땅히 표리(表裏)를 쌍해(雙解)하여야 하면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의 병(病)이 8~9일에도 물러가지(:退) 않으면서 발반(發斑) 발황(發黃)하고 단지 맥(脈)이 허(虛)하지도 않고 부긴(浮緊)하지도 않으면서 복(腹)에 비만(痞滿)이 보이면 대체로(:率) 승기탕(承氣)과 오령산(五苓)을 합(合)하여 복용(服)하므로 하(下)하여야 한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두신(頭身)이 홍적(紅赤)하고 지체(肢體)에 열(熱)이 심(甚)하며 번조(煩躁)를 감당(當)하지 못하면 마땅히 해온역열독법(解瘟疫熱毒法)을 쓰고 내(內)로는 설리장(雪梨漿)을 음(飮)하거나 정화수(井花水)에 옥천산(玉泉散)를 개어(:調) 복용하여야 하니, 모두 묘(妙)하다.
이상의 제법(諸法)을 생각하건대(:按) 시(時)로 인(因)하고 증(證)으로 인(因)하니, 모두 양증(陽證)의 실사(實邪)에 마땅한 경우들이다.
만약 온역(瘟疫)으로 맥(脈)이 약(弱)하고 무력(無力)하거나 혹 외(外)는 비록 실(實)하여도 내(內)는 허(虛)하거나 혹 구(口)가 희냉(喜冷)하지 않고 대변(大便)이 불결(不結)한 종류(類)이면 곧 양증(陽證)이 아니니, 신열(身熱) 맥삭(脈數)하다 하여도 모두 화(火)로 인식(認)하면 안 된다.
비록 서월(暑月)이라도 이중탕(理中湯) 이음전(理陰煎) 대온중음(大溫中飮) 대보원전(大補元煎) 및 앞의 온보(溫補)하는 제법(諸法)을 마땅히 그 증(證)에 따라 반드시 사용(用)하여야 하니, 이는 시(時)를 버리고 증(證)을 따르는 묘법(妙法)이다.
하물며 하월(夏月)에는 특히 복음(伏陰)이 많으니라.
따라서 대개 이 증(證)에 임(臨)하면 반드시 먼저 음양(陰陽)을 살펴야 하고 그 다음에 허실(虛實)을 변(辨)하여야 하는 것이 그 요점(要)이니, 마땅히 이를 반드시(:切) 인식(識)하여야 한다.
서동고(徐東皐)가 이르기를 "온역(瘟疫) 6~7일(日)에도 풀리지 않고 열(熱)이 혈실(血室)에 들어가서 발황(發黃)하고 몸(:身)이 마치 연기(烟)에 훈(薰)한 것 같으며, 목(目)이 금색(金色)과 같고, 구조(口燥)하면서 열결(熱結)하면 폄침(砭針)으로 곡지(曲池)를 자(刺)하여 악혈(惡血)을 나오게 하고, 거듭 통성산(通聖散)으로 산(散)을 겸하고 하(下)를 겸하여야 하니, 한(汗)이 황수(黃水)와 같이 나오고 분(糞: 대변)이 흑고(黑膏)와 같은 것이 나오면 바로 낫는다." 한다.
이를 생각하건대, 곧 북방(北方)에서 말하는 '타한(打寒)'이다. 그 법(法)은, 수(手)로 상박(上膊)을 쓸어내려(:捋) 혈(血)이 비(臂)에 모이게 하고 천(:帛)으로 묶은(:縛定) 후, 젓가락(:筯)에 자봉(磁鋒: 날카로운 사기 조각)을 끼워 주(肘) 중의 곡택(曲澤) 옆의 대락(大絡)을 격자(擊刺)하여 사독(邪毒)이 악혈(惡血)을 따라 나오게 하여야 한다. 이는 또한 가장 빠른(:捷) 법(法)이다. 궁인(窮人: 산간벽지 사람)들이 이를 사용하여 극(極)히 효(效)하였느니라. 그러나 곡지(曲池)의 혈(穴)에 하는 것은 아니다.
첫댓글 온역(瘟疫)은 본래 곧 상한(傷寒)이지만, 또한 조금 차이(異)가 있다.
춘하(春夏)에 많이 발생(發)할 뿐 아니라, 또한 시기(時氣)에 두루 행(行)하므로 인하여 대인(大)과 소인(小)이 증상이 서로 비슷하고(:相似) 반드시 일수(日數)가 족(足)하기를 기다린 연후(然後)에라야 한(汗)을 얻어 풀리니, 이것이 온역(瘟疫)의 증(證)
음증(陰證)에 음맥(陰脈)이 나타나면 곧 삼음(三陰)의 병(病)
一. 온역(瘟疫)이 삼양(三陽)에 있으면 당연히 그 경(經)을 변별(辨)
맥부(脈浮) 두동(頭疼) 발열(發熱) 신통(身痛)하면 태양(太陽)의 증(證)이니,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의 가감(加減)
맥장(脈長) 비건(鼻乾) 불면(不眠)하면서 조(躁)하면 양명(陽明)의 병(病)이니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이나 혹 십미삼소음(十味蔘蘇飮)의 가감(加減)
맥(脈)이 현(弦)하면서 삭(數)하고 흉협(胸脇)이 통(痛)하면서 이롱(耳聾)하면 소양(少陽)의 증(證)이니 소시호탕(小柴胡湯)의 가감(加減)
이는 곧 고방(古方)에서의 온(瘟)을 치(治)하는 대략(大略). 이에 구애(拘)되어도 안 된다.
한열(寒熱) 허실(虛實)이 있다.
一. 온역(瘟疫)의 초기(初起)에 두동(頭疼) 신통(身痛)하고 증한(憎寒) 발열(發熱)하며 맥(脈)이 긴삭(緊數) 홍활(洪滑)하면서 특별한 다른 증(證)이 없으면 먼저 정시호음(正柴胡飮)이나 혹 패독산(敗毒散)이나 혹 십신탕(十神湯)
온역(瘟疫)의 초기(初起)에 음(陰)이 많고 양(陽)이 적으며 맥증(脈證)에 허(虛)가 없으면 신출산(神朮散)
온역(瘟疫)으로 흉격(胸膈)이 만민(滿悶)하면 소시호탕(小柴胡湯)에 지실(枳實) 귤홍(橘紅)을 가한 것으로, 열(熱)이 내(內)에 있으면 황연(黃連)을 가한 것
서월(暑月)에 시행(時行)의 온역(瘟疫)으로 표리(表裏)에 모두 열(熱)이 심(甚)하여 마땅히 청화(淸火) 해독(解毒)하여야 하면 강활승마탕(羌活升麻湯)
온역(瘟疫)에서 화성(火盛)으로 맥(脈)이 홍대(洪大)하면서 열조(熱躁)가 심(甚)하면 삼황석고탕(三黃石膏湯)
온역(瘟疫)으로 열독(熱毒)이 상부(上浮)하여 두면(頭面)이 모두 종(腫)하고 목(目)을 개(開)할 수 없으며 구건(口乾) 설조(舌燥)하고 인후(咽喉)가 불리(不利)하면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
온역(瘟疫)으로 맥(脈)이 홍대(洪大)하고 번조(煩躁) 열갈(熱渴)하면 백호탕(白虎湯)으로 하여야 한다. 혹 구토(嘔吐)를 겸(兼)하면 중경죽엽석고탕([仲景]竹葉石膏湯)
온역(瘟疫)으로 발광(發狂) 섬어(譫語)하고 맥(脈)이 홍대(洪大) 활실(滑實)하면서 대변(大便)이 비결(秘結)하여 불통(不通)하면 대승기탕(大承氣湯)이나 혹 계자청음(鷄子淸飮)
온역(瘟疫)으로 내외(內外)에 모두 실사(實邪)가 있어 대변(大便)이 불통(不通)하고 마땅히 표리(表裏)를 쌍해(雙解)하여야 하면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온역(瘟疫)의 병(病)이 8~9일에도 물러가지(:退) 않으면서 발반(發斑) 발황(發黃)하고 단지 맥(脈)이 허(虛)하지도 않고 부긴(浮緊)하지도 않으면서 복(腹)에 비만(痞滿)이 보이면 대체로(:率) 승기탕(承氣)과 오령산(五苓)을 합(合)하여 복용(服)하므로 하(下)
온역(瘟疫)으로 두신(頭身)이 홍적(紅赤)하고 지체(肢體)에 열(熱)이 심(甚)하며 번조(煩躁)를 감당(當)하지 못하면 마땅히 해온역열독법(解瘟疫熱毒法)을 쓰고 내(內)로는 설리장(雪梨漿)을 음(飮)하거나 정화수(井花水)에 옥천산(玉泉散)를 개어(:調) 복용
모두 양증(陽證)의 실사(實邪)에 마땅
온역(瘟疫)으로 맥(脈)이 약(弱)하고 무력(無力)하거나 혹 외(外)는 비록 실(實)하여도 내(內)는 허(虛)하거나 혹 구(口)가 희냉(喜冷)하지 않고 대변(大便)이 불결(不結)한 종류(類)이면 곧 양증(陽證)이 아니다.
비록 서월(暑月)이라도 이중탕(理中湯) 이음전(理陰煎) 대온중음(大溫中飮) 대보원전(大補元煎) 및 앞의 온보(溫補)하는 제법(諸法)을 마땅히 그 증(證)에 따라 반드시 사용(用)
시(時)를 버리고 증(證)을 따르는 묘법(妙法)
하물며 하월(夏月)에는 특히 복음(伏陰)이 많다.
북방(北方)에서 말하는 '타한(打寒)'
학습목표
1. 온역과 상한의 차이
2. 양증의 실사의 경우 처방들
3. 음증의 허사의 경우 처방들
4. 타한
◆ 온역(瘟疫)은 본래 곧 상한(傷寒)이지만, 또한 조금 차이(異)가 있다.
춘하(春夏)에 많이 발생(發)할 뿐 아니라, 또한 시기(時氣)에 두루 행(行)하므로 인하여
대인(大)과 소인(小)이 증상이 서로 비슷하고(:相似)
반드시 일수(日數)가 족(足)하기를 기다린 연후(然後)에라야 한(汗)을 얻어 풀리니,
이것이 온역(瘟疫)의 증(證)
양증 실사
음증 허사